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의 탈원전정책에 맞춰 국가 원자력 연구개발의 투자방향도 바뀐다.

기존의 원자력 연구개발이 원자력발전소 확대 및 성능 개선에 중점을 뒀다면 앞으로는 원자력발전소와 관련한 기술의 안전을 강화하는 연구에 초점을 맞춘다.
 
과기정통부, 탈원전에 맞춰 해체와 안전에 연구개발 투자 집중

▲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미래원자력기술 발전전략’을 발표하면서 “정부가 원자력발전소 해체 기술을 확보하고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올해보다 투자를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원전 안전성 확보를 위해 내년에 687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는 올해(600억 원)보다 10% 이상 늘어난 규모이며 내년 원자력분야 연구개발에 투입되는 예산 2036억 원의 34%를 차지한다.

과기부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협력해 원전 해체를 위한 기반기술 38개와 상용화기술 58개 등 모두 96개 기술을 2021년까지 확보하기로 했다. 내년 이 사업에 들어가는 과기부 예산은 138억 원이다.

또 원전의 내진성능을 강화하고 중대사고 방지 및 리스크 평가 기술을 개발하는 등 원전의 안전 강화에 96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사용후핵연료를 안전하게 운송하기 위한 밀봉용기를 개발하고 방사성폐기물 관리를 위한 처분 관련한 기술을 확보하는 데도 예산을 투입한다. 정부는 사용후핵연료 관리기술 개발에 122억 원, 사용후핵연료 운반저장기술 개발에 40억 원, 사용후핵연료 처분기술 개발에 50억 원을 각각 들이기로 했다.

과기부는 원자력 기술을 의료와 바이오 등 다른 분야에도 활용하기로 했다.

과기부는 원자력의학원을 방사선기술을 기반으로 한 연구중심병원으로 지정해 2019년까지 동위원소 치료기술 개발 플랫폼을 구축하고 임상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또 진단방사선 의약품을 개발하는 데 138억 원을 지원하고 연구용 원자로인 ‘하나로’ 등 연구기반 시설을 활용해 산업소재를 개발하는 데 50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과기부는 원자력기술을 이용해 신산업을 육성하도록 대전 하나로, 전북 방사선연구소, 서울 방사선치료 플랫폼 등 원자력 기반시설이 모여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방사선 융복합 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도 마련했다. 국내 연구로 및 중소형원자로 등의 수출 지원도 늘리기로 했다.

이와 함께 핵융합 등 미래에너지원을 확보하기 위해 ‘핵융합에너지원천기술개발사업(가칭)’을 2020년 신설하고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건설사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과기부는 이번 발전전략을 반영해 내년 상반기에 ‘원자력 연구개발 5개년 계획’(2017∼2021년)을 보완하는 한편 전략에 맞도록 기관과 사업도 개편하기로 했다.

과기부는 “파이로프로세싱(사용한 핵연료의 건식 재처리)과 소듐냉각고속로(SFR) 기술 연구개발의 경우 지속 여부가 내년에 결정되는 만큼 이번 전략에는 포함하지 않았다”며 “내년 1월 재검토 결과가 나오면 다시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비즈니스포스트 박소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