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병용 GS건설 대표이사 사장이 최근 경북 안동 건설현장에서 일어난 노동자 추락 사망사고를 계기로 안전대책에 부심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고는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2019년을 건설노동자 추락사고 근절의 원년으로 삼겠다”는 의지를 보인 뒤 한 달도 채 지나지 않아 일어났다.
정치권에서도 재발 방지를 위해 GS건설의 책임을 확실히 물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만큼 임 사장의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안동경찰서는 20일 노동자 추락사고가 일어난 경북 안동 풍천면 도양리 환경에너지종합타운 공사현장 사무실 등을 대상으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안동경찰서 관계자는 “노동자 추락 사망사고와 관련해 현재 서장이 총괄지휘를 맡고 형사과장이 팀장을 맡는 수사 전담팀을 꾸려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GS건설이 시공을 맡은 경북 안동 환경에너지종합타운 공사현장에서는 18일 하청업체 노동자 3명이 건물 5층에서 콘크리트를 붓는 작업을 하던 중 25m 아래로 추락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망한 노동자들은 이날 처음 사고 현장에 투입돼 안전그물망과 안전줄 없이 일하다 봉변을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동경찰서는 안전관리를 미흡히 한 것으로 보고 현장소장 A씨를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입건하는 등 사고 원인 규명과 책임 소재를 파악하는 데 속도를 내고 있다.
임병용 사장은 이번 사고와 관련한 경찰조사에 촉각을 기울일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고는 2018년 말부터 계속되고 있는 현장 노동자 사망사고에 따라 기업의 안전대책을 향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진 상황에서 일어났다. 더욱이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2019년을 건설현장 노동자 추락사고 근절의 해로 삼겠다고 목소리를 높인 시기였다.
김 장관은 2월20일 경기 하남의 주택 건설현장에서 건설사고 사망자를 줄이기 위해 진행한 간담회에서 “건설현장에서만 한해 400명 이상이 사망하는데 그 중 절반 이상이 추락사고”라며 “올해를 건설현장 추락사고 근절의 원년으로 삼겠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8일 국토부 장관 최초로 진행한 건설산업 양대노총 간담회에서도 “현장의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우리 모두 힘을 합쳐야 한다”며 건설현장의 안전 강화를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국토교통부는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 2월18일부터 3월29일까지를 집중점검 기간으로 삼고 400여명의 인력을 투입해 현장의 안전상황을 점검하고 있는데 이번 사고가 일어났다.
경찰조사 결과 원청의 안전관리 미흡이 주된 사고 원인으로 지목된다면 GS건설이 본보기로 국토교통부의 강한 제재를 받을 수 있는 셈이다.
이른바 ‘김용균법’으로 불리는 산업안전보건법 전부개정안이 2018년 말 국회를 통과한 뒤 하청업체 노동자 사망사고가 일어난 점도 임 사장에게 부담이다.
산업안전보건법 전부개정안은 산업재해 예방을 강화하기 위해 원청의 법적 책임을 높이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 충남 태안 화력발전소에서 홀로 일하다 사망한 고 김용균씨 사고를 계기로 2018년 말 어렵사리 국회 문턱을 넘었다.
산업안전보건법 전부 개정안이 2020년부터 본격 시행되는 만큼 이번 사고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하지만 법안이 통과된 만큼 GS건설을 향한 비판에 힘이 실릴 수 있다.
정치권에서는 이미 이번 사고를 원청의 안전불감증에 따른 전형적 인재로 규정하고 GS건설의 책임을 묻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19일 보도자료를 내고 “GS건설 현장 사망사고는 기본적 설비부실에 따른 후진적 재해”라며 “원청인 GS건설의 책임자 구속과 관련자 엄벌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GS건설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노동자 13명이 사망하는 등 산업재해에 따른 사망사고가 매년 반복되고 있다”며 “원청의 설비 부실, 안전설비 부재 등과 관련한 책임을 엄중히 물어야만 산재 사망사고의 반복을 막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임병용 사장은 건설업계 최장수 전문경영인(CEO)으로 22일 정기 주주총회에서 두번째 연임에 성공할 것이 확실시된다. 안전과 관련한 사회적 경각심이 높아진 상황에서 앞으로 3년 동안 GS건설을 더 이끌게 되는 만큼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를 막기 위한 강도 높은 대책을 마련한 필요가 있는 셈이다.
GS건설 관계자는 “현재 사고대책본부를 구성하고 우선적으로 사고 수습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앞으로 진행될 사고 조사에도 성실히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한재 기자]
이번 사고는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2019년을 건설노동자 추락사고 근절의 원년으로 삼겠다”는 의지를 보인 뒤 한 달도 채 지나지 않아 일어났다.
