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서울도시철도 7호선 청라 연장선 관련 공사를 두고 동부건설과 코오롱글로벌이 대결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낮은 사업비로 공공공사 유찰이 이어지고 있는 형편이다. 하지만 중견건설사들이 비주택사업 확대에 나서고 정부가 공공공사 현실화 방안을 찾으면서 경쟁수주 사례가 늘어날지 주목된다.
 
중견건설사 공공공사에 '눈독', 동부건설·코오롱글로벌 청라7호선 대결 채비

▲ 동부건설과 코오롱글로벌이 서울도시철도 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 추가 역사업을 두고 경쟁을 펼친다. 사진은 서울도시철도 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선 공구 분할도. <인천시> 


25일 건설업계 안팎에 따르면 인천시 도시철도본부는 서울도시철도 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 추가 역사업의 실시설계적격자를 12월 선정하고 착공한다는 계획을 세워뒀다.

앞서 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에 동부건설 컨소시엄과 코오롱글로벌 컨소시엄이 참여했다. 인천도시철도본부는 9월24일까지 기술제안을 받고 12월 실시설계적격자가 선정되면 곧바로 착공에 들어간다.

청라 연장사업은 7호선 인천 석남역에서 청라국제도시를 지나 공항철도 청라국제도시역까지 연결하는 10.767km 구간으로 2022년 2월 착공됐다. 이 구간에 7개 역이 들어설 계획이었으나 스타필드 청라, 청라의료복합타운, 하나 드림타운사업이 가시화하며 추가 역이 필요해졌다.

이에 인천시는 005와 006 정거장 사이 추가 역을 신설하기로 했다. 추가 역 신설에는 1571억 원이 투입된다. 인천시는 기존 7개 역은 2027년 개통하고 추가 신설 역은 2029년 개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공공공사 유찰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비주택사업 확대에 힘을 기울이고 있는 동부건설과 코오롱글로벌이 맞붙게 돼 업계 관심이 적지 않다.

동부건설과 코오롱글로벌은 전날(24일) 유찰된 10조5천억 원 규모의 가덕도신공항 부지공사에 단독 입찰한 현대건설 컨소시엄에도 이름을 올렸다.

동부건설은 최근 적극적으로 공공공사 수주에 나서고 있다. 올해 누적으로 공공공사에서만 7천억 원의 수주 실적을 올렸다. 특히 설계와 시공 기술력이 요구되는 기술형 입찰 분야가 수주의 절반을 차지한다. 

6월에만 포항 국제 전시컨벤션센터(933억 원), 춘천~속초 철도건설 제2공구 노반신설 기타공사(1900억 원), 서울양천우체국 복합청사(970억 원) 등을 따냈다. 

코오롱글로벌은 비주택사업 포트폴리오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비주택부문 신규수주는 2021년 8천억 원에서 2022년 1조1천억 원, 2023년 1조6천억 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올해 비주택부문 신규목표 수주로 1조9천억 원을 잡았다. 사업 추진 의지가 강하고 재무체력이 뒷받침 되는 민간 발주처로부터 비주택 건축사업을 키우면서 공공공사도 놓치지 않는 모양새다. 

1분기에만 ‘대한항공 항공정비(MRO)시설 관련 증축 및 신축공사(3401억 원)’, ‘머크 바이오시설 공사(1766억 원) 등 모두 8987억 원의 비주택부문 일감을 확보했다. 1개 분기 만에 연간 목표의 절반에 가까운 곳간을 채운 것이다.

또한 지난 3월 대산~당진 고속국도 1공구(1200억 원) 낙찰예정자 결정통보문을 수령했고 지난 20일 춘천~속초 철도건설 제8공구 및 강릉~제진 제6공구 노반신설 기타공사(1750억 원)을 수주하며 공공공사 수주도 챙기고 있다. 
 
중견건설사 공공공사에 '눈독', 동부건설·코오롱글로벌 청라7호선 대결 채비

▲ 가덕도신공항 부지건설 공사 2차 입찰에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단독으로 입찰해 24일 유찰됐다. 사진은 가덕도신공항 조감도. < 국토교통부 > 


최근 정부는 공공공사 현실화 방안을 추진하면서 유찰을 막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표적 유찰사례는 광주 도시철도 2호선 2단계 구간이다. 8개 공구 가운데 7공구와 10공구가 지난해 8월부터 올해 6월까지 4차례 입찰이 진행됐지만 공사비 문제 등으로 시공사를 뽑지 못했다. 

공공공사에 특정 건설사가 단독으로 입찰한 뒤 2번 유찰되면 수의계약으로 넘어갈 수 있다. 하지만 특혜시비가 불거질 수 있는 등 문제 소지가 있어 정부는 경쟁입찰을 성립할 방안을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토부와 기획재정부는 지난 5월 ’공공공사 공사비 현실화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연구용역은 △공공공사 공사비 운영현황 정리 △공사비 적정성 여부 진단 △공사비 현실화를 위한 개선방안 제시 △구체적 추진방안 마련 등으로 진행된다.

또한 적정 공사비 미확보로 인해 유찰이 잇따르고 있는 경쟁입찰 턴키·수의계약 턴키 등 기술형 입찰의 물가보정시점을 변경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이에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위해 공공공사를 노리는 중견건설사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움지일 수 있단 분석이 나온다. 

공공공사는 일반적으로 계약금의 10%가 선수금으로 들어와 현금흐름에 도움이 된다. 수익성은 다소 낮을 수 있지만 사업성이 담보되는 데다 공사 대금이 꼬박꼬박 들어와 안정성이 높다.

한 중견건설사 관계자는 “현재 주택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토목, 플랜트 등 비주택사업 확대를 통해 안정적 성장기반을 만들려 한다”며 “사업성이 확보된 프로젝트 수주를 위해 공공사업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류수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