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삼성물산을 인적분할해 금융지주회사를 세울까?

김상조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은 삼성그룹의 지배구조 개편과 관련해 그가 작성했던 삼성그룹의 지배구조 개편 보고서를 거듭 들었는데 이 보고서에는 삼성물산의 인적분할 방안이 제시돼 있다.
 
이재용, 김상조 '조언'대로 삼성물산 인적분할해 금융지주사 세울까

김상조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11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그룹이 지배구조 개편과 관련해 삼성물산의 인적분할을 통한 금융지주회사 전환 등을 검토할 가능성이 고개를 들고 있다.

김 위원장은 10일 열린 10대그룹 간담회와 JTBC 뉴스룸 인터뷰 등에서 삼성그룹에 초점을 맞춘 발언을 쏟아내며 경제개혁연대 소장을 맡을 때 썼던 보고서를 계속 들고 있다.

김 위원장은 10대그룹 간담회에서 “2016년 경제개혁연대 소장 시절 작성한 보고서를 삼성 측이 참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손석희 JTBC 뉴스룸 앵커가 삼성그룹 지배구조 개편과 관련해 구체적 방안을 제안해줄 것을 요구하자 또 보고서 얘기를 했다.

삼성그룹 지배구조 개편을 거듭 압박하는 상황에서 김 위원장이 작성한 보고서를 사실상 지배구조 개편의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한 것 아니냐는 말이 나온다.

김 위원장은 2016년 2월에 이은정 경제개혁연대 실행위원(공인회계사)와 함께 ‘삼성그룹의 금융지주회사 설립: 분석과 전망’이라는 경제개혁 이슈 보고서를 썼다.

이 보고서에서 김 위원장은 삼성그룹이 세 단계의 순서를 밟아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할 수 있을 것으로 봤는데 △1단계: 삼성생명을 중심으로 한 금융부문의 금융지주회사 설립 △2단계: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하는 비금융계열사의 일반지주회사 설립 △3단계: 중간금융지주회사 제도 허용시 금융지주회사와 일반지주회사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최종지주회사 설립 등이다.

금융지주회사 설립과 관련해 삼성물산을 언급한 점이 눈에 띤다.

김 위원장은 첫 단계로 꼽은 금융지주회사 설립 방안으로 삼성물산을 인적분할해 삼성생명 지분을 보유한 투자부문을 금융지주회사인 ‘물산금융지주(가칭)’로 만드는 방법과 삼성생명을 인적분할해 삼성화재·삼성증권·삼성카드 등 다른 금융계열사 지분을 보유한 투자부문을 ‘생명금융지주(가칭)’로 만드는 방법이 있다고 봤다.

삼성물산을 인적분할해 금융지주회사를 세우는 것이 지배구조 개편을 향한 첫걸음이 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삼성물산을 사업회사인 ‘물산사업회사’와 삼성생명 주식만 보유한 ‘물산금융지주’로 인적분할하면 이재용 부회장은 현재 삼성물산 지분율과 동일한 17.23%씩 두 회사의 지분을 보유하게 된다.

현재 삼성물산이 삼성생명 이외에 다른 금융계열사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인적분할로 설립된 물산금융지주는 삼성생명 주식 19.34%만 보유하게 된다.
 
이재용, 김상조 '조언'대로 삼성물산 인적분할해 금융지주사 세울까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금융지주회사법에 따르면 금융지주회사는 상장자회사 지분 30% 이상, 비상장자회사 지분 50% 이상을 보유해야 한다. 따라서 물산금융지주는 삼성생명 지분을 추가로 10.66% 확보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된다.

물산금융지주가 삼성생명 주주들을 상대로 주식을 공개매수하고 현물출자 방식의 유상증자를 진행하면 금융지주회사법의 요건을 충족할 수도 있다.

금융지주회사법에서는 자회사인 보험회사가 또 다른 보험회사를 손자회사로 둘 수 없는 만큼 삼성생명이 보유하고 있는 삼성화재 지분 14.98% 전량을 매각해야 한다는 점은 해결해야 하는 과제로 남는다.

금융지주회사법상 행위제한규정의 유예기간은 5년(추가승인을 받으면 2년 연장 가능)으로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의 행위제한요건을 만족하기 위한 유예기간 2년보다 시간이 넉넉하다. 삼성그룹이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삼성물산 인적분할을 통한 금융지주회사 설립이 삼성그룹에 매력적 대안이 될 수 있다.

다만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에서 홍역을 치렀는데 삼성물산을 다시 분할하는 작업이 상당한 논란을 일으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김 위원장은 봤다.

김 위원장은 보고서에서 “삼성물산이 인적분할한 뒤 공개매수와 현물출자 방식의 유상증자를 거치는 과정에서 삼성물산의 외부 소액주주들에게 손해를 초래하는 방식으로 이 부회장 등의 금융지주회사 지배력을 높이려 한다는 의구심을 받게 된다면 심각한 사회적 비난에 직면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