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와 전기차 관세 협상에 중국 관영매체 환영, “관세 부과하면 양측 다 손해”

▲ 로베르트 하베크 독일 부총리 겸 경제기후보호부 장관이 22일 중국 베이징을 직접 찾아 정산지에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위원장을 만나 악수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유럽연합(EU)이 전기차 관세 인상을 두고 공식 협상에 나서겠다는 발표에 중국 정부의 입장을 대변하는 관영매체가 환영하는 입장을 내비쳤다. 

유럽과 중국이 자동차 산업은 물론 다양한 경제 영역에서 상호 의존도가 높아 전기차에 관세를 부과하면 모두가 피해를 입을 것이라는 경고성 메시지도 함께 내놨다.

23일(현지시각) 글로벌타임스는 무역정책 전문가들의 발언을 인용해 “중국과 EU의 경제협력 규모가 상당하다 보니 무역 마찰의 확대는 양측 모두에게 하등 도움될 것이 없다”라고 보도했다. 

EU는 중국 당국이 불법 보조금을 제공한다는 이유로 중국산 수입 전기차에 최대 38.1%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12일 발표해 무역 갈등을 촉발했다. 

그러나 중국의 거센 반발과 더불어 폭스바겐 등 중국에 생산 거점을 둔 완성차 업체들을 중심으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자 관세를 발표한 지 10일 만인 22일에 보조금 조사와 관련한 논의를 시작하기로 합의했다.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왕원타오 상무부 장관과 발디스 돔브로브스키스 EU 집행위원회 통상담당 수석부집행위원장은 22일 화상 회담에서 합의 의사를 교환했다. 이에 중국 관영매체로부터 이를 환영하는 성격의 보도가 나온 것이다. 

글로벌타임스는 “EU가 관세 부과를 예고한 7월4일 이전에 이를 철회하는 결정이 가장 나은 선택지”라며 “EU가 만약 보호주의적 움직임을 보인다면 중국 또한 이에 대응해 모두가 손해만 볼 것”이라고 분석했다. 

EU가 무역정책을 정치 논리로 접근해 중국산 전기차에 관세 부과 결정을 내리다 보니 이를 해결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EU는 2024년 들어 전기차 관세뿐 아니라 중국을 겨냥해 모두 31건의 무역 및 투자 제한 조치를 단행했다. 

중국사회과학원 소속의 쑨얀홍 유럽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유럽의 일부 정치인들이 무역 문제를 정치적으로 접근해 무기화하다 보니 전기차 관세를 둘러싼 합의가 여의치 않을 수 있다”라고 짚었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