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TSMC가 미국 트럼프 정부의 압박에도 인텔 파운드리 인수를 추진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를 무리하게 추진할 이유가 적고 트럼프 정부도 이를 밀어붙일 이유는 분명하지 않기 때문이다. 인텔 반도체공장 내부 사진.
미국 트럼프 정부가 반도체 수입관세 부과를 무기로 삼아 압박에 나섰지만 TSMC는 인텔에 자금을 들이는 대신 자체 공장을 증설하는 방향으로 대응할 공산이 크다.
반도체 전문지 EE타임스는 18일 전문가들의 분석을 인용해 “TSMC는 인텔 파운드리 사업에 지배력을 행사하려 하지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TSMC는 트럼프 정부의 요구에 따라 인텔 파운드리 사업의 지분과 경영권을 인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TSMC의 인텔 인수나 두 회사의 반도체 합작 생산법인 설립, 기술 공유 등 여러 방안을 압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텔이 재무 위기로 자체 역량을 키우기 어려운 상황에서 미국의 반도체 제조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려면 TSMC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결과다.
트럼프 정부는 TSMC가 이러한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대만 공장에서 제조돼 미국으로 수출되는 반도체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컨설팅업체 IBS는 두 회사 관계자들과 소통한 결과 “TSMC의 인텔 인수설은 곧 힘을 잃을 것”이라는 결론을 냈다고 EE타임스에 전했다.
TSMC가 인텔 파운드리를 인수해 거둘 수 있는 실익이나 동기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미국 정부도 결국 2나노를 비롯한 첨단 반도체 제조 설비를 자국에 유치하는 일이 우선순위인 만큼 TSMC의 인텔 인수가 유일한 선택지는 아니라는 분석이 이어졌다.
TSMC가 미국에 첨단 미세공정 반도체 생산 투자를 앞당기는 등 다른 방식으로 대응책을 제시해도 트럼프 정부는 이를 충분히 받아들일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 셈이다.
조사기관 테크인사이츠도 인텔이 18A를 비롯한 첨단 공정으로 미국에 자체 투자를 벌일 여력이 있기 때문에 TSMC의 도움이 크게 필요하지 않다는 관측을 제시했다.
다만 테크인사이츠는 TSMC가 트럼프 정부의 요구에 대응할 협상카드를 충분히 확보하지 않아 미국 내 투자를 확대하는 일은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았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TSMC가 인텔 파운드리를 인수한다면 미국의 반도체 제조 기술 주도권이 사실상 모두 대만 기업에 넘어가는 결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트럼프 정부에서도 이런 시나리오를 무리하게 추진할 이유는 크지 않다는 분석이 이어졌다.
다만 투자은행 FCC파트너스는 미국이 중국과 인공지능(AI) 기술 경쟁에서 반도체 공급망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어 TSMC를 향한 투자 압박이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텔과 같은 미국 기업이 첨단 미세공정 반도체 기술력을 충분히 쌓을 때까지는 TSMC의 미국 내 공장을 활용해 경쟁력을 유지할 가능성이 유력하다는 의미다.
테크인사이츠는 “TSMC의 인텔 인수는 미국의 국가 경쟁력에도, TSMC의 실익 측면에서도 부정적이고 인텔에만 좋은 일”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적극 밀어붙일 이유가 부족하다”고 덧붙였다.
TSMC는 이러한 상황에 맞춰 미국에 투자 확대를 예정보다 서두를 채비를 갖추고 있다.
증권사 모간스탠리는 TSMC가 인텔 파운드리 인수 여부와 관계없이 미국 공장 증설을 꾸준히 추진해나갈 것이라는 관측을 제시했다.
미국 내 고객사들의 수요와 대만의 지정학적 리스크 등 여러 요건을 고려하면 TSMC가 미국에서 반도체 생산 비중을 높일 이유가 충분하다는 것이다.
모간스탠리는 TSMC가 단기적으로 미국 반도체 수입관세 및 규제 영향에 리스크를 안고 있지만 중장기 관점에서는 충분히 수혜를 볼 수 있다고 전망했다.
미국에 첨단 파운드리 및 반도체 패키징 투자를 확대하는 과정에서 엔비디아나 아마존 등 주요 고객사와 비용을 분담할 가능성도 제기됐다.
TSMC가 미국에 공장을 설립하고 운영하려면 대만과 비교해 훨씬 큰 비용이 필요한데 고객사들이 이를 지원한다면 금전적 부담을 크게 덜 수 있기 때문이다.
FCC파트너스는 “트럼프 정부의 압박은 결국 TSMC의 미국 내 투자 확대를 유도하려는 목적”이라며 TSMC의 인텔 인수가 추진될 가능성은 낮다는 시각에 무게를 실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