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소비자연맹이 손해보험사들의 실손의료보험료 인상과 성과급 지급을 비판했다.

금용소비자연맹은 10일 보도자료를 통해 “손해보험사들이 대규모 손해를 이유로 실손의료보험료를 대폭 인상해놓고 성과급 잔치를 벌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금융소비자연맹 손해보험사 비판, "실손보험료 올리고 성과급 잔치"

▲ 주요 손해보험사 로고.


손해보험업계는 2021년 실손보험의 위험손해율이 130%가 넘고 손실액이 2조6천 억∼2조7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면서 올해 실손보험료를 9~16%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금융소비자연맹은 “실손보험 손해율 상승의 근본 원인은 과도한 사업비 사용과 과잉 진료 등 보험료 누수”라며 “보험사들이 보험료 누수 같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불투명한 손해율만을 핑계로 손쉽게 보험료를 인상해 책임을 소비자에게 전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금융소비자연맹은 “보험업계가 전체 보험료에서 사업비를 제외한 위험보험료만을 기준으로 한 위험손해율만 공개할 뿐, 전체 보험료를 기준으로 한 영업손해율을 공표하지 않아 손해율 통계를 신뢰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 가운데 삼성화재, 현대해상, DB손해보험, 메리츠화재 등 주요 손해보험사는 2021년 ‘역대급’ 실적을 이유로 올해 3월까지 성과급을 지급할 것으로 알려졌다.

2021년 3분기 누적으로 주요 10개 손해보험사의 순이익은 3조4천억 원에 이르렀다. 2020년 같은 기간보다 순이익이 53% 증가했다.

금융소비자연맹은 “손해는 보험료를 올려 소비자에게 전가하고 이익은 임직원이 나눠 갖는 것은 이율배반적 소비자 배신행위”라며 “보험료 인상을 멈추고 이윤을 소비자와 공유하는 조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