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코르테 마데라에 위치한 테슬라 대리점에 차량이 주차돼 있다. <연합뉴스>
테슬라는 미국 다수 공장에서 전기차를 제조해 판매하는데 수입산 부품이 관세 영향권에 들어 제조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6일(현지시각) 투자전문지 배런스에 따르면 테슬라 전기차의 미국 내 평균 판매 가격은 트럼프 관세 이후 4만9천 달러(약 7180만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현재 가격보다 9% 높아지는 수준이다.
테슬라 제조 비용이 멕시코나 중국을 상대로 한 미국 관세로 4천 달러가량 상승해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배런스는 미 도로교통안전국(NHTSA) 자료를 인용해 “미국 내 테슬라 차량 부품 가운데 25%는 멕시코산”이라며 “다른 10%는 중국산 배터리 소재일 가능성이 크다”고 짚었다.
그동안 테슬라는 트럼프 정부 관세로 다른 전기차 기업보다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테슬라가 미국 캘리포니아주와 텍사스주 등에 이미 전기차 조립 공장을 마련해 차량을 수입해 오는 데 따른 관세는 부담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테슬라조차 관세 영향권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 셈이다.
트럼프 정부는 5일부터 모든 국가 상품에 10% 보편 관세를 발표했다. 멕시코에 25% 관세를 유예한 상황이며 중국에는 34% 관세를 추가했다.
배런스는 “테슬라가 관세 상승분을 소비자에 전가하지 않으면 30억 달러(약 4조4천억 원) 추가 비용을 감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월스트리트 증권가는 올해 테슬라 영업이익을 83억 달러(약 12조2천억 원)로 예상한다.
이 가운데 36.1%를 관세로 내지 않으려면 테슬라에게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