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경쟁력포럼] 환경부 장관 한화진 “플라스틱 순환경제와 기업 경쟁력 정책 적극 지원”

▲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12일 비즈니스포스트 주최로 서울 여의도 FKI타워(옛 전경련 회관)에서 열린 '2024 기후경쟁력 포럼'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비즈니스포스트]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플라스틱 순환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지원 의지를 재확인했다.

한 장관은 12일 비즈니스포스와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공동 주최, ‘국제플라스틱협약이 온다, 순환경제를 준비하라’를 주제로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다이아몬드홀에서 열린 '2024 기후경쟁력 포럼'에서 환영사를 통해 플라스틱 순환경제 실현을 위한 정부 정책 방향을 밝혔다.

그는 “정부는 플라스틱 오염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협약에 적극 대응하겠다”며 “플라스틱 순환경제 실현을 통해 우리의 글로벌 경쟁력을 기를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탄소중립 실현의 한 축으로 순환경제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봤다.

그는 “최근 전 세계 화두는 ‘기후변화 대응’, ‘탄소중립’인데, 탄소중립 실현의 큰 축인 제품의 생산, 소비, 처리 전 과정에서의 순환경제는 기후위기 극복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필수 과제가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 중에서도 특히 플라스틱은 순환경제 실현을 위한 대표 문다”라고 했다.

그는 “지금까지 추진 동향을 보면 국가별 이해관계가 복잡해 국제 플라스틱 협상이 쉽지 않았지만, 정부는 올해 11월 부산에서 열리는 제5차 회의에서 국제 플라스틱 협약의 성안을 위해 국제사회와 협력하고, 국내적으로도 협약에 대한 사전 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환경부의 플라스틱 전주기 관리 정책도 소개했다. 그는 “환경부는 플라스틱 포장재 사용을 줄이고, 다회용기 사용을 확대하기 위한 지원을 펼치고 있다”며 “불가피하게 발생한 플라스틱 폐기물을 원료로 다시 활용할 수 있도록 첨단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플라스틱 폐기물 선별 시설을 구축하고, 플라스틱 재활용 시설을 곳곳에 설치하는 등 플라스틱 재활용 정책을 고도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재희 기자

<한화진 환경부 장관 환영사 전문>

환경부 장관 한화진입니다. 먼저 뜻깊은 포럼 자리를 마련해주신 강석운 비즈니스포스트 대표이사님, 김영호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이사장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바쁘신 중에도 귀한 시간을 내어 함께해 주신 존경하는 국회의 김소희 의원님, 박지혜 의원님, 서왕진 의원님께 감사드리며 김상협 탄소중립녹색성장 공동위원장님과 영상으로 함께하시는 데이빗 앳킨  유엔 책임투자원칙(PRI) 대표님을 비롯해 이 자리에 참석한 모든 내외빈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여러분 최근 전 세계의 화두는 ‘기후변화 대응’, ‘탄소중립’입니다.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큰 축인 제품의 생산, 소비, 처리 전 과정에서의 순환경제는 기후위기 극복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필수 과제입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플라스틱은 순환경제 실현을 위한 대표 문제입니다.

OECD는 플라스틱 폐기물이 2019년 3억5천만 톤에서 2060년 12억 톤까지 3배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아시는 것처럼 플라스틱 폐기물은 하천과 바다 등의 생태계에 오염을 일으킵니다.

국제사회는 이러한 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해결하고자 지난 제5차 유엔환경총회에서 플라스틱 전주기 관리를 위한 국제협약을 마련하기로 합의했습니다. 현재까지 총 네 차례 정부간 협상이 있었고 올해 11월 협약 최종안 마련을 위한 협상이 한국 부산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추진 협상 추진동향을 보면 국가별 이해관계가 복잡해 협상이 쉽지 않았지만 우리정부는 협약의 성안을 위해서 국제사회와 협력하고 국내적으로도 사전준비에 만전을 기하고자 합니다.

여러분 플라스틱은 어떻게 쓰느냐, 어떻게 버리느냐, 어떻게 처리하느냐의 문제가 중요합니다.

환경부는 플라스틱 순환경제로 나아가기 위해 2020년 10월 전주기 합작 플라스틱 감량과 재활용 확대를 위한 정책을 추진해왔습니다.

예를 들어서 플라스틱 포장재 사용을 줄이도록 하고 일회용 플라스틱 대신 다회용기 사용을 지원을 펼치고 있습니다. 또한 불가피하게 발생한 플라스틱 폐기물을 원료로 다시 활용할 수 있도록 첨단기술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인공지능을 활용해 플라스틱 폐기물 선별 시설을 구축하고 재활용 시설을 전국에 설치해 플라스틱 재활용 정책을 고도화하겠습니다. 

또한 정부는 플라스틱 오염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협약에 적극 대응하고 플라스틱 순환경제 실현을 통해서 우리의 글로벌 경쟁력을 기를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에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오늘 이 자리를 통해 플라스틱 순환경제의 적용방안에 대한 발전적인 논의가 이뤄지길 바랍니다. 다시 한번 이 자리에 참석한 모든 참가자들께 감사 말씀드립니다. 고맙습니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