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민 10명 가운데 6명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찬성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24일 발표한 전국지표조사(NBS)에서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 '찬성' 61%, '반대' 20%로 집계됐다. '모름·무응답'은 19%였다.
지역별로 모든 지역에서 '찬성'이 과반이상으로 우세했다.
해수부 부산 이전 정책의 당사자라 할 수 있는 부산·울산·경남 지역은 74%로 가장 지지율이 높았다. 진보 지지세가 강한 광주·전라에서 73%로 '찬성' 비율이 두 번째로 높았다. 반면 서울에서는 52%로 모든 지역 가운데 가장 낮게 집계됐다.
연령별로 7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에서 '찬성'이 과반 이상으로 우세했다. 70대에서는 '찬성'이 40%로 가장 낮았다. 반면 40대에서는 '찬성'이 76%로 가장 높았다. 20대에서 '모름·무응답'이 33%로 가장 높았다.
이념성향별로 중도층에서 '찬성' 65%, '반대' 18%로 집계됐다. 진보층에서 82%가 해수부 부산 이전에 '찬성'한 반면 보수층에서는 '찬성' 44%, '반대' 36%로 의견이 나뉘었다.
이번 조사의 이념성향별 응답 인원은 보수 243명, 중도 377명, 진보 285명으로 진보가 보수보다 42명 더 많았다. '모름·무응답'은 96명이었다.
이번 조사는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21일부터 23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는 국내 통신 3사가 제공하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2025년 6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 기준 성·연령·지역별 가중치(셀가중)가 부여됐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권석천 기자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24일 발표한 전국지표조사(NBS)에서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 '찬성' 61%, '반대' 20%로 집계됐다. '모름·무응답'은 19%였다.
![[전국지표조사]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찬성' 61%, 부산·울산·경남서 74%](https://www.businesspost.co.kr/news/photo/202507/20250724114514_78315.png)
▲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24일 정부세종청사 해수부 기자실을 방문해 출입 기자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지역별로 모든 지역에서 '찬성'이 과반이상으로 우세했다.
해수부 부산 이전 정책의 당사자라 할 수 있는 부산·울산·경남 지역은 74%로 가장 지지율이 높았다. 진보 지지세가 강한 광주·전라에서 73%로 '찬성' 비율이 두 번째로 높았다. 반면 서울에서는 52%로 모든 지역 가운데 가장 낮게 집계됐다.
연령별로 7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에서 '찬성'이 과반 이상으로 우세했다. 70대에서는 '찬성'이 40%로 가장 낮았다. 반면 40대에서는 '찬성'이 76%로 가장 높았다. 20대에서 '모름·무응답'이 33%로 가장 높았다.
이념성향별로 중도층에서 '찬성' 65%, '반대' 18%로 집계됐다. 진보층에서 82%가 해수부 부산 이전에 '찬성'한 반면 보수층에서는 '찬성' 44%, '반대' 36%로 의견이 나뉘었다.
이번 조사의 이념성향별 응답 인원은 보수 243명, 중도 377명, 진보 285명으로 진보가 보수보다 42명 더 많았다. '모름·무응답'은 96명이었다.
이번 조사는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21일부터 23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는 국내 통신 3사가 제공하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2025년 6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 기준 성·연령·지역별 가중치(셀가중)가 부여됐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권석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