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한민국 수도 서울은 스마트시티로의 전환에 발 빠르게 나서고 있다. 사진은 서울 남산 일대 전경. < Flickr >
이후 2009~2013년 ‘제1차 유비쿼터스 도시 종합계획’을 시작으로 우리나라 스마트도시 종합계획이 발전해왔다. 제3차 계획기간(2019~2023)부터 스마트시티로 이름을 바꾼 이 계획은 올해 제4차 스마트도시 종합계획이 발표됐다.
인구 1천만 명에 육박하는 수도 서울은 나라 주도의 스마트시티 계획을 수립하기 이전부터 ‘정보화’라는 이름을 시작으로 유비쿼터스 기반 유서울(U-Seoul)을 추진해 왔다. 25년 이상 꾸준히 관련 사업을 진행해온 결과 현재 스마트시티 모습을 갖추게 됐다.
서울시의 스마트시티 중장기 계획을 보면 ‘서울 정보화 마스터플랜(1999~2002, 2003~2006)’, ‘유 서울(U-Seoul) 마스터플랜(2006~2010)’,‘ 서울 정보화 마스터플랜(2011~2015)’, ‘서울 디지털기본계획(2016~2020)’을 거쳐 현재 ‘서울특별시 스마트도시 및 정보화 기본계획(2021~2025)’에 이르렀다.
서울시는 국제연합(UN)의 세계 주요 100대 도시 전자정부 평가에서 2003년부터 2019년까지 8년 연속 1위를 차지하는 등 우수한 디지털 역량을 바탕으로 스마트시티로 발전을 도모해왔다.
우리나라 경제·사회·문화 중심인 서울시는 이미 활성화한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바탕으로 세계에서도 선도적 스마트시티로 평가받고 있다.
서울시는 지속적으로 디지털 역량을 더욱 확대해 시민이 살기 좋은 스마트시티를 구현하고 전 세계 시장을 주도적으로 이끌겠다는 목표를 두고 있다.
◆ 세계 17위 스마트시티, 전 세계 ‘선도도시’ 서울
서울은 권위 있는 스마트시티 평가인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의 스마트시티인덱스(SCI)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아 왔다.
스위스에 위치한 IMD는 세계적으로 저명한 경영대학원으로 다양한 지표에 관한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2019년부터 매년 스마트시티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IMD는 2024년 세계 142개 도시를 대상으로 스마트시티에서 제공하는 평가항목 5개 분야(건강보건·이동성·활동·직업과 교육의 기회·거버넌스)별 구조(인프라) 및 기술(기술자원 및 서비스) 측정하고 15개 항목의 시민의식조사를 시행했다.
IMD는 2024년까지 5년 동안의 순위, 분야별 점수를 토대로 상위 20위권을 유지하고 있는 ‘선도도시’와 20~40위권의 ‘부상도시’를 선정했다.
서울은 2019년 23위에서 2023년 16위까지 순위를 끌어올린 뒤 2024년에는 17위를 기록했다.
2020년부터 20위 이내에 속하면서 스위스 취리히, 노르웨이 오슬로,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중국 베이징과 함께 선도도시로 꼽혔다.
서울을 포함한 선도도시들은 안정성, 예측가능성이 높고 기후변화 등 불확실성에 관한 대응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 대중교통 네트워크 개선, 친환경 모빌리티 개발 등 시민 삶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지역으로 선정됐다.
▲ '스마트서울맵'에서 바라본 서울 광화문 광장. < 스마트서울맵 갈무리 >
반면 구조 분야에서는 상대적으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오염, 주거비, 교통체증 등 환경 및 교통 분야에 관한 인프라 측면의 개선이 요구된 것이다.
IMD는 2024년 스마트시티 평가를 통해 “특히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도시 대응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며 “디지털화의 가속화에 따른 스마트시티의 디지털 포용, 취약계층에 관한 전략적 접근과 디지털 격차의 재정의가 필요하다”고 바라봤다.
◆ 시민 속에 녹아드는 스마트시티, 디지털 혁신 선도한다
서울시는 스마트시티의 핵심 요소로 평가되는 ‘디지털’을 가장 강조하고 있다.
서울시의 2021~2025년 중장기 청사진 ‘서울시 스마트도시 및 정보화 기본계획’에 따른 비전은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는 미래 스마트 표준 도시, 서울’이다.
서울시의 스마트시티 추진전략은 △미래 스마트도시 혁신 기반 조성 △사람중심 스마트도시 구현 △시민 체감 도시서비스 제공 등으로 이뤄진다.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해 시민들에게 혁신적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서울시의 핵심 디지털 인프라는 크게 공공와이파이, CCTV, 빅데이터 등이다.
서울시는 올해 6월30일 기준으로 모두 3만3266대의 공공와이파이를 설치하고 있다. 2011년 129대에서 13여 년 만에 250배가 늘어난 것이다. 또 서울시 전역에 모두 17만6371개의 CCTV를 구축했다.
빅데이터는 통합관리체계 ‘에스-데이터(S-Data)’를 통해 관리된다. 에스-데이터는 서울시의 모든 정보를 수집해 스마트시티의 근간 인프라 역할을 수행한다.
이렇게 구축된 디지털 인프라는 스마트시티의 모습을 갖추는 데 활용된다.
공공와이파이는 디지털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무료 와이파이 제공 역할을 넘어서 서울시의 모든 스마트시티 서비스의 원활한 구현을 위한 근간이 된다.
