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공사가 미세먼지와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발전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전력공사는 30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함께 ‘매체순환 연소기술’ 개발했다고 밝혔다. 세계 최대용량인 500kW 설비로 가압 실증도 마쳤다.
 
한국전력, 미세먼지와 온실가스 배출없는 발전기술 개발

▲ 김종갑 한국전력공사 사장.


매체순환 연소기술은 미세먼지와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발전기술이다.

기존 연소방식은 화석연료가 공기 또는 산소와 직접 접촉했다면 매체순환 연소기술에서는 두 개의 반응기 안에서 산소 전달 입자가 순환하면서 연료를 태운다.

매체순환 연소기술은 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한다.

기존 액화천연가스(LNG)화력발전은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모으기 위해 흡수탑, 재생탑, 송풍기 등 여러 대형설비가 필요했지만 매체순환 연소기술은 이산화탄소를 모으기 위한 설비가 필요 없다.

매체순환 연소기술은 그동안 200kW 연속운전이 세계 최대 용량으로 꼽혔지만 이번에 전력연구원이 기술을 개발해 500kW급 가압 실증도 성공했다.

한국전력은 앞으로 발전사와 협력해 MW규모로 매체순환 연소기술을 개발해 실제 발전소에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기술을 확보하기로 했다.

한국전력 관계자는 “한국전력의 매체순환 연소기술은 그동안 큰 비용이 드는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을 저렴하게 대체해 획기적”이라며 “앞으로 친환경 발전기술 분야에서 국내 기술이 세계 최고가 되기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