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제유가가 상승했다.
16일(현지시각) 뉴욕상업거래소에서 6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1.77%(1.08달러) 오른 배럴당 61.83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선물거래소의 6월물 브렌트유는 전날보다 1.82%(1.18달러) 상승한 배럴당 65.85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국제유가는 공급 우려가 높아지며 상승했다”며 “미국 정부가 이란에서 원유를 수입하는 중국 기업을 대상으로 제재를 발표한 영향”이라고 말했다.
미국 정부는 이란과 2차 핵 협상을 앞두고 이란의 석유 수출을 제한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16일(현지시각) 미국 재무부는 10억 달러 이상의 이란산 원유를 구매한 중국 정유사에 제재를 가했다.
김 연구원은 “석유수출국기구(OPEC), 국제에너지기구(IEA) 등 주요 기관이 원유 수요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면서 하락했던 국제유가는 지정학적 갈등 요인 등에 상승하며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밖에 미국 달러화가 약세를 보인 점도 국제유가가 오른 요인으로 꼽혔다. 조경래 기자
16일(현지시각) 뉴욕상업거래소에서 6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1.77%(1.08달러) 오른 배럴당 61.83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 미국 노스다코타주의 석유 시추시설. <연합뉴스>
런던선물거래소의 6월물 브렌트유는 전날보다 1.82%(1.18달러) 상승한 배럴당 65.85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국제유가는 공급 우려가 높아지며 상승했다”며 “미국 정부가 이란에서 원유를 수입하는 중국 기업을 대상으로 제재를 발표한 영향”이라고 말했다.
미국 정부는 이란과 2차 핵 협상을 앞두고 이란의 석유 수출을 제한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16일(현지시각) 미국 재무부는 10억 달러 이상의 이란산 원유를 구매한 중국 정유사에 제재를 가했다.
김 연구원은 “석유수출국기구(OPEC), 국제에너지기구(IEA) 등 주요 기관이 원유 수요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면서 하락했던 국제유가는 지정학적 갈등 요인 등에 상승하며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밖에 미국 달러화가 약세를 보인 점도 국제유가가 오른 요인으로 꼽혔다. 조경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