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토교통부가 스마트시티 기술을 보유한 중소기업들에게 서비스 실증 기회를 제공한다.
국토부는 12일부터 ‘2025년 스마트시티 혁신기술 발굴 및 혁신서비스 모델 검증 사업’ 공모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는 스마트시티에 적용 가능한 우수 기술력을 가진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시티 혁신 기술 및 서비스 실증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사업은 기업의 입장에서 더욱 효율적이고 체계적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기존 ‘스마트시티 혁신기술 발굴’과 ‘스마트시티 혁신 서비스 모델 검증’ 두 사업을 통합해 공모했다.
스마트시티 혁신기술 발굴 사업은 스마트시티 혁신 기술·서비스를 보유한 중소기업이 수요처인 지자체와 매칭을 통해 지원할 수 있다.
스마트시티 혁신 서비스 모델 검증 사업은 스마트시티 혁신 기술·서비스를 보유한 중소기업이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가 위치한 세종과 부산을 대상으로 응모하면 된다.
올해 국토부는 ‘스마트시티 혁신기술 발굴 사업’ 5건에 과제당 2억 원, ‘스마트시티 혁신 서비스 모델 검증 사업’ 5건에 과제당 2억 원 내외로 지원할 계획을 세웠다.
국토부 관계자는 "스마트시티에 적용 가능한 혁신적 기술은 있으나 다양한 현장 실증이 부족하거나 테스트 비용이 부담돼 서비스 보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들에게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인애 기자
국토부는 12일부터 ‘2025년 스마트시티 혁신기술 발굴 및 혁신서비스 모델 검증 사업’ 공모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 국토부는 12일부터 ‘2025년 스마트시티 혁신기술 발굴 및 혁신서비스 모델 검증 사업’ 공모를 시작한다. <연합뉴스>
이번 공모는 스마트시티에 적용 가능한 우수 기술력을 가진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시티 혁신 기술 및 서비스 실증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사업은 기업의 입장에서 더욱 효율적이고 체계적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기존 ‘스마트시티 혁신기술 발굴’과 ‘스마트시티 혁신 서비스 모델 검증’ 두 사업을 통합해 공모했다.
스마트시티 혁신기술 발굴 사업은 스마트시티 혁신 기술·서비스를 보유한 중소기업이 수요처인 지자체와 매칭을 통해 지원할 수 있다.
스마트시티 혁신 서비스 모델 검증 사업은 스마트시티 혁신 기술·서비스를 보유한 중소기업이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가 위치한 세종과 부산을 대상으로 응모하면 된다.
올해 국토부는 ‘스마트시티 혁신기술 발굴 사업’ 5건에 과제당 2억 원, ‘스마트시티 혁신 서비스 모델 검증 사업’ 5건에 과제당 2억 원 내외로 지원할 계획을 세웠다.
국토부 관계자는 "스마트시티에 적용 가능한 혁신적 기술은 있으나 다양한 현장 실증이 부족하거나 테스트 비용이 부담돼 서비스 보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들에게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인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