서울시는 마포구 상암동에 CCTV 안전센터를 세워 17만 개가 넘는 눈으로 시민들의 안전을 책임지고 있다. 안전센터는 서울시의 각 자치구의 통합관제센터를 총괄해 방법, 재난, 구급 등 긴급상황을 파악하고 경찰, 소방서 등 유관기관과 소통하는 플랫폼 역할을 한다.
▲ 서울시의 한 자치구의 CCTV 통합관제센터 모습. < 서울시 >
궁극적으로는 이를 활용해 시민이 직접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체감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시는 스마트 모빌리티, 안전 관련 서비스를 중심으로 시민 체감 서비스를 꾸리는데 중점을 둔다.
대표적 스마트 모빌리티로는 지난해 기준 상암 디지털미디어센터(DMC) 인근에서 운행되고 있는 3개 노선, 9대의 수요응답형 자율차 및 자율주행 버스가 있다. 최근 2년 동안 시민 4967명이 모두 17만km 이상의 거리를 자율주행 모빌리티를 이용하며 주목을 받았다.
안전 관련 서비스로는 모두 1만3070명의 고위험 안전 취약 어르신을 대상으로 한 안전관리 솔루션, 28만 개의 가로등 무선원격감시제어시스템, 보행약자의 이동경로와 편의정보를 보기 쉽게 설명해주는 기능을 포함한 ‘스마트서울맵’ 등이 운영되고 있다.
서울시의 ‘디지털’ 스마트시티로의 성장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서울시는 1일 다음 계획년도(2026~2030)에 적용될 스마트도시 및 정보화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을 발주했다. 이를 기반으로 더욱 고도화한 스마트시티 밑그림을 그리는 작업을 추진한다.
서울시는 2030년까지의 스마트시티 추진목표를 ‘디지털로 시민 삶의 질을 높이는 스마트도시 서울 구현’으로 설정했다. 현재 구축된 인프라, 스마트시티 체계, 개별 서비스들을 발전함과 동시에 공간별 특성을 반영한 ‘마스터플랜’ 수립 및 자치구들과 서울시가 같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통합계획 마련에 착수한다.
◆ 서울 글로벌 협력 주도해 스마트시티 생태계 확산 나서
서울시는 이미 전 세계 시장에서 스마트시티 역량을 하나로 모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서울시는 세계스마트시티기구(WeGo, World Smart Sustainable Cities Organization)의 의장국을 맡고 있다.
서울시 주도로 탄생한 세계스마트시티기구의 역사는 200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2008년 서울에서 열린 ‘세계 전자정부 시장 포럼’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의 제안에 따라 ‘세계 전자정부 선언’이 공동으로 채택됐다. 전 세계 도시 사이 전자정부 경험, 디지털 역량을 공유하고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함이다.
이는 2010년 세계스마트시티기구의 전신인 세계도시전자정부협의체(World e-Governments Organization)의 출범으로 이어졌다. 현재도 쓰이는 약자인 위고는 출범 당시 이름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세계도시전자정부협의체는 세계적으로 스마트시티의 개념이 진화하는데 발맞춰 2017년 지금의 세계스마트시티기구로 이름을 바꾸게 됐다.
출범 당시 50개 도시 및 지방 정부로 구성된 세계스마트시티기구는 현재 202개의 도시 및 기업, 기관을 아우르는 거대한 협의체로 거듭났다.
세계스마트시티기구는 스마트시티를 통해 시민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공공서비스를 혁신하며 지역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국제 플랫폼으로의 정체성을 지니고 있다.
세계스마트시티기구는 국내외 다양한 콘퍼런스 개최, 교육 프로그램 및 유관기관과 협력 기회 제공 등의 활동을 수행한다. IMD 스마트시티인덱스 개발에도 함께 참여했다.
서울시는 국제 스마트시티의 기준점을 만들어가는 데 앞장서고 있다.
지난해 서울시는 세계스마트시티기구와 서울스마트도시상을 제정했다. 혁신 기술로 사람 중심의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한 노력을 공식적으로 인정해 이런 움직임이 더욱 확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기술과 사람 모두를 정확하게 평가하고자 하는 뜻으로 기술부문(Tech-InnovaCity)과 사람부문(Human-CentriCity)을 나누어 시상한다.
▲ 지난해 9월25일 서울 중구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제1회 서울 스마트도시상' 시상식 뒤 오세훈 서울시장(앞줄 오른쪽에서 여섯 번째) 등 관계자 및 수상자들이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 서울시 >
서울시와 세계스마트시티기구는 10월10일부터 12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스마트라이프위크 2024’를 개최한다. 올해 처음으로 열리는 이 행사의 슬로건은 ‘사람 중심의 기술, 더 나은 삶으로 연결하다(Human-Centric Tech, Connect to a Better Life)’로 정해졌다.
서울시는 스마트라이프위크 2024를 제2회 서울스마트시티상 수상 포함 전 세계 스마트도시들의 성과를 공유하고 앞으로 나아갈 길을 모색할 전시회, 시상식, 포럼 및 회의를 망라한 박람회로 꾸린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4’에 참석해 “CES가 기술에 초점을 맞춘 행사라면 스마트라이프위크는 훨씬 더 사람에게 초점을 맞춘 전시회가 될 것”이라며 “스마트라이프위크를 3년 내에 CES처럼 발전시킬 수 있도록 도전하겠다”고 의지를 보였다. 장상유 기자
본 기획물은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