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가철도공단(KR)이 한국철도공사(코레일)과 함께 철도시설의 전 생애주기 이력정보를 통합해 관리한다.

국가철도공단은 25일 대전 동구 본사에서 '철도시설 종합정보시스템(RAFIS)' 개통행사를 열었다고 밝혔다.
 
철도공단 '철도시설 종합정보시스템' 개통, 생애주기 이력 통합관리 가능

▲ 임종일 국가철도공단 부이사장(왼쪽에서 세 번째)과 정정래 한국철도공사 부사장 등 관계자들이 25일 대전 동구 국가철도공단 본사에서 열린 '철도시설 종합정보시스템(RAFIS)' 개통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국가철도공단>


철도시설 종합정보시스템은 국가철도공단과 한국철도공사 사이 이원화돼 관리하던 철도시설 정보관리체계의 통합을 위해 구축됐다.

시설관리자인 국가철도공단과 유지보수기관인 한국철도공사가 2018년부터 5년에 걸쳐 이 시스템 구축 사업을 추진했다.

철도시설 종합정보시스템은 △선형자산관리(시설물 이력정보) △의사결정지원(데이터분석 개량 및 보수기기 등 정보) △공간정보(위치 및 형상정보) △도면관리(도면 및 문서정보) △포털(현황 및 통계) △데이터센터 등 6가지 기능으로 구성된다.

철도시설 종합정보시스템을 사용하면 두 기관은 건설, 점검, 유지보수, 개량으로 이어지는 철도시설의 생애주기 이력정보에 관한 체계적 관리와 정보공유가 가능하다.

두 기관은 이 시스템 운영·관리를 위해 공동 조직을 구성하기로 했다. 또 모바일 서비스 및 사물인터넷(IoT) 검측, 건설정보모델링(BIM) 데이터와의 연계 등 고도화 작업을 진행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임종일 국가철도공산 부이사장은 "철도시설 종합정보시스템 구축은 철도 유지관리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혁신"이라며 "앞으로 체계적으로 철도시설 이력정보를 관리해 안전한 철도환경 조성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