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월26일 미국 미시간주 세인트클레어에 위치한 마그나전자 제조 공장에 전기차 배터리 인클로저에 쓸 자재가 쌓여 있다. <연합뉴스>
미국으로 수입되는 배터리셀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던 중국산에 관세가 붙어 한국과 같은 대체 공급처 점유율이 늘 수 있다는 전망도 함께 제시됐다.
6일(현지시각) 에너지 전문매체 오일프라이스는 “중국산 배터리셀에 붙은 관세의 여파로 한국과 일본이 미국 내 시장 점유율을 늘릴 것으로 예상한다”고 보도했다.
미국 트럼프 정부는 중국 수입품에 34% 상호관세를 추가했다. 이에 미국으로 들어오는 중국산 배터리에 붙는 관세율은 64.9%로 상승했다.
반면 한국과 일본에 책정된 관세율은 각각 25%와 24%로 상대적으로 낮다.
오일프라이스는 “중국에 부과되는 관세율은 한·일과 차이가 크다”며 “한국과 일본은 중국산 배터리를 대체할 수 있는 유이한 생산국”이라고 분석했다.
중국은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미국으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셀 수출을 늘려 왔다.
중국에서 2022년 미국으로 수출한 배터리셀 규모는 2020년보다 8배 증가한 164억5천만 달러(약 24조1370억 원)로 집계됐다.
같은 시점에 한국과 일본이 미국으로 수출한 배터리셀은 각각 13억 달러와 17억 달러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 부과를 계기로 한국과 일본 배터리가 중국산을 대신해 수출 기회가 늘 수 있다.
트럼프 관세가 미국 내 전기차 산업 성장세 자체를 늦출 가능성도 거론됐다.
평균 1만2천 달러(약 1760만 원)에 달하는 전기차 배터리 가격이 관세로 상승해 잠재 수요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동차 정보업체 에드먼즈의 제시카 콜드웰 분석가는 “전기차 도입 초기와 달리 현재 소비자는 구매에 신중하다”며 관세 영향이 클 수 있음을 시사했다.
다만 오일프라이스는 배터리셀에 들어가는 일부 원자재는 원산지와 무관히 관세 영향권에 들 가능성도 함께 짚었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