[비즈니스포스트] KB금융지주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손실배상 변수에도 주주환원 확대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설용진 SK증권 연구원은 19일 KB금융 목표주가를 기존 7만5천 원에서 8만6천 원으로 높였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KB금융 주가는 18일 7만44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설 연구원은 “KB금융은 홍콩 ELS 배상과 관련 운영 리스크 영향이 일부 발생할 수 있겠지만 보통주자본비율(CET1)을 13.5% 안팎 수준으로 유지하는 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며 “자본비율 및 이익체력이 탄탄한 만큼 점진적 주주환원 확대 추세가 이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KB금융은 2024년 지배 순이익 약 4조7119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홍콩 ELS 배상 관련 영업외비용 약 9500억 원을 반영하고도 2023년보다 순이익이 1.7% 증가하는 것이다.
KB금융은 지난해 대규모 대손비용을 적립해둔 덕분에 홍콩 ELS 관련 부담을 일부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 홍콩 ELS 배상 관련 구체적 내용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배상금액이 약 8천억~1조 원 수준으로 예상된다.
설 연구원은 “KB금융은 홍콩 ELS 배상 가정 반영에 따른 실적 추정치 하향조정에도 최근 주가 상승에 따른 내재 요구수익율(Implied CoE) 하락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해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한다”며 “KB금융 2024년 총 주주환원율은 약 40% 수준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박혜린 기자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손실배상 변수에도 주주환원 확대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 KB금융지주가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손실배상 변수에도 주주환원 확대 기조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설용진 SK증권 연구원은 19일 KB금융 목표주가를 기존 7만5천 원에서 8만6천 원으로 높였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KB금융 주가는 18일 7만44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설 연구원은 “KB금융은 홍콩 ELS 배상과 관련 운영 리스크 영향이 일부 발생할 수 있겠지만 보통주자본비율(CET1)을 13.5% 안팎 수준으로 유지하는 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며 “자본비율 및 이익체력이 탄탄한 만큼 점진적 주주환원 확대 추세가 이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KB금융은 2024년 지배 순이익 약 4조7119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홍콩 ELS 배상 관련 영업외비용 약 9500억 원을 반영하고도 2023년보다 순이익이 1.7% 증가하는 것이다.
KB금융은 지난해 대규모 대손비용을 적립해둔 덕분에 홍콩 ELS 관련 부담을 일부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 홍콩 ELS 배상 관련 구체적 내용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배상금액이 약 8천억~1조 원 수준으로 예상된다.
설 연구원은 “KB금융은 홍콩 ELS 배상 가정 반영에 따른 실적 추정치 하향조정에도 최근 주가 상승에 따른 내재 요구수익율(Implied CoE) 하락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해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한다”며 “KB금융 2024년 총 주주환원율은 약 40% 수준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