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상형 전자담배의 유해성 논란이 미국을 넘어 한국 담배시장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액상형 전자담배의 유해성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데 더해 최근 보건복지부는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을 자제할 것을 권고하면서 한국에서도 규제가 구체화될 조짐이 보이고 있다.
유해성 논란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까지 고려하면 한국에서 폐쇄형 시스템의 액상전자담배(CVS)시장은 시장 형성 초기단계부터 난관에 부딪힌 셈이 됐다.
25일 업계에서는 KT&G가 한국 폐쇄형시스템의 액상전자담배시장의 대표적 사업자이지만 이번 사태에서 잃는 것보다 얻는 것이 많을 것이라는 시선이 나온다.
KT&G가 올해 5월 말 폐쇄형시스템의 액상전자담배 ‘릴 베이퍼’를 출시하며 한국 액상형 전자담배시장을 놓고 강한 의욕을 보였던 만큼 유해성 논란이 곤혹스럽겠지만 액상형 전자담배사업만을 운영하는 쥴랩스코리아와는 처지가 다르다는 것이다.
KT&G의 액상형 전자담배사업은 이제 막 시작하는 단계로 담배사업부문 전체를 놓고 볼 때 아직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한 수준이다. 액상형 전자담배의 유해성 논란이 KT&G의 실적에 영향을 미칠 우려는 극히 적은 셈이다.
또 KT&G는 일반 궐련형 담배와 궐련형 전자담배 제품을 모두 갖추고 있는 만큼 오히려 경쟁기업의 액상형 전자담배 소비자가 유입되는 효과도 기대해볼 수 있다.
보건복지부가 올해 8월 발표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일반 궐련담배와 궐련형 전자담배를 같이 피우는 흡연자는 전체 응답자의 80.8%, 액상형 전자담배까지 포함해 3종류를 모두 피우는 흡연자는 47%에 이르렀다.
특히 액상형 전자담배를 피우는 흡연자가 3종류의 담배를 모두 사용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담배업계의 한 관계자는 “한국 액상형 전자담배시장은 아직 전체 담배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워낙 작고 또 시장환경 자체도 미국과는 완전히 다르다”며 “특히 KT&G는 액상형 전자담배 외 일반 궐련형 담배, 궐련형 전자담배 등 영역에서 입지를 굳히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액상형 전자담배만을 취급하는 경쟁회사의 소비자를 끌어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액상형 전자담배의 유해성 논란이 KT&G의 국내 영업환경에는 오히려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까지 나온다.
김혜미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 담배시장에서 액상형 전자담배의 점유율은 1%에 불과한 상황"이라며 "최근 미국과 중국 등에서 내려진 액상형 전자담배 판매 규제 조치는 KT&G의 국내 영업환경에 긍정적"이라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주요 경쟁회사인 해외 담배기업들이 전자담배 제품 개발에 주력하는 사이 KT&G는 에쎄 체인지 히말라야, 레종 휘바 등 일반 궐련담배부문에서 인기 신제품들을 출시했다”며 “전자담배와 궐련 혼용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힘입어 KT&G가 담배사업부문에서 실적 증가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바라봤다.
최근 한국 담배시장은 전자담배가 확산되면서 시장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무엇보다 눈에 띄는 점은 필립모리스, 쥴랩스 등 경쟁자의 부상이다.
KT&G는 한국에서 일반 궐련담배만으로 시장 점유율 60% 이상을 안정적으로 확보해온 시장지배적 사업자지만 궐련형 전자담배 등 차세대 담배제품 진입 초기에는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었다.
전체 흡연자 수에 큰 변동이 없는 가운데 2017년 6월 필립모리스의 궐련형 전자담배 ‘아이코스’가 한국시장에 출시되면서 해외 기업들의 전자담배 제품으로 수요가 이동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KT&G는 '릴'을 필두로 한 궐련형 전자담배 제품 출시와 더불어 일반 궐련담배시장에서도 제품의 차별화와 한정판 출시로 경쟁력 강화에 꾸준히 힘써온 결과 올해 2분기를 기점으로 국내 담배사업부문 수익성이 40%를 넘어섰다.
