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정부가 조선3사(HD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한화오션)와 손잡고 앞으로 5년간 9조 원을 투입해 조선사업의 미래 기술 확보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정부와 대·중·소 협력 플랫폼인 ‘K-조선 차세대 이니셔티브’를 발족해 조선산업이 나아갈 방향성을 논의하고 수출전략 및 현안을 점검했다고 5일 밝혔다.
 
정부 조선3사와 손잡고 5년간 9조 투자, ‘초격차 기술’ 확보 박차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가운데)이 5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EC룸에서 열린 K-조선 차세대 이니셔티브 1차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이번 K-조선 차세대 이니셔티브 1차 회의에서는 정부와 조선3사, 조선해양플랜트협회가 초격차 기술 확보를 위한 공동 대응방안이 논의됐다.

정부와 조선3사는 앞으로 5년 동안 9조 원을 투자해 중장기적으로 차세대 기술을 확보하고 올해 상반기 안으로 민관 공동으로 '조선산업 초격차 연구개발 로드맵'을 수립하는데 뜻을 모았다.

구체적으로 세계 최초로 액화수소 운반선을 2030년까지 개발하고 자율운행선박과 관련된 국제표준을 주도하기로 했다.

정부는 조선산업의 인력난에 따른 생산차질을 막기 위해 인력수급을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도 만들기로 했다.

해마다 2천 명의 국내 조선분야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미래혁신 인재 양성센터'를 만들고 '구직자 대상 채용연계 교육사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조선3사는 이와 같은 정부의 정책에 발맞춰 '해외조선인력협력센터'를 올해 상반기 안으로 시범적으로 운영해 해외 인력을 현지에서 교육하고 도입하는 체계를 확보하기로 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국내 조선산업이 당면한 도전은 개별기업 차원을 넘어서 민관이 하나의 팀으로 헤쳐나가야 한다"며 "올해 7천억 달러 수출 달성을 위해 조선업계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안 장관은 "오늘 발족한 이니셔티브를 정레화해 한국의 조선 경쟁력을 강화하고 수출과 투자애로도 지속적으로 관찰해 해결하겠다"고 덧붙였다. 조장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