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대응한 중국 전기차 해외생산에 회의적 시각도, “인건비 오히려 높아져”

▲ 17일 파키스탄 라호르에서 열린 BYD의 전기차 공장 현지 계획 발표식에서 참가자들이 전시 차량을 사진에 담고 있다.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중국 BYD와 같은 전기차 업체들이 관세에 대응해 해외로 생산 거점을 확장하는 전략을 펴고 있지만 성공을 거두기 쉽지 않다는 일본언론의 논평이 나왔다. 

20일(현지시각) 닛케이아시아는 “중국이 전기차 수입 관세를 우회하는 차원에서 해외에 생산 공장을 마련하는 ‘오프쇼어링’ 전략을 채택했지만 성공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내용의 논평을 내놓았다. 

중국 내 인건비가 다른 국가들보다 낮아 해외 생산으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가 여의치 않다는 것이다. 최근 각국에서 보호무역주의가 득세해 중국 공장을 유치하려는 후보지 또한 제한된다는 점도 오프쇼어링 전략을 어렵게 만들 요소로 꼽혔다. 

일본 내연기관차 기업들이 1980년대 미국 보호 무역조치에 가로막혀 생산 공장을 해외에 다수 늘렸던 때와 비교하면 상황이 더욱 악화됐다는 점도 거론됐다. 

닛케이아시아는 “중국 전기차 기업들은 (관세를 고려하면) 해외에서 생산하는 것이 더욱 저렴하고 효율적이라 생각하겠지만 지정학적 요인들이 이를 가로막을 수 있다”라고 짚었다. 

중국의 대표적 전기차 기업인 BYD는 유럽 튀르키예와 헝가리에 전기차 제조 공장을 건립하고 있다. 

EU가 중국 당국의 보조금을 부당하다고 지목해 BYD를 비롯 중국에서 제조한 수입 전기차에 최대 46.3%의 관세를 책정하자 여기에 대응해 현지 생산을 늘리려는 전략이다. 

국영기업인 상하이모터스(SAIC)와 같은 다른 중국 업체들도 관세 폭탄을 피하기 위해 유럽 내 공장 부지 후보지를 모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멕시코와 브라질과 같은 중남미 국가들에도 BYD나 만리장성 자동차(GWM) 공장이 들어서고 있다.

전기차 주요 시장인 미국이 중국 제조 차량에 수입 관세를 기존 25%에서 100%로 크게 높여 주변 시장을 공략하려는 움직임이라는 평가가 많다. 

그러나 중국 전기차 기업들의 이러한 시도들이 성공적이지 못할 수도 있다는 논평이 나온 셈이다. 

논평을 작성한 알리시아 가르시아 에레로는 조지 워싱턴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를 취득한 인물이다. 현재 프랑스계 투자은행 나티시스 홍콩지점에서 수석 경제학자를 역임하고 있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