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북한 갈등으로 촉발된 엄중한 외교안보 상황 속에서 8·15 광복절 경축식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문재인 대통령이 경축사에서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지 주목된다.
문 대통령은 취임 후 베를린에서 한반도 평화구상을 밝히는 등 남북대화에 초점을 맞춘 대북 메시지를 낼 때가 많았다. 하지만 시기가 시기인 만큼 이번에는 북한을 겨냥한 강도높은 발언이 나올 가능성이 점쳐진다.
![]() |
||
▲ 문재인 대통령. |
문 대통령의 경축사 핵심 메시지는 한반도 전쟁반대와 평화원칙이 될 가능성이 크다. 문 대통령은 14일 수석비서관·보좌관회의 모두 발언에서 “한반도에서 두번 다시 전쟁은 안 된다”는 정부의 원칙이 확고함을 확인했다.
이를 전제로 문 대통령은 북한의 미사일 도발에 비판적 목소리를 내면서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해 무력시위 중단을 촉구할 것으로 보인다.
당초 문 대통령이 경축사에서 북한에 획기적인 대화 제안을 할 수 있다는 관측도 많았으나 현재는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문 대통령도 위중한 안보상황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섣부른 대화와 화해 발언은 삼갈 것으로 예상된다.
문 대통령은 7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에서 “지금은 대화할 때가 아니다”며 “북한이 핵을 포기하거나 폐기할 때까지 제재와 압박을 해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인도적 차원의 긴장완화를 위한 대화 제안은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북한이 전향적으로 태도를 바꿀 경우 대화 테이블은 얼마든지 열려있다는 점을 강조해 한반도 평화구상의 끈을 놓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수석비서관·보좌관회의에서도 북한에 도발과 위협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하면서 “올바른 선택을 한다면 남북간 교류협력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야권은 문 대통령이 단호한 대북 메시지를 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혜훈 바른정당 대표는 14일 “전 세계가 한반도 안보불안을 걱정하고 있는데 당사자인 문재인 정부만 강건너 불구경을 하고 있다"며 “문 대통령은 온 국민이 안심할 수 있게 강력하고 단호한 대북 메시지를 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이 대표는 “또다시 베를린 구상 수준의 남북대화 제안으로 일관한다면 국민이 폭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