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롯데월드 ‘번지드롭’과 ‘회전그네’, ‘회전목마’가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롯데월드어드벤처는 2월2일까지만 번지드롭과 회전그네, 회전목마를 운영한다고 13일 밝혔다.
번지드롭은 2000년 7월 롯데월드어드벤처가 선보인 놀이기구다. 당시 35억 원을 투자한 이 놀이기구는 탑승물을 높이 끌어올린 뒤 자유낙하를 하는 드롭형 기종이다.
오픈 당시 실내에 위치했다가 2006년 5월 실외 공간인 매직아일랜드로 옮겨졌다.
회전그네는 2002년 9월 매직아일랜드에 선보인 놀이기구다. 12m 크기의 버섯나무에 매달린 나뭇잎 모양 의자 32개가 시속 50㎞로 빠르게 회전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롯데월드어드벤처에 따르면 번지드롭 운영 24년 동안 총 운행 횟수는 약 103만4천 회다. 누적거리로 환산하면 약 10만㎞다. 누적 이용객 수는 약 2064만 명이다.
회전그네는 하루 평균 99회 운행해 22년 동안 모두 79만5천 회 운영됐다. 거리로 환산하면 약 151만㎞로 지구와 달을 2차례 왕복할 수 있는 거리다. 22년 동안 약 2178만 명이 이용한 것으로 추산됐다.
놀이기구 ‘머킹의 회전목마’도 2월2일까지만 운영한다.
권오상 호텔롯데 월드사업부(롯데월드) 대표는 “롯데월드어드벤처는 기존 놀이기구에 많은 사랑을 보내주셨던 손님들의 감사함을 잊지 않고 새 놀이기구를 선보여 손님들에게 잊지 못할 특별한 경험과 추억을 선사하며 미래를 여는 도전과 모험을 지속적으로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남희헌 기자
롯데월드어드벤처는 2월2일까지만 번지드롭과 회전그네, 회전목마를 운영한다고 13일 밝혔다.
▲ 롯데월드어드벤처가 운영하는 놀이기구 '번지드롭'과 '회전그네', '회전목마'가 2월2일을 끝으로 운영을 마친다. 사진은 2000년대 초반 회전그네 탑승객 모습. <롯데월드>
번지드롭은 2000년 7월 롯데월드어드벤처가 선보인 놀이기구다. 당시 35억 원을 투자한 이 놀이기구는 탑승물을 높이 끌어올린 뒤 자유낙하를 하는 드롭형 기종이다.
오픈 당시 실내에 위치했다가 2006년 5월 실외 공간인 매직아일랜드로 옮겨졌다.
회전그네는 2002년 9월 매직아일랜드에 선보인 놀이기구다. 12m 크기의 버섯나무에 매달린 나뭇잎 모양 의자 32개가 시속 50㎞로 빠르게 회전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롯데월드어드벤처에 따르면 번지드롭 운영 24년 동안 총 운행 횟수는 약 103만4천 회다. 누적거리로 환산하면 약 10만㎞다. 누적 이용객 수는 약 2064만 명이다.
회전그네는 하루 평균 99회 운행해 22년 동안 모두 79만5천 회 운영됐다. 거리로 환산하면 약 151만㎞로 지구와 달을 2차례 왕복할 수 있는 거리다. 22년 동안 약 2178만 명이 이용한 것으로 추산됐다.
놀이기구 ‘머킹의 회전목마’도 2월2일까지만 운영한다.
권오상 호텔롯데 월드사업부(롯데월드) 대표는 “롯데월드어드벤처는 기존 놀이기구에 많은 사랑을 보내주셨던 손님들의 감사함을 잊지 않고 새 놀이기구를 선보여 손님들에게 잊지 못할 특별한 경험과 추억을 선사하며 미래를 여는 도전과 모험을 지속적으로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