KT&G는 올해 2분기 기준으로 한국 일반 궐련담배시장에서는 점유율 약 62%, 궐련형 전자담배시장에서는 점유율 약 35%를 차지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박혜린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액상형 전자담배의 유해성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데 더해 최근 보건복지부는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을 자제할 것을 권고하면서 한국에서도 규제가 구체화될 조짐이 보이고 있다.
▲ 백복인 KT&G 대표이사 사장.
유해성 논란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까지 고려하면 한국에서 폐쇄형 시스템의 액상전자담배(CVS)시장은 시장 형성 초기단계부터 난관에 부딪힌 셈이 됐다.
25일 업계에서는 KT&G가 한국 폐쇄형시스템의 액상전자담배시장의 대표적 사업자이지만 이번 사태에서 잃는 것보다 얻는 것이 많을 것이라는 시선이 나온다.
KT&G가 올해 5월 말 폐쇄형시스템의 액상전자담배 ‘릴 베이퍼’를 출시하며 한국 액상형 전자담배시장을 놓고 강한 의욕을 보였던 만큼 유해성 논란이 곤혹스럽겠지만 액상형 전자담배사업만을 운영하는 쥴랩스코리아와는 처지가 다르다는 것이다.
KT&G의 액상형 전자담배사업은 이제 막 시작하는 단계로 담배사업부문 전체를 놓고 볼 때 아직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한 수준이다. 액상형 전자담배의 유해성 논란이 KT&G의 실적에 영향을 미칠 우려는 극히 적은 셈이다.
또 KT&G는 일반 궐련형 담배와 궐련형 전자담배 제품을 모두 갖추고 있는 만큼 오히려 경쟁기업의 액상형 전자담배 소비자가 유입되는 효과도 기대해볼 수 있다.
보건복지부가 올해 8월 발표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일반 궐련담배와 궐련형 전자담배를 같이 피우는 흡연자는 전체 응답자의 80.8%, 액상형 전자담배까지 포함해 3종류를 모두 피우는 흡연자는 47%에 이르렀다.
특히 액상형 전자담배를 피우는 흡연자가 3종류의 담배를 모두 사용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담배업계의 한 관계자는 “한국 액상형 전자담배시장은 아직 전체 담배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워낙 작고 또 시장환경 자체도 미국과는 완전히 다르다”며 “특히 KT&G는 액상형 전자담배 외 일반 궐련형 담배, 궐련형 전자담배 등 영역에서 입지를 굳히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액상형 전자담배만을 취급하는 경쟁회사의 소비자를 끌어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액상형 전자담배의 유해성 논란이 KT&G의 국내 영업환경에는 오히려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까지 나온다.
김혜미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 담배시장에서 액상형 전자담배의 점유율은 1%에 불과한 상황"이라며 "최근 미국과 중국 등에서 내려진 액상형 전자담배 판매 규제 조치는 KT&G의 국내 영업환경에 긍정적"이라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주요 경쟁회사인 해외 담배기업들이 전자담배 제품 개발에 주력하는 사이 KT&G는 에쎄 체인지 히말라야, 레종 휘바 등 일반 궐련담배부문에서 인기 신제품들을 출시했다”며 “전자담배와 궐련 혼용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힘입어 KT&G가 담배사업부문에서 실적 증가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바라봤다.
최근 한국 담배시장은 전자담배가 확산되면서 시장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무엇보다 눈에 띄는 점은 필립모리스, 쥴랩스 등 경쟁자의 부상이다.
KT&G는 한국에서 일반 궐련담배만으로 시장 점유율 60% 이상을 안정적으로 확보해온 시장지배적 사업자지만 궐련형 전자담배 등 차세대 담배제품 진입 초기에는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었다.
전체 흡연자 수에 큰 변동이 없는 가운데 2017년 6월 필립모리스의 궐련형 전자담배 ‘아이코스’가 한국시장에 출시되면서 해외 기업들의 전자담배 제품으로 수요가 이동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KT&G는 '릴'을 필두로 한 궐련형 전자담배 제품 출시와 더불어 일반 궐련담배시장에서도 제품의 차별화와 한정판 출시로 경쟁력 강화에 꾸준히 힘써온 결과 올해 2분기를 기점으로 국내 담배사업부문 수익성이 40%를 넘어섰다.
KT&G는 올해 2분기 기준으로 한국 일반 궐련담배시장에서는 점유율 약 62%, 궐련형 전자담배시장에서는 점유율 약 35%를 차지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