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건설현장이 취업자 규모 감소와 함께 고령화, 임금 체불 등으로 고용의 질적 악화를 겪고 있다.
한국 조선업이 겪고 있는 인력난에 건설업을 견줘 보면 현재 진행 중인 현장에서 고용 체질 악화는 향후 건설업황의 반등 시기에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24일 통계청이 조사한 고용동향을 보면 올해 11월 건설업 취업자 수는 208만7천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만6천 명(4.4%%) 감소하며 모든 산업 분야 가운데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다.
전체 산업에서 건설업이 차지하는 취업인원도 줄어들었다. 올해 11월 건설업 취업자의 비중은 7.2%로 지난해 11월 7.6%보다 0.4%포인트 감소했다.
건설업은 고용 규모 축소에 더해 근로자의 고령화까지 다른 산업 분야보다 더욱 심화되는 상황인 것으로 조사됐다.
건설근로자공제회 자료를 보면 올해 7월 기준으로 전체 산업 취업자 가운데 40대 이상의 비중은 67.2%다. 다만 건설기능 인력에서는 40대 이상의 비중이 82.4%로 집계됐다.
건설 근로자의 평균 연령은 50세를 넘어섰을 정도다.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4년 '건설근로자 종합생활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건설근로자의 진입연령은 39.4세, 평균 연령은 51.8세다.
건설기술인 가운데 20대 및 30대 청년층의 비중도 15.7%에 그쳤다. 2004년만 해도 청년층 비중은 64% 이상이었다.
건설 인력의 청년층 유입 감소는 인력난으로도 이어진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중소건설사 가운데 기술인력 채용이 어려웠다고 응답한 비중은 94%에 이른다. 이들 중고건설사 대다수는 건설현장의 기술인력이 부족해지는 가장 큰 원인으로 ‘건설산업에 진입하는 청년층의 부족’을 꼽았다.
청년층의 건설업 유입 감소에는 사회 전반의 고령화에 더해 건설 산업 일자리를 향한 전망 및 평판 악화도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내놓은 ‘건설산업의 청년인재 확보전략’ 보고서를 보면 건설학과를 전공하거나 설계 및 엔지니어링기업에서 근무하는 건설 청년세대는 건설 산업의 미래 전망을 ‘나쁘다’고 보는 비중(37%)이 ‘좋다’고 보는 비중(21%)보다 많았다.
건설 청년세대의 최근 1년간 건설 산업에 대한 인상이 ‘부정적으로 변했다’는 응답은 51%로 ‘긍정적으로 변했다’는 응답 13%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또한 조사에 응답한 건설 청년세대 가운데 62%는 건설 산업의 인상을 개선할 필요성을 놓고 ‘매우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건설업의 침체에 따른 임금체불 규모가 더욱 커지고 있다는 점은 건설 일자리를 향한 평판 저하를 더욱 부추기는 요소다.
고용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건설업 임금 체불 규모는 2019년 3168억 원에서 2020년 2779억 원, 2021년 2615억 원으로 매년 감소했다. 하지만 이후 건설 경기 침체가 시작되면서 2022년 2925억 원에서 지난해에는 4363억 원까지 증가했다.
건설업계 안팎에서는 건설 일자리의 고령화 및 평판 악화에 따른 청년층 유입 감소 등은 앞으로 건설업황이 회복 흐름에 들어설 때 인력난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현재 건설업이 겪는 일자리 관련 문제는 약 8년 전부터 조선업에서 유사하게 발생해 이어져 오고 있기 때문이다.
조선업은 과거에 불황을 겪으며 건설업과 유사하게 현장 인력의고령화와 청년층 유입의 감소를 겪었다.
다만 최근 들어 조선업은 호황기로 들어섰고 그만큼 현장 인력 수요도 늘고 있다.
고용노동부의 ‘2024년 하반기 주요 업종 일자리 전망 발표’에 따르면 세계적 경기하방 기조에도 2024년 세계 선박 발주는 2023년 4170만 CGT(표준화물선 환산톤수)보다 소폭 상승한 4310만 CGT로 전망됐다. 국내 조선업계 역시 선별 수주를 통한 시장점유율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국내 조선 업종 근로자 규모는 올해 상반기에 11만4천 명으로 지난해 상반기 10만4천 명보다 9.4% 증가했다.
