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2023년 11월7일 개최한 개발자의 날 행사에 맞춤형 GPT 서비스(Custom Models)를 설명하고 있다. < OpenAI >
맞춤형 챗봇을 제작한 사용자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방안도 1분기 내에 발표된다.
10일(현지시각) CNBC에 따르면 오픈AI는 이날 GPT 스토어를 개장하고 현재까지 제작된 맞춤형 챗봇 300만여 개 가운데 일부를 다운받을 수 있도록 승인했다.
현재는 한 달에 20달러(약 2만6300원)를 지불하고 챗GPT를 유료로 사용하는 개인 사용자들만 GPT 스토어를 활용할 수 있다.
유료 사용자는 글쓰기, 라이프스타일, 교육 등 각 분야별로 필요한 챗봇을 검색해 다운받을 수 있다. 수학 문제를 풀이하는 ‘매스 솔버’, 문신 모양을 자동으로 디자인하고 추천하는 ‘타투 GPT’, 반려동물과 관련 전문 지식을 제공하는 ‘펄 포 펫’ 등이 있다.
비즈니스포스트를 비롯한 한국 언론사도 챗GPT를 통해 자사 콘텐츠를 정리해 보여주는 앱을 공개했다.
한국 정재계 주요 인물 정보를 모은 콘텐츠인 ‘Who Is?’를 기반으로 하는 Korea Who GPT는 기업 최고경영자(CEO) 등 인물과 관련한 질문을 내놓으면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답변을 제공한다.
CNBC에 따르면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2023년 11월 개최한 개발자의 날에 “오픈AI의 주력 사업은 지능(intelligence)을 판매하고 사용자 사이에 이를 중개하는 것”이라며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대세가 될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 한국 언론사인 비즈니스포스트는 GPT 스토어 개장일에 맞춰 '코리아 후 GPT'를 공개했다. 한국 정재계 주요 인물 정보를 모은 콘텐츠인 후이즈를 챗봇 형식으로 접할 수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오픈AI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수익과 관련한 세부 사항들도 추후에 공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CNBC는 오픈AI가 다른 인공지능 기술 기업인 구글이나 메타에 우위를 점하려는 목적으로 GPT 스토어를 선보였다고 분석했다.
이용자들이 코딩 등 전문지식을 갖추지 않아도 손쉽게 맞춤형 챗봇을 제작한 뒤 사고 팔 수 있어 사용자를 확보하기 유리하기 때문이다.
2023년 11월 기준으로 포천 500대 기업 가운데 92% 이상이 오픈AI의 기업용 유료 서비스인 ‘엔터프라이즈’를 이용하고 있다. 엔터프라이즈 요금제 가격은 얼마인지 공개되지 않았으며 기업의 규모와 사용처에 따라 다른 것으로 전해졌다.
CNBC는 오픈AI의 기업 가치가 GPT 스토어를 출시하기 전 이미 860억 달러(약 113조964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오픈AI는 150명 이하의 직원을 고용한 중소규모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인 ‘챗GPT for 팀’도 함께 선보였다. 기업 내에서 자체 인공지능 챗봇을 구축할 수 있는 서비스다.
비용은 연간 결제 기준으로 직원 1명당 25달러, 월간 기준으로는 30달러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