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태열 장관은 12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 인정 가능성에 대한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할 리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외교장관 조태열 "트럼프가 북한 핵보유국 인정할 리 없어, 한미 비핵화 공감"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정치·외교·통일·안보 대정부질문에서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상현 의원이 "'뉴클리어 파워(핵 보유국)'와 '뉴클리어 파워를 인정'하는 것은 다르지 않냐"고 묻자 조 장관은 "그렇다"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에 대해 '핵보유국'으로 해석될 수 있는 '뉴클리어 파워(nuclear power)'라는 표현을 썼다.

조 장관은 한국과 미국이 북한의 비핵화라는 공감대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윤 의원이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이 고도화되면 미국이 핵 보유국 지위를 인정할 수밖에 없는데, 언제로 예상하느냐"고 묻자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한미 간의 공감대가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한미 간 핵공유 협정 및 조건부 핵무장 주장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자 "아직 그런 말을 하기에는 시기상조"라며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공동 목표를 위해 전력 질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방위비에 대한 질의가 이어졌다.

조 장관은 윤 의원이 미국 측의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 재협상 요구 가능성을 묻자 "여러 가지 옵션을 연구하고 있다"면서도 "저희가 먼저 문제를 제기할 생각은 없다"고 답했다.

이어 윤 의원이 "미국이 방위비 인상을 요구하면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 및 핵 추진 잠수함 기술 이전, 핵 공유 협정 등을 주장해야 한다"고 제안하자, 조 장관은 "옵션으로서 모든 걸 다 검토해야 하겠지만 단계별로 다뤄나갈 문제이기 때문에 그 모든 가능성을 지금 한꺼번에 다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조성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