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두산밥캣이 소형 건설장비와 지게차용 배터리 팩 원천기술 확보를 통한 핵심부품 내재화 및 수직계열화를 가속화한다.
두산밥캣은 LG에너지솔루션과 ‘소형 건설장비 배터리 팩 솔루션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 두산밥캣의 배터리 팩 제품. <두산밥캣>
이번 MOU를 통해 두 기업은 소형 건설장비용 표준화 리튬 배터리 팩과 솔루션을 개발하고 북미 등 주요 시장에 제공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LG에너지솔루션은 리튬이온 배터리 셀 또는 모듈을 제공하고 두산밥캣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 등을 더하고 이를 패키징해 소형 건설장비에 최적화된 배터리 팩을 공동개발한다.
로더와 굴착기 같은 건설장비에서 추후 트랙터 등 농업·조경용 장비까지 다양한 제품에 최적화된 배터리 팩 개발을 논의하기로 했다.
박현철 두산밥캣 부사장(CSO, 최고 전략책임자)은 “뛰어난 품질과 안전성을 갖춘 LG에너지솔루션의 셀을 바탕으로 소형 건설장비에 적합한 배터리 팩을 함께 개발하게 돼 기쁘다”며 “소형 건설장비용 배터리 팩을 표준화해서 글로벌 최대 시장인 북미 등지에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유성 LG에너지솔루션 전무(소형전지사업부장)는 “글로벌 건설장비업체 두산밥캣과 협력해 전동화 기술개발 및 사업추진을 하게 돼 기대가 크다”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전동화시장 선도를 위해 앞으로도 최초, 최고의 도전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두산밥캣은 전동화 장비의 성능과 직결되는 배터리 팩 내재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2023년부터 글로벌 리튬이온 배터리 기업인 중국 ‘코스엠액스(CosMX)’와 협업해 안정성과 성능이 강화된 배터리 팩을 개발해 지난해 하반기부터 전동 지게차에 탑재해 판매하고 있다.
두산밥캣은 지난달에는 코스엠액스와 기술지원협정(TAA)을 맺고 이 회사로부터 다양한 제품에 적용 가능한 배터리 팩 설계와 제작 기술을 전수받아 원천기술을 확보할 계획을 세웠다.
두산밥캣은 1월에 배터리 팩 사업을 담당하는 전담 조직을 신설한 데 이어 자체 연구개발(R&D)센터도 설립한다. 올해 하반기 준공을 목표로 경기도 안양시 평촌에 구축하는 R&D센터에서는 배터리 팩 제작 기술 검증을 수행하게 된다.
박 부사장은 “유압에 이은 배터리 팩 사업 수직 계열화를 통해 전통적 산업용 장비는 물론 전동화 흐름에도 대비할 수 있는 핵심 부품에 대한 경쟁력을 갖추게 됐다”며 “글로벌 선도 기업들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최적의 배터리 팩을 개발해 다양한 소형 장비에 적용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인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