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최윤호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이 스텔란티스, GM과 협력을 확대하면서 북미 시장에서 부진한 배터리 사업 반등 기회를 노린다.
최 사장이 내놓은 카드는 삼성SDI가 강점을 보이는 각형 배터리다. 다른 형태의 배터리에 비해 내구성이 뛰어나고 화재 안전에도 강점을 지니고 있어 완성차 업체들이 주목하고 있기 때문이다.
1일 삼성SDI 안팎 취재를 종합하면 최 대표는 스텔란티스와 함께 올해 12월 북미 현지에서 연간 33기가와트시(GWh) 규모의 각형 니켈·코발트·알루미늄(NCA) 배터리 생산을 목표로 합작사업을 본격화한다.
GM과도 각형 배터리 합작법인 계약을 완료하고, 2027년 양산을 목표로 연산 약 27GWh 규모의 전기차 배터리 생산공장 설립을 추진 중이다. 이 공장은 향후 약 36GWh까지 생산량을 늘릴 설비를 갖출 예정이다.
최 사장은 협력을 통해 북미 시장에서 전기차 각형 배터리 주요 공급사 입지를 확대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각형 배터리는 기존 잘 알려진 표준화 측면에서 용이하다는 장점 외에도 안전성과 팩 설계 측면에서의 장점이 부각되는 폼펙터다. 삼성SDI는 유연화된 규격으로 생산할 수 있는 각형 배터리인 이른바 ‘BTS 배터리’를 보유하고 있다.
또 북미 합작공장 가동을 통해 삼성SDI는 내년부터 첨단제조세액공제(AMPC)를 통해 연간 약 4900억 원의 절세 효과를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지 세제혜택에 더해 최근 하락한 리튬 등 원료가격까지 더해져 삼성SDI는 가격경쟁 부담을 덜 것이라는게 전문가들 설명이다.
또 미국 등의 중국산 전기차 수입 제한 등 시장변화에 따라 북미에서 전기차 각형 배터리 공급을 늘리는 데 최 사장은 집중하고 있다.
지난 5월 미국과 캐나다가 중국산 전기차에 대해 100%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면서 미국 시장을 노리는 기업들은 중국 업체들과 협력이 어려워졌다. 이뿐 아니라 중국산 전기차용 리튬이온 배터리에 대한 관세는 7.5%에서 25%로 높아진다.
기존 현지 투자기업이 누리던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보조금에 ‘대중국 고율관세’가 더해져 중국산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와 가격경쟁에서 한결 부담을 던 셈이다.
회사는 재생에너지 발전 확대로 시장 성장이 전망되는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 수요에도 대응하고 있다.
올해 6월 공개한 ESS용 삼성배터리박스1.5(SBB1.5)는 단위 에너지밀도가 37% 향상됐고, 강화된 직접분사 기술로 화재 예방 및 확산 방지 기능을 강화한 제품이다. 인공지능(AI) 서비스 시장 성장에 따라 전력 수요도 급증함에 따라 증권가에선 회사의 북미 실적을 견인할 주요 제품으로 보고 있다.
최 사장은 북미 시장에서 주춤한 성장세를 합작법인 공장가동과 ESS 사업 등으로 타개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 회사의 상반기 지역별 매출을 보면 북미 시장은 2조6363억 원으로 지난해 상반기 2조7745억 원보다 5.0% 감소했다.
매출 비중만 놓고 보면 유럽이 42.1%로 가장 높지만, 미국이 27.5%로 두 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정원석 iM증권 연구원은 삼성SDI의 2025년도 연결기준 실적을 매출 20조670억 원, 영업이익 1조6920억 원으로 전망했다. 2024년 예상실적보다 매출은 14%, 영업이익은 116% 각각 늘어나는 것이다.
그는 “오는 12월 북미 첫 배터리 생산 공장이 가동되기 시작해 2025년부터 IRA AMPC 수혜가 시작돼 실적은 올해를 바닥으로 성장세가 가파를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규완 기자
최 사장이 내놓은 카드는 삼성SDI가 강점을 보이는 각형 배터리다. 다른 형태의 배터리에 비해 내구성이 뛰어나고 화재 안전에도 강점을 지니고 있어 완성차 업체들이 주목하고 있기 때문이다.
