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포스코홀딩스가 최정우 회장을 비롯한 경영진들에게 스톡그랜트(주식 무상 지급)를 시행한 것과 관련해 노조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최 회장은 포스코그룹 차원의 비상경영 체제를 선포해 놓고도 '책임경영'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임원들에게 성과급 성격의 주식을 지급해 직원들로부터 '비윤리적 경영'을 하고 있다는 거센 반발에 직면해 곤혹스러운 상황에 처했다. 
 
[오늘Who] 포스코홀딩스 스톡그랜트 받은 최정우, 논란 거세져 곤혹

▲ 7일 포스코 노조가 스톡그랜트로 주식을 무상으로 받은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사진)과 관련해 경영진 성과급 잔치를 벌이고 있다며 사퇴를 촉구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포스코지회(포스코 노조)는 7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 앞에서 상경집회를 열어 최정우 회장의 사퇴를 촉구하는 집회를 벌였다.

이날 집회는 포스코홀딩스가 최 회장을 비롯해 경영진에게 100억 원에 이르는 규모의 자기주식을 스톡그랜트 방식으로 무상 증여한 점에 항의하기 위해 열렸다.

포스코홀딩스는 5일 기업정보 전자공시 시스템(DART)을 통해 임원을 대상으로 자사주 2만7030주를 스톡그랜트에 따라 지급했다고 밝혔다.

3월31일 종가 36만8천 원 기준으로 포스코홀딩스의 스톡그랜트 규모는 99억4704만 원이다. 

최 회장도 스톡그랜트 1812주(6억6681만 원)를 받았다. 스톡그랜트를 받은 임원 28명 가운데 주식 수가 가장 많다.

이를 놓고 노조에선 회사가 비상경영을 선포해 직원들에게 비용을 절감하자고 하고 있는 상황에서 경영진 대상으로 주식을 보상한 것은 "비윤리적 경영"이라고 비판했다.

앞서 2022년 7월 최 회장은 자신이 직접 주재한 ‘그룹경영회의’에서 전사 차원의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당시 최 회장은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수요 위축, 비용 상승, 공급망 위기 등 복합적 경제충격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즉시 그룹 차원의 비상경영에 돌입한다"며 "각 그룹사 경영진들은 각 회사별 주요 경영요소들을 면밀히 체크하고 특히 현금 흐름 및 자금 상황이 문제되지 않도록 현금 중심 경영을 한층 강화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후 김학동 포스코 대표이사 부회장도 2023년 1월25일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1천 원의 비용이라도 절감하고 1톤의 원료라도 경쟁력 있게 구매하려는 노력이 절실해지고 있다”며 “회사가 무엇을 해주길 바라는 것보다 내가 회사를 위해서 무얼 했는지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특히 포스코홀딩스의 핵심 자회사인 포스코에서 지난해 9월 태풍 힌남노로 인한 수해로 영업이익이 대폭 뒷걸음한 상황에서 성과 보상을 위한 자사주 지급은 이치에 맞지 않다는 비판이 거세다.

포스코는 창사 이래 처음으로 포항제철소가 침수돼 가동이 중단되는 사태를 맞았고 올해 1월이 돼서야 전체 공정의 복구 작업을 마무리했다. 이로 인해 2022년 영업이익은 1년 전보다 47.5% 감소한 4조8500억 원에 그쳤다.

김재이 포스코 노조 지회장은 이날 집회에서 “회사가 힘들고 어렵고 위기상황이라면서 왜 직원에게만 희생을 강요하냐”며 “그리고 책임경영과 기업시민을 강조하면서 자사주를 스톡그랜트로 지급 사실을 왜 뉴스를 통해 직원들이 알아야 하는가”라고 비판했다.

더욱이 노조는 스톡그랜트가 스톡옵션(주식매입 선택권)과 비교해 주주총회를 통한 정관변경 없이 이사회 결의를 통해 진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꼼수’가 아니냐고 몰아 세웠다.

스톡옵션은 '일정한 경우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다' 등의 관련 내용이 정관에 있어야 하는데 포스코홀딩스 정관에는 아직까지 스톡옵션과 관련한 내용이 포함돼 있지 않다.

또 스톡그랜트는 스톡옵션과 달리 낮은 가격에 주식을 사는 것이 아니라 무상으로 성과에 따라 지급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임원 입장에서 성과급 차원에서 더욱 유리한 것으로 여겨진다. 

물론 국내 주요 기업들에서는 최근 스톡그랜트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SK텔레콤을 포함한 SK그룹과 한화그룹에서 스톡그랜트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이뿐 아니라 글로벌 신용평가사인 S&P 등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평가할 때 지배구조 요소로 경영진의 주식보상 내역을 평가 요소로 삼고 있다.

노조의 스톡그랜트 반발과 관련해 포스코그룹 관계자는 “'주식보상' 도입을 통해 임원들의 책임경영을 강화하고자 한다”며 “재직기간 중에는 회사 주식을 의무보유토록 유지해 임원 보상과 주주와의 이해관계를 일치시킬 방침”이라고 말했다.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