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김성태 IBK기업은행장이 폴란드 사무소를 법인으로 전환하며 유럽시장 개척에 속도를 올린다. 

유럽 중심부에 위치한 폴란드는 국내에서 전략산업으로 꼽는 원자력발전과 방위사업의 주된 시장이기도 해 김 행장이 구축하는 유럽 금융벨트의 핵심 거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IBK기업은행 폴란드사무소의 법인 전환 본격화, 김성태 유럽 금융벨트 박차

김성태 IBK기업은행장(사진)이 폴란드 사무소의 법인화를 추진하며 유럽시장 개척에 속도를 높인다.


29일 기업은행에 따르면 김 행장은 10월31일 열린 이사회에서 폴란드 사무소를 현지 법인으로 전환하는 안건을 처리했다.

법인 소재지는 사무소가 위치해 있는 폴란드 남서부 공업도시인 보로츠와프가 아닌 수도인 바르샤바로 정했다.

법인 조직은 7개 부서로 40명의 인원으로 꾸려진다. 자본금은 1억 달러(약 1289억 원)로 기업은행에서 100% 출자한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법인화 일정은 구체적으로 아직 안 정해졌다”면서 “국책은행으로서 해외 진출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현지법인 전환을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폴란드는 기업은행에게 의미가 깊은 나라다.

김도진 전 행장 시절인 2018년부터 사무소 설치를 오랜 기간에 걸쳐 준비해 왔던 국가이면서 올해 5월 김성태 행장이 취임 이후 처음으로 마련한 해외 점포가 위치한 곳이다.  

김 행장은 사무소 개소식에서 “유럽 생산거점이자 심장부에 위치한 폴란드에 사무소를 개소하게 돼 기쁘다”고 소회를 밝히기도 했다.

폴란드 법인화는 글로벌 부문의 이익을 크게 확대하려는 김 행장의 전략과 관련이 있다.

김 행장은 2022년 기준으로 1260억 원 수준의 글로벌 부문 이익을 2025년까지 2500억 원까지 2배가량 확대하겠다는 전략을 세워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기존 거점점포의 영업망을 확대해 IBK 중소기업 지원 금융벨트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을 하고 있다.

기업은행은 현재 13개국에서 점포 60곳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유럽시장은 아직 영국 런던 지점과 폴란드 사무소 2곳만 두고 있어 금융벨트를 구축하기 위해 점포를 확장할 필요성이 크다.

특히 폴란드가 유럽 중심부에 있어 다른 국가로 뻗어나가는 교두보로 삼기 좋아 국내 기업들의 진출이 활발한 곳이라는 점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폴란드는 독일과 체코, 슬로바키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리투아니아, 러시아 등 7개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시베리아철도와 중국횡단철도가 연결되는 유라시아의 전략적 요충지다.

이에 지난해 9월 기준으로 국내 기업 341곳이 폴란드에 진출했고 최근 LG화학이 전기자동차 배터리 공장에 투자한 이후 협력업체의 동반 진출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폴란드 법인화를 통해 헝가리와 체코, 슬로바키아 등 동유럽 국가 및 유럽연합(EU)에 진출한 국내 중소기업의 금융애로를 해소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IBK기업은행 폴란드사무소의 법인 전환 본격화, 김성태 유럽 금융벨트 박차

김성태 IBK기업은행장(왼쪽에서 세 번째)이 2023년 5월16일 폴란드 브로츠와프에서 열린 'IBK기업은행 폴란드 사무소 개소식'에서 주요 인사들과 함께 테이프 커팅 행사를 하고 있다. < IBK기업은행>


게다가 폴란드는 국내에서 전략산업으로 꼽는 방산과 원전 사업의 주된 시장이기도 해서 관련된 업종의 국내 기업들의 진출도 지속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2023 폴란드 진출전략 보고서에서 폴란드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에 영향을 받아 군비 현대화를 추진하며 한국산 무기체계 구입에 적극적 모습을 보이고 있어 방산분야 국내 기업의 진출 기회가 한층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유럽연합과 폴란드 에너지 정책에 의해 저탄소 에너지로의 개혁이 시행되면서 그린에너지 분야에서 한국과 협력 수요가 다수 나타날 것으로도 전망했다.

김 행장도 올해 5월 폴란드 사무소 개소식에서 국내 기업의 안정적 성장을 뒷받침하면서도 폴란드 현지 중소기업 생태계를 키우겠다는 포부를 밝히기도 했다.

김 행장은 “기업은행의 녹색금융 노하우를 공유해 폴란드의 저탄소 생태계 육성을 뒷받침하는 등 폴란드 정부의 친에너지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에도 공조하겠다”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