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포스코퓨처엠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포스코퓨처엠은 양극재를 포함 2차전지 소재부문에서 외형이 빠르게 성장하고 포스코홀딩스를 통한 가치사슬 구축에 힘입어 안정된 수익성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이안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31일 포스코퓨처엠 목표주가를 기존 47만3천 원에서 59만 원으로 상향조정하고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30일 포스코퓨처엠 주가는 45만3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 연구원은 “포스코퓨처엠은 2차전지 소재를 중심으로 올해부터 2025년까지 한 해 평균 약 80%씩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며 “올해 하반기 추가로 양극재 수주계약을 진행할 경우 회사는 더욱 큰 외형 성장을 보일 것이다”고 분석했다.
그는 “포스코퓨처엠은 100조 원이 넘는 규모의 양극재 수주계약을 따냈다”며 “이를 고려하면 양극재 부문에서는 올해부터 2025년까지 한 해 평균 90%가 넘는 성장을 보일 것이다”고 내다봤다.
포스코퓨처엠은 올해 매출 4조6163억 원, 영업이익 1512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39.8% 늘고 영업이익은 8.8% 감소하는 것이다.
국내 유일의 완전한 가치사슬 구축에 힘입어 안정적 수익을 거둘 것으로 예상됐다.
이 연구원은 “포스코퓨처엠은 포스코홀딩스를 통한 원료, 제련·정제, 전구체, 양극활물질, 폐배터리 리사이클링까지 완전한 가치사슬을 구축했다”며 “이에 힘입어 앞으로도 안정적인 수익성을 나타낼 것이다”고 전망했다. 전구체는 2차전지 핵심소재인 양극재 원가의 70%를 차지하며 양극재의 출력과 밀도 등의 특성을 결정한다.
그는 “포스코퓨처엠은 2027년 기준으로 전구체 43%, 리튬 86%, 니켈 68% 등의 내재화율(국산화율)을 갖출 것이다”며 “이는 국내 양극재 기업들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다”고 덧붙였다. 전찬휘 기자
포스코퓨처엠은 양극재를 포함 2차전지 소재부문에서 외형이 빠르게 성장하고 포스코홀딩스를 통한 가치사슬 구축에 힘입어 안정된 수익성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 포스코퓨처엠이 에너지 소재와 양극재 중심으로 빠른 외형 성장을 나타내고 완전한 가치사슬을 구축하면서 안정된 수익성을 보일 것으로 파악됐다. <포스코퓨처엠>
이안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31일 포스코퓨처엠 목표주가를 기존 47만3천 원에서 59만 원으로 상향조정하고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30일 포스코퓨처엠 주가는 45만3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 연구원은 “포스코퓨처엠은 2차전지 소재를 중심으로 올해부터 2025년까지 한 해 평균 약 80%씩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며 “올해 하반기 추가로 양극재 수주계약을 진행할 경우 회사는 더욱 큰 외형 성장을 보일 것이다”고 분석했다.
그는 “포스코퓨처엠은 100조 원이 넘는 규모의 양극재 수주계약을 따냈다”며 “이를 고려하면 양극재 부문에서는 올해부터 2025년까지 한 해 평균 90%가 넘는 성장을 보일 것이다”고 내다봤다.
포스코퓨처엠은 올해 매출 4조6163억 원, 영업이익 1512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39.8% 늘고 영업이익은 8.8% 감소하는 것이다.
국내 유일의 완전한 가치사슬 구축에 힘입어 안정적 수익을 거둘 것으로 예상됐다.
이 연구원은 “포스코퓨처엠은 포스코홀딩스를 통한 원료, 제련·정제, 전구체, 양극활물질, 폐배터리 리사이클링까지 완전한 가치사슬을 구축했다”며 “이에 힘입어 앞으로도 안정적인 수익성을 나타낼 것이다”고 전망했다. 전구체는 2차전지 핵심소재인 양극재 원가의 70%를 차지하며 양극재의 출력과 밀도 등의 특성을 결정한다.
그는 “포스코퓨처엠은 2027년 기준으로 전구체 43%, 리튬 86%, 니켈 68% 등의 내재화율(국산화율)을 갖출 것이다”며 “이는 국내 양극재 기업들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다”고 덧붙였다. 전찬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