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선 현대자동차 부회장.<뉴시스>
1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올해 권역별 책임경영체제를 도입하는 일을 1순위로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정 부회장이 권역별 책임경영체제 도입을 이끌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 부회장은 지난해 해외출장을 대폭 늘렸는데 그 결과물로서 권역별 책임경영체제를 내놨다는 것이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이 직접 발로 뛰는 ‘현장경영’으로 현대차를 키웠다면 정 부회장이 현장경영을 이어 받아 ‘글로벌 책임경영’으로 현대차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는 말도 나온다.
현대차는 올해 미국과 인도를 시작으로 권역별 책임경영체제를 확대하는 계획을 세웠다. 기존에 본사에서 주요 전략을 제시하고 생산, 판매, 손익을 총괄적으로 관리했지만 권역별 책임경영체제를 도입하면 각 권역에서 자율적으로 현지 전략과 생산, 판매, 손익을 통합운영하게 된다.
현대차는 권역별 책임경영체제를 도입하기 위한 정지작업으로 지난해 10월 말 본사 안의 글로벌 운영조직을 개편했다.
이에 따라 이원희 현대차 대표이사 사장이 사업관리본부·고객경험본부·기업전략실 등 글로벌 운영조직의 수장을 맡게 됐다. 정 부회장의 주도 아래 이 사장이 실무를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는 권역별 책임경영체제를 도입해 수익성 회복을 추진한다.
최병철 현대차 재경본부장 부사장은 1월25일 서울 양재동 본사에 열린 컨퍼런스콜에서 “권역별 책임경영체제의 확립을 통해 판매, 생산, 손익을 통합관리해 내실 강화와 수익성 개선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는 2017년 연결 기준으로 영업이익률이 4.7%였다. 5년 전만하더라도 10%대의 영업이익률이 반토막 났다. 2017년 자동차부문 영업이익률은 3.4%에 그쳤다.
현대차는 이전까지 판매량을 늘리는 양적 성장에 집중했지만 권역별 책임경영체제를 도입해 수익성을 높이는 질적 성장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것이다.
현대차 본사는 그동안 해외법인에 높은 판매목표를 주고 목표달성을 강조하면서 해외법인 관계자들이 고충을 크게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해외법인은 본사가 제시한 판매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연말이면 무리하게 출고량을 늘렸다. 이 때문에 재고가 쌓이고 재고를 털어나기 위해 인센티브를 높이면서 수익성이 악화했던 것이다.
현대차는 이런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권역별 책임경영체제를 도입하면서 판매량 집계 기준도 기존 현지공장 출고량에서 현지법인 판매량으로 변경했다.
현대차가 권역별 책임경영체제를 도입하기로 한 미국과 인도에서 벌써부터 변화된 모습이 보이고 있다.
현대차 북미법인은 미국 앨라배마공장과 한국 울산공장에 생산량을 줄여달라고 요청했으며 2020년까지 새 SUV 8종을 추가로 출시하는 계획도 내놨다. 현대차 인도법인은 최근 2020년까지 1조 원 정도를 투자해 신차와 파워트레인 등을 개발하는 계획을 밝혔다.
다만 사드보복으로 극심한 판매부진을 겪은 중국에서는 권역별 책임경영체제 도입이 미뤄졌다.
정 부회장은 올해 중국에서 90만~100만 대를 팔 수 있을 것으로 바라봤다.
정 부회장은 1월9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2018’ 현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중국에서 위기를 겪은 뒤 디자인 조직 등을 중국으로 옮겨 현지 상품을 개발하고 있다”며 “올해와 내년 이 효과가 나타나면서 (중국판매가) 살아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는 2017년 중국에서 2016년보다 31.3% 줄어든 78만5006대를 팔았다.
현대차 관계자는 “권역별 책임경영체제 도입과 중국사업은 별개로 진행된다”며 “중국사업을 정상화하는 것이 우선적 과제”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