하지만 조선업에서는 늘어난 일자리를 모두 채우지 못하는 상황으로 파악된다. 올해 상반기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구인인원은 5100명, 채용인원 4400명으로 800여 개의 일자리가 충원되지 못했다. 조선업의 미충원율은 14.7%로 전체 산업의 평균인 8.3%과 비교하면 6.4%포인트 높다.
조선업에 필요한 인력의 빈 자리는 외국인 노동자로 채워지고 있다. HD현대중공업은 울산조선소에 외국인 노동자 수가 지난해 말 3500명에서 올해 12월 기준 4500명으로, 삼성중공업 역시 거제조선소에 외국인 노동자수가 같은 기간 3500명에서 4600명으로 늘어나는 등 외국이 노동자 수는 가파르게 늘고 있다.
이미 현장 인력의 상당수가 외국인 노동자로 채워진 건설업 역시 업황이 반등하더라도 조선업과 유사하게 인력난을 겪을 수 있다.
외국인 노동자 수는 무한정으로 늘릴 수 없는 데다 사회적 갈등을 유발할 가능성도 큰 만큼 건설업계가 인력을 수급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정부는 20일 외국인 인력정책위원회를 통해 외국인 고용허가제 쿼터를 올해 16만5천 명에서 2025년 13만 명으로 줄이기로 결정했다. 쿼터를 줄이게 된 데는 외국인 근로자 수요에도 불구하고 산업 상황에 따라 사회적 갈등이 나오는 데 영향을 받은 것으로도 분석된다.
대표적으로 플랜트 건설은 외국인 고용을 놓고 노사 갈등이 벌어지는 산업 분야로 꼽힌다.
정부가 플랜트 건설에 외국인 고용 허가를 추진하자 전국플랜트건설 노조는 "외국인 고용 논의를 중단하지 않으면 쟁의권을 확보해 파업 투쟁을 벌일 것"이라는 내용의 성명을 내놓기도 했다. 김인애 기자
한국 조선업이 겪고 있는 인력난에 건설업을 견줘 보면 현재 진행 중인 현장에서 고용 체질 악화는 향후 건설업황의 반등 시기에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 건설업이 취업 규모 감소 및 고령화, 임금 체불 등으로 고용의 질이 우려되고 있다.
24일 통계청이 조사한 고용동향을 보면 올해 11월 건설업 취업자 수는 208만7천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만6천 명(4.4%%) 감소하며 모든 산업 분야 가운데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다.
전체 산업에서 건설업이 차지하는 취업인원도 줄어들었다. 올해 11월 건설업 취업자의 비중은 7.2%로 지난해 11월 7.6%보다 0.4%포인트 감소했다.
건설업은 고용 규모 축소에 더해 근로자의 고령화까지 다른 산업 분야보다 더욱 심화되는 상황인 것으로 조사됐다.
건설근로자공제회 자료를 보면 올해 7월 기준으로 전체 산업 취업자 가운데 40대 이상의 비중은 67.2%다. 다만 건설기능 인력에서는 40대 이상의 비중이 82.4%로 집계됐다.
건설 근로자의 평균 연령은 50세를 넘어섰을 정도다.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4년 '건설근로자 종합생활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건설근로자의 진입연령은 39.4세, 평균 연령은 51.8세다.
건설기술인 가운데 20대 및 30대 청년층의 비중도 15.7%에 그쳤다. 2004년만 해도 청년층 비중은 64% 이상이었다.
건설 인력의 청년층 유입 감소는 인력난으로도 이어진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중소건설사 가운데 기술인력 채용이 어려웠다고 응답한 비중은 94%에 이른다. 이들 중고건설사 대다수는 건설현장의 기술인력이 부족해지는 가장 큰 원인으로 ‘건설산업에 진입하는 청년층의 부족’을 꼽았다.
청년층의 건설업 유입 감소에는 사회 전반의 고령화에 더해 건설 산업 일자리를 향한 전망 및 평판 악화도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내놓은 ‘건설산업의 청년인재 확보전략’ 보고서를 보면 건설학과를 전공하거나 설계 및 엔지니어링기업에서 근무하는 건설 청년세대는 건설 산업의 미래 전망을 ‘나쁘다’고 보는 비중(37%)이 ‘좋다’고 보는 비중(21%)보다 많았다.
