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진에어 목표주가가 낮아졌다
연간 실적 예상치가 높아졌지만 현재의 이익 수준을 지속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됐다.
정연승 NH투자증권 연구원은 15일 진에어 목표주가를 기존 2만1천 원에서 1만7천 원으로 낮춰잡았다. 투자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진에어 주가는 14일 1만2360원에 거래를 마쳤다.
정 연구원은 “2023년 연간 실적 예상치를 27% 높였으나 2023년 실적이 지속가능한 이익수준이 아니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진에어는 2023년 별도기준으로 매출 1조2731억 원, 영업이익 1777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2022년과 비교해 매출은 114.5%가 늘고 흑자로 돌아서는 것이다.
진에어 목표주가는 2023년부터 2024년 연간 평균 주당순이익(EPS)에 목표 주가수익비율 9배를 곱해 산출됐다.
국내 저비용항공사(LCC)의 운용 기재수 확대로 경쟁심화가 예상됐다.
정 연구원은 “코로나19가 퍼지는 동안에도 저비용항공사의 경쟁구도 재편은 진행되지 않았다”며 “기존 항공사 외에도 이스타항공 에어로케이 등의 항공사가 재차 기재를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저비용항공사의 운용 기재수는 2019년 157대에서 2022년 말 130대까지 감소했다. 2023년 말에는 148대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정 연구원은 "최근 저비용항공사의 경쟁상황은 단거리 노선을 중심으로 유가, 환율, 인건비 등의 비용상승 요인을 요금에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3분기 운임수준은 1분기에 못 미칠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3분기 진에어의 여객수송 지표 예상치를 살펴보면 공급킬로미터(ASK) 31억8천만km, 유상수송킬로미터(RPK) 28억2천만km이다. 국제선 운임은 킬로미터당 87.1원으로 지난해 3분기보다 13.8% 늘어났지만 올해 1분기 킬로미터당 108.0원보다는 낮다.
정 연구원은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인수합병에 따른 ‘통합 저비용항공사’ 출범 여부가 중요한 변수이다”며 “진에어에게 중장기 시장 점유율 확대의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인수합병은 현재 유럽연합, 미국, 일본 등 필수승인국가 3곳의 기업결합 심사가 진행 중이다. 대한항공은 계열사로 진에어를 아시아나항공은 계열사로 에어부산, 에어서울 등을 각각 거느리고 있어 인수합병 이후 통합설이 나온다. 신재희 기자
연간 실적 예상치가 높아졌지만 현재의 이익 수준을 지속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됐다.

▲ 진에어의 목표주가가 낮아졌다. 정연승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진에어가 2023년의 이익수준을 지속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봤다. <진에어>
정연승 NH투자증권 연구원은 15일 진에어 목표주가를 기존 2만1천 원에서 1만7천 원으로 낮춰잡았다. 투자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진에어 주가는 14일 1만2360원에 거래를 마쳤다.
정 연구원은 “2023년 연간 실적 예상치를 27% 높였으나 2023년 실적이 지속가능한 이익수준이 아니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진에어는 2023년 별도기준으로 매출 1조2731억 원, 영업이익 1777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2022년과 비교해 매출은 114.5%가 늘고 흑자로 돌아서는 것이다.
진에어 목표주가는 2023년부터 2024년 연간 평균 주당순이익(EPS)에 목표 주가수익비율 9배를 곱해 산출됐다.
국내 저비용항공사(LCC)의 운용 기재수 확대로 경쟁심화가 예상됐다.
정 연구원은 “코로나19가 퍼지는 동안에도 저비용항공사의 경쟁구도 재편은 진행되지 않았다”며 “기존 항공사 외에도 이스타항공 에어로케이 등의 항공사가 재차 기재를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저비용항공사의 운용 기재수는 2019년 157대에서 2022년 말 130대까지 감소했다. 2023년 말에는 148대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정 연구원은 "최근 저비용항공사의 경쟁상황은 단거리 노선을 중심으로 유가, 환율, 인건비 등의 비용상승 요인을 요금에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3분기 운임수준은 1분기에 못 미칠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3분기 진에어의 여객수송 지표 예상치를 살펴보면 공급킬로미터(ASK) 31억8천만km, 유상수송킬로미터(RPK) 28억2천만km이다. 국제선 운임은 킬로미터당 87.1원으로 지난해 3분기보다 13.8% 늘어났지만 올해 1분기 킬로미터당 108.0원보다는 낮다.
정 연구원은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인수합병에 따른 ‘통합 저비용항공사’ 출범 여부가 중요한 변수이다”며 “진에어에게 중장기 시장 점유율 확대의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인수합병은 현재 유럽연합, 미국, 일본 등 필수승인국가 3곳의 기업결합 심사가 진행 중이다. 대한항공은 계열사로 진에어를 아시아나항공은 계열사로 에어부산, 에어서울 등을 각각 거느리고 있어 인수합병 이후 통합설이 나온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