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정부의 9·7 부동산대책이 공급 속도전을 내세워 정책 신뢰도를 높였다는 평가가 나왔다. 다만 공공성 강화로 대형 건설사가 받을 영향은 적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은상 NH투자증권 연구원은 8일 “9·7 대책에는 공급 속도 촉진책이 포함됐고 착공 기준으로 목표를 설정해 정책 신뢰도가 강화됐다”며 “공공성 강화로 민간 대형 건설사 수혜는 제한적일 것이다”고 내다봤다.
 
NH투자 "9·7 대책 정책 신뢰도 강화, 공공성 강화로 대형건설사 수혜 제한적"

▲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7일 서울 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부동산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정부는 전날 9·7 부동산대책을 내놨다. 

이재명정부 출범 이후 첫 주택공급 대책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 중심으로 주택 공급을 늘리고 2030년까지 해마다 27만 호를 공급해 모두 135만 호 착공을 목표로 한다.

그동안 정부가 기준으로 제시한 인·허가가 아닌 착공 기준으로 주택공급 목표를 제시했고 LH 직접 시행 등의 방안도 추가해 정책 신뢰도가 높아졌다고 NH투자증권은 바라봤다.

이 연구원은 “인허가가 아닌 착공 기준으로 공급 목표를 제시한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된다”며 “현실성 있는 목표로 정책 신뢰성을 높였다”고 바라봤다.

다만 공공성 강화로 국내 주요 건설사가 입을 수혜는 적을 것으로 전망됐다. 

대형 건설사는 주택 부문에서 재건축·재개발조합 주도의 민간 사업에 주로 참여해 왔다는 점이 이런 분석의 근거로 꼽혔다.

이 연구원은 “규제지역 대상 담보인정비율(LTV) 강화가 진행되는 등 수요 억제 흐름은 유지되고 있다”며 “다만 주택공급과정에서 공공성이 강조되는 만큼 민간 중심의 주택사업을 펼치는 대형 건설사에게는 수혜가 제한적일 것”이라고 바라봤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