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내 대표 정보기술(IT) 기업 카카오가 사법 리스크에 휘말린 지 1년이 다 돼 간다. 최근 총수 구속으로 사법 리스크가 최고조에 이른 가운데 노사 갈등까지 불거지면서 카카오 쇄신 작업이 동력을 잃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6일 IT업계 취재를 종합하면 창업자 사법 리스크와 노사 간 갈등이 부각되면서 카카오의 쇄신을 둘러싼 내홍이 깊어지고 있다.
카카오는 지난해 10월부터 SM엔터테인먼트 인수 과정에서 시세 조종 혐의 등 주요 경영진의 사법 리스크가 잇달아 부상했다. 카카오는 고강도 쇄신 경영을 외치면서 새판 짜기에 나선 상황이지만, 쇄신방향을 둘러싸고 안팎에서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기업 내부에선 쇄신을 두고 노사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지난 4일 카카오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 카카오지회(카카오 노조)는 지난달 29일 사측에 교섭 결렬 공문을 발송한 뒤,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 신청을 했다고 밝혔다.
카카오 노조는 결렬 선언문을 내고 카카오가 1년 가량 경영쇄신을 본격적으로 진행하면서, 노조 측 요구를 반영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앞서 8월23일 카카오 노조는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드라마 제작사 고가 인수에 연루된 경영진의 배임과 횡령 의혹에 대한 내부 감사를 요구했다.
구체적으로 김성수 전 카카오엔터테인먼트 각자대표와 이준호 전 투자전략부문장에 대해 고문계약 해지와 해임을 요구했다. 이어 류영준 전 카카오페이 대표와 백상엽 전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대표에 대한 고문계약 해지도 요구했다.
앞서 올해 3월에는 카카오모빌리티와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대표 선임을 두고 사법 리스크 해결을 위한 노력이 없는 상황에서 사내이사 선임을 강행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카카오의 노사 임단협 협상 결렬은 2018년 10월 노조 설립 이후 처음이다.
서승욱 카카오 노조 지회장은 “사측의 일정 연기와 안건 미제출 등으로 교섭 기간이 10개월을 넘겼다”며 “논의 지속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결렬을 선언했으며, 향후 단체행동을 포함한 모든 수단과 방법을 통해 쇄신을 도모하겠다”고 말했다.
카카오 사측은 유감을 표하며 향후 노조 측과 소통을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안팎으로 잡음이 이어지는 가운데 인력 이탈로 이어지지 않도록 내부 결속력을 다지는 게 중요해졌다는 게 업계의 전언이다.
IT업계 관계자는 “규모가 큰 악재가 몇 년 새 연이어 벌어지면서 카카오 내부 분위기가 상당히 악화해 있다”고 말했다.
카카오는 지난해 10월 사법 리스크가 본격화한 후 쇄신 경영을 내걸고 있다.
시세조종 의혹과 관련해 조사하던 금융감독원은 2023년 8월10월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의 사무실을 압수 수색했다. 이후 2023년 10월19일에는 검찰이 배재현 전 카카오 투자총괄대표를 구속했다.
김 위원장은 12월 “카카오라는 회사 이름까지도 바꿀 수 있다는 각오로 쇄신 작업에 임하겠다"며 조직 정비 의지를 다졌고 이후 몸집 줄이기에 나섰다. 카카오는 8월 기준 올해 들어 계열사 15곳을 정리해 전부 123개로 줄였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21개가 줄었다.
또 주요 계열사 경영진 교체, 독립 기구인 경영쇄신위원회(쇄신위)와 경영 감시를 위한 외부 독립기구 준법과 신뢰위원회(준신위) 출범 등 의사결정 구조 구축 등 쇄신작업이 이어졌다.
다만 해를 넘긴 뒤에도 올해 7월 김범수 창업자 구속 등 사법 리스크는 더 고조되고 있다. 김 위원장이 자리를 비우면서 쇄신 동력이 상실됐다는 우려도 나온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를 중심으로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했지만 이후 뚜렷한 쇄신 성과는 드러나지 않고 있다. 이 가운데 김 위원장의 첫 재판은 9월11일 열릴 예정이다. 정희경 기자
6일 IT업계 취재를 종합하면 창업자 사법 리스크와 노사 간 갈등이 부각되면서 카카오의 쇄신을 둘러싼 내홍이 깊어지고 있다.