건설 청년세대의 최근 1년간 건설 산업에 대한 인상이 ‘부정적으로 변했다’는 응답은 51%로 ‘긍정적으로 변했다’는 응답 13%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또한 조사에 응답한 건설 청년세대 가운데 62%는 건설 산업의 인상을 개선할 필요성을 놓고 ‘매우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건설업의 침체에 따른 임금체불 규모가 더욱 커지고 있다는 점은 건설 일자리를 향한 평판 저하를 더욱 부추기는 요소다.
고용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건설업 임금 체불 규모는 2019년 3168억 원에서 2020년 2779억 원, 2021년 2615억 원으로 매년 감소했다. 하지만 이후 건설 경기 침체가 시작되면서 2022년 2925억 원에서 지난해에는 4363억 원까지 증가했다.
건설업계 안팎에서는 건설 일자리의 고령화 및 평판 악화에 따른 청년층 유입 감소 등은 앞으로 건설업황이 회복 흐름에 들어설 때 인력난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현재 건설업이 겪는 일자리 관련 문제는 약 8년 전부터 조선업에서 유사하게 발생해 이어져 오고 있기 때문이다.
▲ 최근 호황기를 맞은 조선업은 인력을 충원하지 못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선업은 과거에 불황을 겪으며 건설업과 유사하게 현장 인력의고령화와 청년층 유입의 감소를 겪었다.
다만 최근 들어 조선업은 호황기로 들어섰고 그만큼 현장 인력 수요도 늘고 있다.
고용노동부의 ‘2024년 하반기 주요 업종 일자리 전망 발표’에 따르면 세계적 경기하방 기조에도 2024년 세계 선박 발주는 2023년 4170만 CGT(표준화물선 환산톤수)보다 소폭 상승한 4310만 CGT로 전망됐다. 국내 조선업계 역시 선별 수주를 통한 시장점유율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국내 조선 업종 근로자 규모는 올해 상반기에 11만4천 명으로 지난해 상반기 10만4천 명보다 9.4% 증가했다.
하지만 조선업에서는 늘어난 일자리를 모두 채우지 못하는 상황으로 파악된다. 올해 상반기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구인인원은 5100명, 채용인원 4400명으로 800여 개의 일자리가 충원되지 못했다. 조선업의 미충원율은 14.7%로 전체 산업의 평균인 8.3%과 비교하면 6.4%포인트 높다.
조선업에 필요한 인력의 빈 자리는 외국인 노동자로 채워지고 있다. HD현대중공업은 울산조선소에 외국인 노동자 수가 지난해 말 3500명에서 올해 12월 기준 4500명으로, 삼성중공업 역시 거제조선소에 외국인 노동자수가 같은 기간 3500명에서 4600명으로 늘어나는 등 외국이 노동자 수는 가파르게 늘고 있다.
이미 현장 인력의 상당수가 외국인 노동자로 채워진 건설업 역시 업황이 반등하더라도 조선업과 유사하게 인력난을 겪을 수 있다.
외국인 노동자 수는 무한정으로 늘릴 수 없는 데다 사회적 갈등을 유발할 가능성도 큰 만큼 건설업계가 인력을 수급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정부는 20일 외국인 인력정책위원회를 통해 외국인 고용허가제 쿼터를 올해 16만5천 명에서 2025년 13만 명으로 줄이기로 결정했다. 쿼터를 줄이게 된 데는 외국인 근로자 수요에도 불구하고 산업 상황에 따라 사회적 갈등이 나오는 데 영향을 받은 것으로도 분석된다.
대표적으로 플랜트 건설은 외국인 고용을 놓고 노사 갈등이 벌어지는 산업 분야로 꼽힌다.
정부가 플랜트 건설에 외국인 고용 허가를 추진하자 전국플랜트건설 노조는 "외국인 고용 논의를 중단하지 않으면 쟁의권을 확보해 파업 투쟁을 벌일 것"이라는 내용의 성명을 내놓기도 했다. 김인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