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학철 LG화학 대표이사 부회장(왼쪽)과 클라우디오 데스칼지 에니(ENI) CEO가 18일(현지시각) 이탈리아 로마에서 차세대 바이오 오일(HVO) 합작법인 설립을 위한 본계약을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LG화학 >
LG화학은 18일(현지시각) 이탈리아 로마에서 에니와 ‘차세대 바이오 오일 합작법인 설립을 위한 본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신학철 LG화학 대표이사 부회장, 노국래 LG화학 석유화학본부장, 클라우디오 데스칼지 에니 CEO 등이 이날 체결식에 참석했다.
두 기업은 2026년까지 LG화학 충남 대산 사업장에 연간 생산능력 30만 톤 규모의 수소화 식물성 오일(HVO, Hydro-treated Vegetable Oil) 생산공장을 완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HVO는 폐식용유 등의 식물성 원료에 수소를 첨가해 생산하는 바이오 오일이다.
LG화학은 HVO를 원료로 사용하는 고흡수성수지(SAP), 고부가합성수지(ABS), 폴리염화비닐(PVC) 등 플라스틱 제품 생산을 지속해서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와 관련해 LG화학은 식물성 원료를 활용한 친환경 제품의 지속가능성을 입증하는 대표적 수단인 ‘ISCC 플러스(Plus)’ 국제 인증 제품을 현재 50여 개 이상으로 확대했다.
HVO는 저온에서도 얼지 않는 특성으로 차량용뿐 아니라 항공유 등 친환경 바이오 연료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LG화학에 따르면 HVO의 세계 시장 수요는 2021년 970만 톤에서 2030년 4천만 톤으로 연평균 20% 안팎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 부회장은 “이번 협약은 넷제로(온실가스 순 배출량 ‘0’)라는 공동의 목표를 위해 글로벌 선도 기업들이 함께 손잡고 협력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이어 “LG화학은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나아가 친환경 플라스틱 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넷제로 목표를 달성하는 진정한 글로벌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