▲ 카카오 창업자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이 지난 7월22일 서울 양천구 남부지방법원에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카카오는 지난해 10월부터 SM엔터테인먼트 인수 과정에서 시세 조종 혐의 등 주요 경영진의 사법 리스크가 잇달아 부상했다. 카카오는 고강도 쇄신 경영을 외치면서 새판 짜기에 나선 상황이지만, 쇄신방향을 둘러싸고 안팎에서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기업 내부에선 쇄신을 두고 노사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지난 4일 카카오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 카카오지회(카카오 노조)는 지난달 29일 사측에 교섭 결렬 공문을 발송한 뒤,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 신청을 했다고 밝혔다.
카카오 노조는 결렬 선언문을 내고 카카오가 1년 가량 경영쇄신을 본격적으로 진행하면서, 노조 측 요구를 반영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앞서 8월23일 카카오 노조는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드라마 제작사 고가 인수에 연루된 경영진의 배임과 횡령 의혹에 대한 내부 감사를 요구했다.
구체적으로 김성수 전 카카오엔터테인먼트 각자대표와 이준호 전 투자전략부문장에 대해 고문계약 해지와 해임을 요구했다. 이어 류영준 전 카카오페이 대표와 백상엽 전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대표에 대한 고문계약 해지도 요구했다.
앞서 올해 3월에는 카카오모빌리티와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대표 선임을 두고 사법 리스크 해결을 위한 노력이 없는 상황에서 사내이사 선임을 강행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카카오의 노사 임단협 협상 결렬은 2018년 10월 노조 설립 이후 처음이다.
서승욱 카카오 노조 지회장은 “사측의 일정 연기와 안건 미제출 등으로 교섭 기간이 10개월을 넘겼다”며 “논의 지속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결렬을 선언했으며, 향후 단체행동을 포함한 모든 수단과 방법을 통해 쇄신을 도모하겠다”고 말했다.
카카오 사측은 유감을 표하며 향후 노조 측과 소통을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안팎으로 잡음이 이어지는 가운데 인력 이탈로 이어지지 않도록 내부 결속력을 다지는 게 중요해졌다는 게 업계의 전언이다.
IT업계 관계자는 “규모가 큰 악재가 몇 년 새 연이어 벌어지면서 카카오 내부 분위기가 상당히 악화해 있다”고 말했다.
▲ 카카오는 지난해 11월 이후 한 해 가까이 경영 쇄신을 이어오고 있다.
카카오는 지난해 10월 사법 리스크가 본격화한 후 쇄신 경영을 내걸고 있다.
시세조종 의혹과 관련해 조사하던 금융감독원은 2023년 8월10월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의 사무실을 압수 수색했다. 이후 2023년 10월19일에는 검찰이 배재현 전 카카오 투자총괄대표를 구속했다.
김 위원장은 12월 “카카오라는 회사 이름까지도 바꿀 수 있다는 각오로 쇄신 작업에 임하겠다"며 조직 정비 의지를 다졌고 이후 몸집 줄이기에 나섰다. 카카오는 8월 기준 올해 들어 계열사 15곳을 정리해 전부 123개로 줄였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21개가 줄었다.
또 주요 계열사 경영진 교체, 독립 기구인 경영쇄신위원회(쇄신위)와 경영 감시를 위한 외부 독립기구 준법과 신뢰위원회(준신위) 출범 등 의사결정 구조 구축 등 쇄신작업이 이어졌다.
다만 해를 넘긴 뒤에도 올해 7월 김범수 창업자 구속 등 사법 리스크는 더 고조되고 있다. 김 위원장이 자리를 비우면서 쇄신 동력이 상실됐다는 우려도 나온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를 중심으로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했지만 이후 뚜렷한 쇄신 성과는 드러나지 않고 있다. 이 가운데 김 위원장의 첫 재판은 9월11일 열릴 예정이다. 정희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