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수도권 주택시장이 서울 지역 아파트를 중심으로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지방은 좀처럼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대형 건설사들은 수익성 위주 선별수주 전략 등을 앞세워 위기를 타개하고 있지만 지방 주택 사업비중이 높은 중소업체들과 지역업체들은 갈수록 버티기 어려워지고 있다.
▲ 주택 업황 반등세가 서울 아파트에 집중되고 있어 건설업계 실적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연합뉴스>
21일 건설업계 안팎의 말을 종합하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지역 아파트는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청약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6월 서울 민간아파트의 최근 1년간 ㎡당 평균 분양가(공급면적 기준)는 1267만6천 원으로 전월(1170만6천 원) 대비 8.28%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 분양가가 3.3㎡당 4천만 원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1년 전 3198만3천 원에서 992만 원(31.02%) 높아졌다.
수도권도(서울·경기·인천) ㎡당 818만7천 원(3.3㎡당 2706만4천 원)으로 5월보다 4.21% 오르는 등 상승세를 나타냈다.
반면 ‘5대 광역시 및 세종시’ 지역의 민간아파트 가격은 602만3천 원으로 전월 대비 0.49% 하락했다. 기타 지방도 445만4천 원으로 전월 대비 0.80% 높아지는 데 그친 수준이었다.
최근 청약시장을 봐도 '서울 불패'라는 말이 다시 힘을 얻고 있는 모습이다. 부동산 분석업체 부동산인포가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서울 1순위 평균 청약 경쟁률은 105.8대1을 기록했다.
전국 평균 1순위 청약 경쟁률인 6.2대1과 비교하면 17배 높은 수준이다. 지난해 상반기(51.9대1)와 비교해도 2배 넘게 높아졌다.
서울 마포구 공덕동에 위치한 ‘마포자이힐스테이트 라첼스’는 분양가가 3.3㎡당 5150만 원으로 처음으로 강북 지역에서 5천만 원을 넘겼지만 1순위 청약접수에서 163.95대1의 경쟁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서울 고급 브랜드 아파트에 수요가 집중되는 모습은 전국적으로 미분양 주택 수가 증가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 서울 마포구 공덕에 세워지는 마포자이힐스테이트 라첼스 완공 예상 이미지. < GS건설 >
국토교통부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전국 미분양 주택 수는 올해 초 6만2489호에서 매달 증가해 5월 말 7만2129호에 이르렀다. 이는 지난해 2월 말 7만5438가구를 기록한 뒤 가장 많은 것이다. 같은 기간 서울시 민간 미분양 주택은 958호에서 974호로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
김승준 하나증권 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서울 주간 아파트 가격은 4~5월까지 주간 평균 0.03~0.05% 상승이 6월 0.09~0.18%까지 점진적으로 올라오는 등 상승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경기도의 주간 매매가(6월 +0.02%)와 전세가(6월 +0.07%)의 상승 속도는 느리며 오히려 지방은 하락하고 있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으로 주택 업황의 회복을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덧붙였다.
지방 주택시장 침체는 특히 중소 건설사들의 어려움을 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들 기업은 상대적으로 대형 건설사들보다 동원할 수 있는 자금력이 낮고 브랜드 경쟁력이 약해 수도권 공략이 어려운 것으로 여겨진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초부터 이달까지 부도가 난 건설업체는 모두 20곳(종합 7곳, 전문 13곳)으로 집계됐다.
부도가 난 20개 업체 가운데 서울 1곳, 경기 2곳을 제외하면 전부 지방업체로 확인된다. 수도권 쏠림 현상과 인구 감소 등에 따른 지방의 건설 경기가 좋지 않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수도권과 지방 건설경기가 엇갈릴수록 건설사 실적 양극화도 가속화할 가능성이 크다. 지방에서 미분양 등 직격탄을 맞은 건설사들은 유동성 문제를 피하기 어려워지지만 풍부한 자금력으로 수도권 주택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건설사들은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지훈 한국신용평가 연구원은 ‘건설업 2024년 상반기 정기평가결과’에서 “전반적 부진 속에서 수도권과 지방 시장 간 온도차가 커질 전망”이라며 “저조한 분양실적 등 공사비 회수가 지연되는 건설사는 신용등급 하향 압력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고 바라봤다.
그는 반면 “분양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 및 사업유형 비중이 큰 건설사는 업황 부진 영향을 완화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바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