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SK이노베이션에 최근 입사한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수평·자율적 기업문화’를 입사 이유로 꼽은 응답이 가장 많았다.

SK이노베이션은 최근 신입 및 경력사원 70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고 20일 밝혔다.
 
SK이노베이션 입사 이유 1위는 ‘수평·자율적 기업문화’, 신입직원 설문

▲ SK이노베이션이 최근 신입 및 경력사원 70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SK이노베이션 입사를 결정한 이유로 '수평·자율적 기업문화'가 1위로 꼽혔다.


설문조사 응답자들은 ‘회사 입사를 결정할 때 어떤 특성을 고려했냐’는 질문에 19%가 ‘수평·자율적 기업문화’를 1위로 꼽았다.

이어 ‘변화와 혁신’(18%), ‘급여·성과급 및 복리후생’(17%),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11%), ‘업계 1위’(6%) 등이 뒤를 이었다.

SK이노베이션은 이번 설문조사 결과 급여나 성과급 및 복리후생보다 기업문화가 더 앞선 순위에 있는 이유로 ‘할말 하는’ 자체 기업문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했다.

SK이노베이션은 소통 문화를 통해 일하는 방식을 혁신하고 회사의 발전과 구성원을 포함한 이해관계자의 행복을 추구하는 문화를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SK이노베이션은 지금까지 수평적이고 자율적 기업문화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들을 더욱 확대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SK이노베이션은 2021년부터 수직적 문화를 파회하고 상하관계의 벽을 허물기 위해 직급체계를 ‘PM(프로페셔널매니저)’으로 통일했다.

이에 SK이노베이션 구성원들은 신입사원부터 부장까지 모두 ‘PM’으로 불릴 뿐 아니라 내부적으로도 승진 개념이 사라져 성과에 따른 대우를 받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2018년부터 시행된 유연근무제를 확대 개편해 ‘선택적 근무제 2.0’제도도 마련했다. 선택적 근무제 2.0은 출퇴근 시간을 자유롭게 조정하는 것을 넘어 근로시간 범위 안에서 업무량에 따라 자율적으로 업무시간을 설계할 수 있는 제도다.

이 밖에도 SK이노베이션은 2019년부터 ‘자율좌석제’를 운영하고 있다. 구성원이 직접 내부 제도를 고민하고 설계해 제안하는 ‘행복클랜(Clan)’, 10년 주기 근속포상휴가와 연계해 최대 한 달 동안 쉴 수 있는 휴가제도인 ‘오리브(O!Leave)’ 등도 시행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도전과 혁신 DNA를 가진 우수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수평적이고 자유로운 기업문화를 조성하려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며 “자율과 책임을 바탕으로 개인의 성장을 촉진하는 데 중점을 두고 매년 제도를 개선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