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의 물적분할을 통한 지주사 전환에 반대하는 소액주주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최정우'>최정우 포스코 대표이사 회장은 소액주주를 포함해 주요 주주들과 시장의 반응을 지켜보면서 철강 등 자회사 비상장 이외에 배당 등 주주친화정책을 확대할 가능성이 나온다.
 
포스코 물적분할에 소액주주 반대 움직임, 최정우 추가 대책 꺼낼까

최정우'>최정우 포스코 대표이사 회장.


15일 낮 12시 기준 청와대 국민청원게시판에 올라온 ‘포스코의 지주사 전환을 위한 물적분할 시도를 막아달라’는 제목의 청원에 2400명이 넘게 참여했다.

해당 청원글에는 “포스코의 물적분할은 주주에게 이익을 환원하는 것이 아니라 소수의 경영진들이 회사를 일방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행위라고 밖에 생각되지 않는다”는 내용이 담겼다.

아울러 “사상 최대 이익을 내는 동안 주가부양이나 주주환원을 위한 행동은 언론플레이에만 그치고 실제 행동은 하지 않으면서 주가가 최악인 상황에서 물적분할을 발표해 피해는 고스란히 소액주주와 최대주주인 국민연금에게 돌아가고 있다”는 주장도 포함됐다.

네이버를 비롯한 각종 종목 게시판에서는 청와대 청원글과 같은 논리로 개인주주들을 중심으로 한 물적분할과 관련한 반대 목소리가 많이 올라오고 있다.

아이디 'spyh****'를 쓰는 한 누리꾼은 "기업가치를 위해 한 거 진짜 맞는지"라고 적었고 'mon7****'는 최정우'>최정우 회장을 향해 "업종 최고의 경쟁력을 가진 기업을 최악의 주가(기업가치)로 만들어버렸다"고 비판했다.

최 회장으로서는 임시주주총회 소집을 위한 주주명부 확정까지 남은 앞으로 2주 남짓 기간에 시장과 주주들의 반응을 면밀히 살필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는 내년 1월28일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포스코 지주사 전환을 위해 물적분할 안건을 상정한다. 

이를 위한 주주명부 확정은 올해 12월27일인 만큼 이 시기까지 주가 움직임으로 물적분할과 관련한 시장 참여자들의 반응을 어느 정도 가늠해 볼 수 있다.

실제로 포스코가 물적분할을 발표했을 때인 10일 포스코 주가는 4.58%(1만3500원) 빠진 28만1500원으로 거래를 마감했으나 이후 철강사업 등의 재상장이 없다는 소식에 주가는 횡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투자자들이 관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셈이다.

최 회장은 포스코의 지주사체제 전환을 위해 전체 주주의 70%가량인 소액주주의 주주총회 표심을 잡는 일이 중요하다. 그런 만큼 시장 반응에 따라 추가적으로 소액주주를 설득할 수 있는 카드를 내놓을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과거 LG화학이 LG에너지솔루션의 물적 분할을 결정할 때 배당 확대 카드를 꺼내들었던 사례가 있어 포스코가 이를 참고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포스코는 10일 지주사체제 전환 계획 발표에서 “지주사 체제로 전환한다고 해도 '이익의 30%'인 현재 배당정책을 준수할 것이다”며 “이와 함께 자사주와 관련해서는 주주가치 제고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활용하기 위해 소각뿐 아니라 투자 재원 등에 활용하는 방법까지 다각도로 논의하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다른 기업들과 달리 포스코에는 오너가 없고 최대주주가 국민연금인 만큼 임시 주주총회에서 소액주주들의 표심이 사실상 지주사 전환을 결정할 가능성이 크다.

회사 분할 안건은 주주총회 출석 주주의 3분의2 이상 찬성해야 하고 찬성 주주의 지분이 발행주식 총수의 3분의1을 넘어야 한다.

포스코는 9월30일 기준으로 국민연금공단이 포스코 주식 9.75%를 들고 있어 최대주주다. 이외 5% 이상 주주에는 미국 시티뱅크(7.30%)가 유일하다.

포스코의 우리사주조합 1.41%, 자사주 13% 등을 제외하면 약 70%가량이 공시대상이 아닌 소액주주로 분류된다.

특히 이들 가운데 외국인 투자자 비중이 높은 만큼 이들을 설득하기 위한 추가 대책이 필요하다는 시선이 많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포스코의 14일 기준으로 포스코 전체 주식의 52.74%를 외국인 투자자가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들은 의결권 자문기관의 의견을 적극 수용한다는 점에서 추가적 주주 친화정책을 꺼냈을 때 효과를 볼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

더구나 포스코의 최대주주인 국민연금공단이 최근 진행된 물적분할 관련 주총에서 모두 반대표를 행사했다는 점에서도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국민연금공단은 앞선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 만도의 물적분할 임시주총에서 모두 주주가치를 훼손한다는 이유를 들어 반대표를 행사했다.

물론 앞선 사례는 물적분할 뒤 신설 자회사의 상장이 전제됐다는 점에서 포스코 사례와는 다르다는 의견도 있지만 국민연금이 주주권 행사에서 일관성을 보여왔다는 점에서 국민연금공단이 이번에도 반대할 공산이 크다는 시선도 많다.

증권업계에서도 포스코 물적분할과 관련해 비상장 약속을 과연 지켜질 수 있을지 우려의 시선으로 보고 있다는 점에서 배당 확대 등 주주친화정책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는 시선이 나온다.

박광래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포스코의 물적분할을 통한 지주사 전환과 관련해 시장의 평가는 우호적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며 “회사가 보완책을 여러 차례 강조했지만 이와 관련한 우려가 완전히 해소되기까지 시간이 필요하고 신사업에서 유의미한 실적을 달성하는 데까지도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