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CJ프레시웨이가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확립에 힘쓰고 있다.
CJ프레시웨이는 2024년 ESG 경영활동과 성과를 담은 ‘2024 ESG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
CJ프레시웨이는 2022년 이후 매해 보고서를 공개한다. 보고서는 CJ프레시웨이 홈페이지 안의 ESG 자료실에서 열람할 수 있다.
CJ프레시웨이는 이번 보고서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대내외 환경에 발맞춰 개편한 ESG 전략 체계를 발표했다.
전략 방향은 △지속가능한 음식 사업을 위한 ‘라이트웨이(LIGHT WAY)’ △함께 성장하는 내일을 위한 ‘라이트웨이(RIGHT WAY)’ 2가지로 설정됐다.
환경·안전 이슈 감축과 공급망·윤리 준법 경영 확립에 구성원 모두가 공감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표어로 만들었다고 CJ프레시웨이는 말했다.
이를 실행하기 위한 6대 과제로는 △기후변화 대응체계 구축 △식품 산업 안전 위험 제로 △지속가능 상품·서비스 혁신 △공급망 ESG 관리 체계 확립 △인권 존중·동반성장 문화 정착 △준법경영 고도화가 있다.
CJ프레시웨이는 매년 중대성 평가로 환경적·사회적·재무적 영향이 큰 사안을 핵심 이슈로 선정한다.
2024년에는 5대 이슈로 △기후변화 대응 △식품안전 △안전·보건 △공급망 관리 △윤리·준법 경영이 도출됐다.
사업 영역과 연관도가 높은 ‘식품안전’이 4년 연속 목록에 올랐으며 국내외 ESG 동향에 따라 기후변화 대응과 공급망 관리가 신규 이슈로 나타났다.
핵심 이슈에 객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전문검증기관에서 원칙 준수 여부와 관련 프로세스, 내부 통제 체계 등 종합 점검을 받았다.
보고서에서는 각 ESG 전략의 실행 성과와 앞으로 목표도 공유했다. 주요 성과로는 △온실가스 배출량 목록 스코프3(간접 배출 온실가스) 확장 △협력사 행동규범 자가진단 대상 확대 △준법경영 포탈 시스템 도입 등이 포함됐다.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한 감축 목표 수립 △식품·산업 안전 위험 사전 예방 시스템 적용 △협력사 ESG 경영평가 체계 구축 △ISO 인증 확대 등 구체적 목표도 제시됐다.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 협회 등으로부터 받은 수상 실적도 함께 소개됐다. 남녀고용평등 실천 공로로 고용노동부의 ‘남녀고용우수기업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으며 국내 최초로 한국 식자재유통협회의 식품안전인증(GLC)을 획득했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 의해 업계 최초 수산물 안전성검사기관으로도 지정됐다.
CJ프레시웨이는 “급변하는 ESG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체계적 이슈 검증 과정을 거쳐 사업별 기회와 위험을 치밀하게 진단하고 있다”며 “이해관계자의 투명한 소통과 긴밀한 협업을 바탕으로 ESG 실행 과제를 구체화하고 대응 체계를 고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솔 기자
CJ프레시웨이는 2024년 ESG 경영활동과 성과를 담은 ‘2024 ESG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

▲ CJ프레시웨이가 ‘2024 ESG 보고서’를 발간했다. < CJ프레시웨이 >
CJ프레시웨이는 2022년 이후 매해 보고서를 공개한다. 보고서는 CJ프레시웨이 홈페이지 안의 ESG 자료실에서 열람할 수 있다.
CJ프레시웨이는 이번 보고서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대내외 환경에 발맞춰 개편한 ESG 전략 체계를 발표했다.
전략 방향은 △지속가능한 음식 사업을 위한 ‘라이트웨이(LIGHT WAY)’ △함께 성장하는 내일을 위한 ‘라이트웨이(RIGHT WAY)’ 2가지로 설정됐다.
환경·안전 이슈 감축과 공급망·윤리 준법 경영 확립에 구성원 모두가 공감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표어로 만들었다고 CJ프레시웨이는 말했다.
이를 실행하기 위한 6대 과제로는 △기후변화 대응체계 구축 △식품 산업 안전 위험 제로 △지속가능 상품·서비스 혁신 △공급망 ESG 관리 체계 확립 △인권 존중·동반성장 문화 정착 △준법경영 고도화가 있다.
CJ프레시웨이는 매년 중대성 평가로 환경적·사회적·재무적 영향이 큰 사안을 핵심 이슈로 선정한다.
2024년에는 5대 이슈로 △기후변화 대응 △식품안전 △안전·보건 △공급망 관리 △윤리·준법 경영이 도출됐다.
사업 영역과 연관도가 높은 ‘식품안전’이 4년 연속 목록에 올랐으며 국내외 ESG 동향에 따라 기후변화 대응과 공급망 관리가 신규 이슈로 나타났다.
핵심 이슈에 객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전문검증기관에서 원칙 준수 여부와 관련 프로세스, 내부 통제 체계 등 종합 점검을 받았다.
보고서에서는 각 ESG 전략의 실행 성과와 앞으로 목표도 공유했다. 주요 성과로는 △온실가스 배출량 목록 스코프3(간접 배출 온실가스) 확장 △협력사 행동규범 자가진단 대상 확대 △준법경영 포탈 시스템 도입 등이 포함됐다.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한 감축 목표 수립 △식품·산업 안전 위험 사전 예방 시스템 적용 △협력사 ESG 경영평가 체계 구축 △ISO 인증 확대 등 구체적 목표도 제시됐다.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 협회 등으로부터 받은 수상 실적도 함께 소개됐다. 남녀고용평등 실천 공로로 고용노동부의 ‘남녀고용우수기업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으며 국내 최초로 한국 식자재유통협회의 식품안전인증(GLC)을 획득했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 의해 업계 최초 수산물 안전성검사기관으로도 지정됐다.
CJ프레시웨이는 “급변하는 ESG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체계적 이슈 검증 과정을 거쳐 사업별 기회와 위험을 치밀하게 진단하고 있다”며 “이해관계자의 투명한 소통과 긴밀한 협업을 바탕으로 ESG 실행 과제를 구체화하고 대응 체계를 고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