▲ 최윤호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 <삼성SDI>
1일 삼성SDI 안팎 취재를 종합하면 최 대표는 스텔란티스와 함께 올해 12월 북미 현지에서 연간 33기가와트시(GWh) 규모의 각형 니켈·코발트·알루미늄(NCA) 배터리 생산을 목표로 합작사업을 본격화한다.
GM과도 각형 배터리 합작법인 계약을 완료하고, 2027년 양산을 목표로 연산 약 27GWh 규모의 전기차 배터리 생산공장 설립을 추진 중이다. 이 공장은 향후 약 36GWh까지 생산량을 늘릴 설비를 갖출 예정이다.
최 사장은 협력을 통해 북미 시장에서 전기차 각형 배터리 주요 공급사 입지를 확대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각형 배터리는 기존 잘 알려진 표준화 측면에서 용이하다는 장점 외에도 안전성과 팩 설계 측면에서의 장점이 부각되는 폼펙터다. 삼성SDI는 유연화된 규격으로 생산할 수 있는 각형 배터리인 이른바 ‘BTS 배터리’를 보유하고 있다.
또 북미 합작공장 가동을 통해 삼성SDI는 내년부터 첨단제조세액공제(AMPC)를 통해 연간 약 4900억 원의 절세 효과를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지 세제혜택에 더해 최근 하락한 리튬 등 원료가격까지 더해져 삼성SDI는 가격경쟁 부담을 덜 것이라는게 전문가들 설명이다.
또 미국 등의 중국산 전기차 수입 제한 등 시장변화에 따라 북미에서 전기차 각형 배터리 공급을 늘리는 데 최 사장은 집중하고 있다.
지난 5월 미국과 캐나다가 중국산 전기차에 대해 100%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면서 미국 시장을 노리는 기업들은 중국 업체들과 협력이 어려워졌다. 이뿐 아니라 중국산 전기차용 리튬이온 배터리에 대한 관세는 7.5%에서 25%로 높아진다.
기존 현지 투자기업이 누리던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보조금에 ‘대중국 고율관세’가 더해져 중국산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와 가격경쟁에서 한결 부담을 던 셈이다.
▲ 배터리 원자재인 리튬 가격 급락, 미국 자동차 업체와 배터리 합작공장 가동 등에 힘입어 삼성SDI가 북미 실적 부진을 만회할 것으로 관측된다. <삼성SDI>
회사는 재생에너지 발전 확대로 시장 성장이 전망되는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 수요에도 대응하고 있다.
올해 6월 공개한 ESS용 삼성배터리박스1.5(SBB1.5)는 단위 에너지밀도가 37% 향상됐고, 강화된 직접분사 기술로 화재 예방 및 확산 방지 기능을 강화한 제품이다. 인공지능(AI) 서비스 시장 성장에 따라 전력 수요도 급증함에 따라 증권가에선 회사의 북미 실적을 견인할 주요 제품으로 보고 있다.
최 사장은 북미 시장에서 주춤한 성장세를 합작법인 공장가동과 ESS 사업 등으로 타개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 회사의 상반기 지역별 매출을 보면 북미 시장은 2조6363억 원으로 지난해 상반기 2조7745억 원보다 5.0% 감소했다.
매출 비중만 놓고 보면 유럽이 42.1%로 가장 높지만, 미국이 27.5%로 두 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정원석 iM증권 연구원은 삼성SDI의 2025년도 연결기준 실적을 매출 20조670억 원, 영업이익 1조6920억 원으로 전망했다. 2024년 예상실적보다 매출은 14%, 영업이익은 116% 각각 늘어나는 것이다.
그는 “오는 12월 북미 첫 배터리 생산 공장이 가동되기 시작해 2025년부터 IRA AMPC 수혜가 시작돼 실적은 올해를 바닥으로 성장세가 가파를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규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