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라인의 운명이 사실상 한일 양국 정치권에 손에 달린 가운데 국내에서는 카카오톡 대체제로 라인을 이용해보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2024년 초부터 시작된 일본 정부의 무리한 강탈시도를 뿌리칠 수 있다면 라인 메신저가 국내에서도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시선이 나온다.
 
카톡 대체제로 라인 쓰려는 움직임, 네이버 라인야후 사태가 전화위복 될까

▲ 5월 들어 메신저앱 '카카오톡'을 대신해 '라인'을 써보려는 시도가 늘고 있다.


30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5월 셋째 주(20∼26일) 한국 모바일앱 시장에서 라인 신규 설치건수(6만2천 건)가 카카오톡(5만7천 건)을 제치고 사회관계망서비스 내 메신저와 전화, 영상통화 부문 1위를 기록했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이미 5월 첫째주부터 신규이용자가 크게 늘어나며 라인의 약진이 시작되고 있다.

그 이유로는 카카오톡 먹통사태가 이어지면서 카카오톡 대체할 수 있는 메신저 수요가 늘고 있는 점이 지목된다. 5월들어 카카오톡 접속과 이용에 장애가 3차례 발생하면서 이용자들의 불편이 커졌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최근 일본 정부의 라인야후 강탈 움직임에 따라 라인에 대한 관심이 늘어난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라인 메신저는 네이버 자회사였던 '라인'이 2011년 출시한 메신저다.

한국에서는 인지도가 낮지만 일본에서는 9600만 명이 이용하는 국민메신저로 통한다. 2019년부터는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라인과 야후재팬을 공동경영하기 시작했으며 2023년 두 법인이 합병해 라인야후가 출범해 네이버보다는 현지기업인 소프트뱅크의 영향력이 나날이 커진 것으로 알려졌다.
 
카톡 대체제로 라인 쓰려는 움직임, 네이버 라인야후 사태가 전화위복 될까

▲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야후 최고경영자는 8일 라인야후 결산설명회에서 "네이버와 위탁 관계를 순차적으로 종료해 기술적인 협력관계에서 독립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


하지만 2024년 일본 정부는 네이버관계사 라인야후가 서비스하는 '라인 메신저'의 보안문제를 빌미 삼아 네이버가 보유한 라인야후 지분을 소프트뱅크에 매각하라고 사실상 압박하고 나섰다.

이 사실이 국내에도 보도되면서 '일본정부의 무리한 강탈시도로부터 한국기업을 지켜내야 한다'는 여론이 커지고 있다.

라인야후 사태를 알리고 대책 마련을 촉구하기 위한 시민단체도 나타났다.

IT 공정과 정의를 위한 시민연대(준비위)는 7일 성명을 내고 "국회와 정부, 민간의 전문가들을 포함한 국가적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일본 정부의 부당한 압박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네이버 노조도 13일 성명을 내 "한국 기업이 해외에서 부당한 대우를 받고, 기술을 탈취당하고, 한국의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게 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상황"이라며 "정부가 적극적이고 단호하게 대처하고 부당한 요구에 목소리를 내 달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가 한국 기업을 보호해줄 수 있을지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카톡 대체제로 라인 쓰려는 움직임, 네이버 라인야후 사태가 전화위복 될까

▲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에 앞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최근 우리 정부가 라인야후 사태에 신경을 쓰면서 네이버는 당분간 라인야후 지분을 팔지 않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라인야후가 앞으로도 계속 한일기업으로 남아있을 수 있을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대통령실은 14일 브리핑에서 랴인야후 사태와 관련해 "우리 기업이 해외에서 어떠한 차별적 조치나 기업 의사에 반하는 부당한 대우를 받지 않도록 면밀하고 강력하게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6일에는 윤석열 대통령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를 만나 이 사태와 관련해 “양국 간 불필요한 현안이 되지 않게 잘 관리해나갈 필요가 있겠다”말했다.

이에 기시다 총리는 "어디까지나 보안 거버넌스를 재검토해보라는 요구사항"이라고 답변한 것으로 전해졌다.

라인야후는 결국 결국 네이버 측 지분매각을 포함하지 않은 보안대책을 일본 규제당국에 제출할 것으로 전해졌다. 제출 기한인 7월1일 이후 일본 정부 어떤 결정을 내릴지에 양국 IT업계의 관심이 모아진다. 조충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