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윤석열 정부가 최근 금융사를 비롯해 ‘주인 없는 기업’의 최고경영자(CEO) 선임 등 지배구조를 놓고 견제에 나서면서 이미 연임에 성공한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의 거취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 회장은 2년 전 연임에 성공해 2번째 임기를 보내고 있는 만큼 다른 곳과는 상황이 다르지만 포스코가 민영화된 이후 선임된 역대 회장들이 2번째 임기를 마친 적이 없다는 점에서 교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시각이 나온다.
 
'주인 없는 기업' CEO 교체 바람, 포스코홀딩스 최정우에도 불어올까

▲ 15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최정우 포스코홀딩스 대표이사 회장(사잔)이 윤석열 정부의 소유 분산기업 CEO 선임 절차를 강화하는 기조에 중도사퇴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흘러 나오고 있다.


15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포스코와 함께 과거 공기업이었다가 민영화된 소유분산기업 KT의 다음 대표 선임이 지연되면서 최 회장이 2번째 임기를 채울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업계에서는 최 회장의 임기가 1년 남은 만큼 포스코 경영 리더십은 정권 교체와 무관하게 안정적일 것이라고 봤지만 윤석열 대통령이 이른바 ‘주인 없는 기업’에 대한 지배구조 견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태도를 보이면서 변수가 생겼다.

윤 대통령은 올해 초 금융위원회 업무보고에서 “과거 정부 투자 기업 내지 공기업이었다가 민영화되면서 소유가 분산된 기업들은 소위 스튜어드십이라는 것이 작동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연금 등 정부 관련 기관들이 소유분산기업에 대한 경영 감시를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맞춰 국민의힘에서도 소유분산기업을 향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는 분위기가 나타나고 있다.

윤 대통령의 발언을 비롯해 정부 여당의 압박이 거세지면서 이미 연임이 확정돼 주주총회 절차만 앞두고 있던 구현모 KT 대표이사도 차기 CEO 선임 절차를 원점에서 새로 시작하게 되면서 연임을 놓고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에 놓였다.

물론 이와 달리 최 회장은 2020년 12월 당시 첫 번째 임기 만료를 앞두고 연임의사를 밝히면서 포스코 사외이사 전원으로 구성된 CEO후보추천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2021년 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연임에 성공했다. 

최 회장의 두 번째 임기는 2024년 3월까지로 아직 1년가량 남아 최근 금융지주에서 불고 있는 CEO 교체 흐름과 같은 맥락으로 바라볼 수 없다는 관측도 존재한다.

하지만 그동안 포스코가 2000년 민영화된 뒤 정권 교체 시기때마다 CEO들이 외풍에 휩싸여 왔다는 점에서 최 회장의 중도 하차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시각도 만만치 않다.

제6대 회장인 이구택 회장은 이명박정부 출범 2년 차인 2009년에, 제7대 회장인 정준양 회장은 박근혜정부 2년 차인 2014년에, 제8대 회장인 권오준 회장은 문재인정부 2년 차인 2018년에 모두 물러났다.

최 회장을 둘러싼 잡음이 불거지면 정치권의 사퇴 압박이 커질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최 회장은 2021년 3월 시민단체들로부터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자사주를 매입했다는 의혹으로 검찰에 고발당한 상태다. 검찰이 관련 사안에 수사를 본격화하면 최 회장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이뿐 아니라 ‘포스코 지주사 미래기술연구원 포항이전 범시민대책위원회’(범대위)가 지주사 포스코홀딩스의 포항 이전을 위해 검찰 고발을 병행하며 최 회장을 압박하고 있다.

범대위는 지난해 10월 회사 차량을 사적으로 유용했다며 최 회장을 검찰에 고발했고 검찰은 이 사건을 수서경찰서에 내려보낸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범대위는 14일 경찰에 수사를 촉구하는 등 최 회장을 향한 압박 강도를 높이고 있다. 임종백 범대위 집행위원장은 14일 서울 포스코센터 앞 집회에서 “경찰이 최정우 회장에게 조사를 위한 소환장을 보내기로 했다”고 말하기도 했다. 

최 회장은 2021년 창사 뒤 사상 최대실적을 거뒀고 미래 성장동력 마련을 위한 지주사 체제 전환을 성공적으로 수행했음에도 산업재해 문제와 태풍에 따른 공장 침수 등 문제로 국민의힘 의원들에게 비판을 받으며 상당 기간 시달려야 했다.

최 회장으로서는 최근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을 중심으로 정부의 소유분산기업에 대한 압박을 인사전횡으로 규정하는 움직임이 나타나는 점에 기대를 걸 것으로 보인다.

정부와 여당이 민간기업 CEO 자리를 정권교체의 전리품으로 나눠 먹으려 한다는 여론이 형성되면 임기를 완주하는 데 힘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