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대우조선해양 하청노조(전국금속노동조합 거제통영고성조선하청지회)의 불법파업에 정부의 개입을 촉구했다.

경총은 17일 입장문을 내고 “경영계는 하청노조가 우리 조선업과 경제에 막대한 피해를 끼치는 불법행위를 즉각 중단하고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으로 요구한다”며 “정부는 불법 앞에서 노사의 자율적 해결만을 강조할 것이 아니라 공권력 집행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경총 "대우조선해양 하청노조 불법파업에 공권력 집행 해야"

▲ 거제시민, 대우조선해양 임직원들이 14일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 주변에서 하청노조의 파업 중단과 대우조선해양 정상화를 기원하는 '인간 띠 잇기'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 하청노조는 임금 30% 인상, 상여금 연간 300% 지급, 협력사 22곳의 집단교섭 등을 요구하며 2일부터 파업에 돌입했다.

경총은 하청노조가 파업 과정에서 벌이고 있는 1도크(선박 건조시설)의 도장작업 방해, 선박 진수를 불가능하게 하는 1도크 및 선박 점거 등을 불법 행위로 간주했다.

경총은 하청노조의 불법파업이 대우조선해양 재건에 장애물이 되고 있다고 짚었다.

경총은 “대우조선해양은 해운 경기침체 및 국제경쟁 심화,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장기간 어려움을 겪어 왔지만 최근 고부가가치선박 위주 수주로 경영회복에 전망을 밝히고 있다”며 “그러나 하청노조의 불법행위가 경영회복 노력을 무위로 돌리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총은 “선박 납기가 지연된다면 선주사와 신뢰관계가 중요한 조선업에서 대외신인도 저하에 따른 국제경쟁력 하락이라는 타격을 입을 수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이어 “도크가 마비되면 그 공정에만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앞뒤 공정 모두에 생산차질이 발생할 수 밖에 없으며 그 피해는 원청뿐 아니라 수많은 협력업체 근로자들에게 미치게 된다”고 강조했다.

14일 한덕수 국무총리,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이 잇따라 대우조선해양 하청노조의 파업 중단을 호소하기도 했다.

그러나 하청노조가 14일부터 대우조선해양 최대주주인 산업은행 본사 앞에서 무기한 단식 투쟁에 돌입하는 등 대우조선해양 하청노조 파업을 둘러싼 논쟁은 장기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