▲ 18일 노동자 3명의 사망사고가 일어난 경북 안동 풍천면 경북 북부권 환경에너지종합타운 공사현장의 무너진 난간 모습. <연합뉴스>
정치권에서도 재발 방지를 위해 GS건설의 책임을 확실히 물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만큼 임 사장의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안동경찰서는 20일 노동자 추락사고가 일어난 경북 안동 풍천면 도양리 환경에너지종합타운 공사현장 사무실 등을 대상으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안동경찰서 관계자는 “노동자 추락 사망사고와 관련해 현재 서장이 총괄지휘를 맡고 형사과장이 팀장을 맡는 수사 전담팀을 꾸려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GS건설이 시공을 맡은 경북 안동 환경에너지종합타운 공사현장에서는 18일 하청업체 노동자 3명이 건물 5층에서 콘크리트를 붓는 작업을 하던 중 25m 아래로 추락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망한 노동자들은 이날 처음 사고 현장에 투입돼 안전그물망과 안전줄 없이 일하다 봉변을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동경찰서는 안전관리를 미흡히 한 것으로 보고 현장소장 A씨를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입건하는 등 사고 원인 규명과 책임 소재를 파악하는 데 속도를 내고 있다.
임병용 사장은 이번 사고와 관련한 경찰조사에 촉각을 기울일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고는 2018년 말부터 계속되고 있는 현장 노동자 사망사고에 따라 기업의 안전대책을 향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진 상황에서 일어났다. 더욱이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2019년을 건설현장 노동자 추락사고 근절의 해로 삼겠다고 목소리를 높인 시기였다.
김 장관은 2월20일 경기 하남의 주택 건설현장에서 건설사고 사망자를 줄이기 위해 진행한 간담회에서 “건설현장에서만 한해 400명 이상이 사망하는데 그 중 절반 이상이 추락사고”라며 “올해를 건설현장 추락사고 근절의 원년으로 삼겠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8일 국토부 장관 최초로 진행한 건설산업 양대노총 간담회에서도 “현장의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우리 모두 힘을 합쳐야 한다”며 건설현장의 안전 강화를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국토교통부는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 2월18일부터 3월29일까지를 집중점검 기간으로 삼고 400여명의 인력을 투입해 현장의 안전상황을 점검하고 있는데 이번 사고가 일어났다.
경찰조사 결과 원청의 안전관리 미흡이 주된 사고 원인으로 지목된다면 GS건설이 본보기로 국토교통부의 강한 제재를 받을 수 있는 셈이다.
이른바 ‘김용균법’으로 불리는 산업안전보건법 전부개정안이 2018년 말 국회를 통과한 뒤 하청업체 노동자 사망사고가 일어난 점도 임 사장에게 부담이다.
산업안전보건법 전부개정안은 산업재해 예방을 강화하기 위해 원청의 법적 책임을 높이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 충남 태안 화력발전소에서 홀로 일하다 사망한 고 김용균씨 사고를 계기로 2018년 말 어렵사리 국회 문턱을 넘었다.
산업안전보건법 전부 개정안이 2020년부터 본격 시행되는 만큼 이번 사고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하지만 법안이 통과된 만큼 GS건설을 향한 비판에 힘이 실릴 수 있다.
정치권에서는 이미 이번 사고를 원청의 안전불감증에 따른 전형적 인재로 규정하고 GS건설의 책임을 묻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19일 보도자료를 내고 “GS건설 현장 사망사고는 기본적 설비부실에 따른 후진적 재해”라며 “원청인 GS건설의 책임자 구속과 관련자 엄벌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GS건설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노동자 13명이 사망하는 등 산업재해에 따른 사망사고가 매년 반복되고 있다”며 “원청의 설비 부실, 안전설비 부재 등과 관련한 책임을 엄중히 물어야만 산재 사망사고의 반복을 막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임병용 사장은 건설업계 최장수 전문경영인(CEO)으로 22일 정기 주주총회에서 두번째 연임에 성공할 것이 확실시된다. 안전과 관련한 사회적 경각심이 높아진 상황에서 앞으로 3년 동안 GS건설을 더 이끌게 되는 만큼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를 막기 위한 강도 높은 대책을 마련한 필요가 있는 셈이다.
GS건설 관계자는 “현재 사고대책본부를 구성하고 우선적으로 사고 수습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앞으로 진행될 사고 조사에도 성실히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한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