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27일부터 생성형 AI 검색 서비스 'AI 브리핑' 도입 시작

▲ 네이버가 27일 AI 브리핑 서비스를 출시한다. 사진은 공식형 AI 브리핑 서비스의 모습. <네이버>

[비즈니스포스트] 네이버 생성형 인공지능(AI) 검색 서비스 ‘AI 브리핑’을 곧 출시한다.

네이버는 ‘AI 브리핑’을 오는 27일 중 출시하고 네이버 기존 서비스에 AI를 내재화하는 ‘온서비스 AI’ 전략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을 24일 밝혔다. 

모든 이용자는 27일부터 별도의 서비스 가입 없이 네이버 검색창을 통해 바로 AI 검색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AI 브리핑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간략히 요약된 답변을 제공하는 검색 기능이다. 요약된 답변과 창작자 및 원본 콘텐츠의 출처도 함께 제공한다. 

이 밖에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앱에서 AI 쇼핑 가이드, 장소 정보를 제공하는 플레이스, 화제 트렌드를 소개하는 ‘숏텐츠’ 등 각 유형에 최적화된 다양한 형태로 우선 도입된다. 

‘AI 브리핑’은 사용자의 검색 의도에 맞는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도입된다. 각각 UX/UI 디자인도 각기 다르며 노출 위치도 다양하다. 

또 검색 질의에 따라 최적화된 답변을 위해 다양한 콘텐츠 풀을 폭넓게 활용한다. 숏텐츠, 플레이스, 쇼핑은 검색 흐름 속에 넛징(선택을 유도하는 부드러운 개입) 형태로 노출되고 정답이 있거나 탐색이 필요한 정보성 질의의 경우 검색 결과 최상단에 노출되는 방식이다.

우선 공식형 AI 브리핑은 정답이 있는 답변이나 다양한 콘텐츠 탐색이 필요한 질의에 대해 검색 결과 최상단에 핵심 정보를 제공한다. 

정리된 요약과 출처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얻기까지 시간을 단축시키고 후속 질문을 통해 연관된 정보의 추가 탐색을 지원한다. 질의에 따라 하단에 제공되는 피드 영역에서 사용자의 검색 맥락에 맞는 개인화된 추천 정보도 제공한다.

 또 숏텐츠형 AI 브리핑은 숏텐츠로 추천된 콘텐츠들을 요약해 주요 내용을 빠르게 파악한 뒤 오리지널 콘텐츠에서 추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다. 

요약정보 뿐 아니라 콘텐츠를 소비한 사용자가 관심있을 만한 정보를 분석해 추천해주기도 한다. 

플레이스형 AI 브리핑은 사용자가 로컬과 관련된 정보를 흥미있고 깊이있게 탐색할 수 있도록 돕는다.

다양한 여행정보를 비롯해 국내외 핫플레이스 정보 탐색과 취향에 맞는 콘텐츠들을 추천한다. 우선 사용자가 많이 찾는 오사카, 교토 등 일본지역을 시작으로 다양한 국가의 여행지로 확대된다.

AI 브리핑은 쇼핑에도 적용됐다. 

네이버는 지난 12일 쇼핑 앱 ‘네이버플러스 스토어’를 통해 AI 브리핑 기능을 선보였다. 쇼핑에 적용된 ‘AI 쇼핑 가이드’는 상품 검색결과를 쇼핑에 최적화된 정보로 요약해 상품의 특성과 구매 팁을 제시한다. 

또 사용자가 구체적인 상품 정보나 사용 목적을 입력하지 않아도 AI 쇼핑 가이드에 따라 한 두 번의 클릭만으로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상품을 발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네이버는 연내 다양한 질의에서 AI 브리핑 노출을 확대하기로 했다. 또 이미지 검색을 통한 멀티모달 서비스 도입, 영어 및 일본어 등 다국어 서비스 지원 등 새로운 기능들도 순차적으로 선보이는 등 꾸준히 서비스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김광현 네이버 검색/데이터 플랫폼 부문장은 “AI 브리핑을 시작으로 네이버 검색을 방대한 사용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풍부한 콘텐츠로의 연결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더욱 고도화 될 것”이라며 “AI 에이전트 시대가 일상에 도래하는 시기에 맞춰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적기에 제공할 수 있도록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희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