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부품 공급망 관리 측면에서 애플에 우위를 보이고 있다는 일본언론의 평가가 나왔다. 삼성전자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Z폴드4'(왼쪽) 및 '갤럭시Z플립4' 이미지.
자체적으로 개발하고 생산하는 부품을 통해 공급망 리스크를 낮추고 원가 절감에도 성과를 내면서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최대 경쟁사인 애플 아이폰에 우위를 확보했다는 것이다.
16일 닛케이아시아 보도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전자제품 등의 공급망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확대되며 삼성전자는 오히려 반사이익을 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닛케이아시아가 전문업체와 갤럭시Z폴드4를 분해한 뒤 내부 부품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금액 기준으로 전체의 50% 가까운 부품이 한국산 부품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LG에너지솔루션이 공급한 배터리를 제외하면 디스플레이와 메모리반도체 등 핵심 부품이 모두 삼성전자 및 계열사에서 개발하고 생산한 부품에 해당한다.
애플 아이폰에 탑재되는 부품 가운데 미국기업의 제품이 단가 기준으로 25% 안팎에 그치는 것과 비교하면 두 배 가까운 차이를 보인다.
닛케이아시아는 “중국산을 제외한다면 프리미엄 스마트폰에 자국산 부품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며 “삼성전자가 큰 장점을 안고 있다”고 바라봤다.
전 세계적으로 공급망 차질 사태가 잦아지면서 스마트폰 생산에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핵심 부품을 모두 자국에서 조달할 수 있다는 점은 리스크 대응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 확대가 경쟁사들에 악영향을 미칠수록 삼성전자가 반사이익을 거두게 될 공산이 크다.
삼성전자가 대부분의 부품을 자국에서 조달하고 자체적으로 여러 부품을 개발하고 생산하는 일은 스마트폰 원가 절감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갤럭시Z폴드4 판매가 대비 부품 가격의 비중은 약 40%로 애플 최고가 스마트폰인 ‘아이폰14프로맥스’의 46%를 밑도는 것으로 분석됐다.
마케팅비 등 부가적으로 들어가는 비용을 제외한다면 자연히 삼성전자가 갤럭시Z폴드4를 판매하며 거두는 수익성도 더 높다.
닛케이아시아는 “애플은 철저한 부품 공급망 관리와 관련해 우수한 평판을 얻고 있다”며 “그러나 삼성전자를 상대한다면 오히려 한 수 배워야 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