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남부발전이 경상남도 합천군과 손잡고 2025년까지 청정에너지 융복합발전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시작부터 어려움이 예상된다.

주민들이 융복합발전소를 놓고 환경을 파괴하고 오염물질을 배출한다며 발전소 건설의 백지화를 요구하고 있다.
 
남부발전 합천 청정에너지 융복합발전 출발부터 '주민 반대' 난관

▲ 신정식 한국남부발전 사장.


9일 남부발전과 합천군에 따르면 합천군에 2025년까지 800MW급 청정에너지 융복합발전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청정에너지 융복합발전단지 조성사업은 합천군 쌍백면과 삼가면 일대에 사업비 1조5천억 원을 투입해 액화천연가스 500MW, 태양광 200MW, 수소연료전지 80MW 등의 발전시설을 조성하는 프로젝트다.

남부발전은 계획이 마련된 태양광발전을 먼저 설치하고 액화천연가스발전소와 수소연료전지를 차례로 설치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현재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태양광발전의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남부발전은 액화천연가스발전소 건설과 수소연료전지 사업을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마련하는 9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이 올해 하반기 수립된 이후 추진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전력수급 기본계획에 천연가스발전소 건설이 포함돼야 남부발전이 그 계획에 따라서 후속업무를 진행할 수 있다. 수소연료전지는 연료로 액화천연가스에서 생산한 수소를 이용해야 해서 천연가스발전소부터 먼저 세워야 한다.  

남부발전 관계자는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청정에너지 융복합발전단지는 아직 사업 초기 단계”라며 “태양광발전의 예비타당성조사가 끝나면 설계와 인허가 등의 준비 작업을 거쳐 태양광발전 공사부터 들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남부발전은 정부의 에너지 전환정책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높일 계획을 세우고 있어 상당한 발전용량을 확보할 수 있는 청정에너지 융복합발전단지의 조성이 중요하다.

남부발전은 2030년까지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 목표인 20%보다 높은 30% 달성을 자체적 목표로 설정하고 신재생에너지발전 설비용량으로 6GW를 확보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청정에너지 융복합발전단지 조성사업은 문준희 합천군수의 대표 공약사업이기 때문에 합천군에서도 역량을 모으고 있다.

합천군은 청정에너지 융복합발전단지의 조성을 통해 합천군의 지역경제 활성화와 인구 증가에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다만 최근 합천 지역 발전단지건립반대투쟁위원회가 환경오염과 환경훼손, 발전단지 조성을 위한 주민 동의 과정에 의문을 제기하며 발전소 건설에 반대하고 있다.

이들은 액화천연가스발전소 건설 예정지가 분지라서 공기 중 오염물질이 흩어지지 않아 주민 건강과 근처에 위치한 친환경 생태농업 시범단지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태양광발전도 산림을 크게 훼손할 우려가 있다고 주장한다. 

액화천연가스발전이 기존 화석연료와 비교하면 청정에너지로 평가받고 있지만 산업통상자원부 자료를 보면 석탄화력발전의 3분의 1 정도의 대기오염물질과 8분의 1 수준의 초미세먼지를 배출한다.

또 청정에너지 융복합발전단지 조성을 위한 주민공청회를 거쳤다고 하지만 주민들은 이러한 사실을 전혀 몰랐다고 주장하고 있다.

발전단지건립반대투쟁위원회는 8월25일 합천군의회를 찾아가 군의회의장과 면담을 진행하며 발전단지 조성사업 반대 결의안 채택을 요구했다.

남부발전은 합천군으로 창구를 일원화해 주민 반대 문제에 대응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남부발전은 합천군과 주민 반대 문제를 긴밀히 공유하며 합천군에서 필요로 하는 자료 제공 등 여러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합천군 관계자는 “반대하는 주민들과 대화를 시도하고 있다”며 “주민들에 관한 지원책을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