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우 포스코 대표이사 회장이 노조와 관계에서 원칙을 내세우며 강경 기조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는 50년 동안의 '무노조 경영'을 끝내고 노조가 생긴지 석 달이 채 안됐다. 최 회장이 노사문화를 처음 정착해야하는 책임을 안은 만큼 최근 행보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가 한대정 민주노총 금속노조 포스코지회장을 해고한 것을 두고 다소 뜻밖이라는 말이 나온다.
노동자 권익에 민감한 현재 사회 분위기를 감안하면 예상치 못한 강수라는 것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실제로 노조원들이 해고 사유에 해당하는지를 떠나 회사 측에서는 파장을 걱정해 망설일 만도 한데 이례적 결정"이라며 "노조에 끌려다닐 수 없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게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포스코는 12일 무단침입과 폭행 등을 이유로 한대정 지회장에게 직권면직, 간부 2명에게 권고사직 등 5명을 징계했다.
이들이 9월23일 포항시 포스코인재창조원에 들어가 직원들을 폭행하고 업무 수첩, 작업 중인 문건 등을 들고 달아났다는 게 이유다. 현재 경찰은 이들에게 공동상해죄, 건조물침입죄 등의 혐의를 적용해 검찰에 기소의견으로 송치해 놓았다.
이번 징계에 관해 회사 측은 사내 소통지인' 포스코 뉴스룸'을 통해 특정 노조에게 어떤 선입견도 없이 법과 원칙에 따라 처리한 것이며 폭력, 절도 등 불법적 행동은 어떠한 때에도 정당화될 수 없다고 못을 박았다.
인사위원회를 4차례 개최했으며 당사자들이 변호인을 대동하고 서면진술을 하겠다고 요청해 이를 받아들이는 등 소명기회도 충분히 제공했다고 덧붙였다.
그동안 업계에서는 최 회장이 노조와 관계를 어떻게 풀어갈지 관심이 높았는데 갈등을 무릅쓰고라도 원칙 세우기를 선택한 셈이다.
노조는 13일 오후 6시30분부터 포스코 본사 앞에서 '부당해고 부당징계 즉시 철회'를 요구하는 촛불집회를 열고 있다. 이번 징계는 주요 간부를 내쫓아 노조 활동을 위축시키려는 최 회장의 시도라는 것이다. 이들은 '법적 조치는 물론이고 집회 등 전면 투쟁을 이어갈 것'이라는 태도를 보이고 있어 반발이 쉽게 가라앉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에는 수십 년 만에 노동조합이 2개나 생겼다. 한국노총 소속 노조가 더 많은 조합원을 확보해 최근 교섭대표 지위를 획득하면서 금속노조 포스코지회 측은 회사 측이 '어용노조'를 키우기 위해 힘을 실어준 결과라고 주장하고 있다.
한국노총 소속 노조는 9월 불과 9명에서 현재 6500여 명으로 빠르게 세를 불렸다. 금속노조 포스코지회는 현재 조합원 수가 3317명으로 절반 수준이다.
회사와 포스코지회 노조의 힘겨루기가 어느 쪽으로 기울어질 지는 부당노동행위 의혹 등을 둘러싼 법적 싸움에 달렸다. 금속노조 포스코지회는 최정우 회장 등 경영진 27명을 부당노동행위로 검찰에 고소했다. '사무실 침입 사건' 당시 확보한 문건 등을 근거로 들었다.
포스코는 당시 문건에 부당내용행위라 할 만한 내용은 전혀 없다고 선을 긋고 있다. 오히려 부당노동행위를 경계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는 것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당시 노조가 이제 막 생기는 터라 노사문화를 준비하는 것이 담당부서로서는 아주 중요한 일이었고 이를 위해 당연한 업무를 한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문건에는 '적법한 조합 활동을 채증하는 것은 문제' '배포된 유인물을 수거하는 것도 부당노동행위' 등 부당노동행위를 피하기 위한 주의사항 등이 적혔다. 문건 작성을 위한 내부 업무협의에 '교섭권을 지니지 못한 노조에도 일정 수준의 편의를 제공해야 한다' '노사 철학을 가져야 하고 퇴근 후에라도 소통을 강화해야 한다'는 내용도 있었다.
그러나 노조 관계자는 ”당시 사무실 칠판에 '비대위(한국노총 소속 노조) 가입 우수 부서 발굴' 등이 내용이 써있었는데 회사가 노조문화를 준비하는 것과 그게 무슨 상관이냐“며 ”부당노동행위 정황은 분명하고 회사 측에서 부정하는 것이야 당연한 일“이라고 반박했다.
문서를 빼앗는 과정에서 폭행이 있었는지를 두고도 회사 측과 노조의 의견이 엇갈린다.
노조 관계자는 “문건을 밀고 당기는 실랑이가 있었을뿐 신체적 접촉은 전혀 없었다”며 “오히려 그 과정에서 우리 측이 넘어져 엉덩방아를 찧었다”고 말했다.
반면 포스코 관계자는 “폭행이 없었다는 것은 노조 측 주장이고 법정에서 판가름 날 것”이라고 반박해 양 측의 주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금속노조 포스코지회가 교섭대표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 재심을 청구할 지도 변수가 될 수 있다. 교섭대표 지위를 얻지 못하면 앞으로 2년 동안 회사 측과 협상에 참여할 수 없어 발언권을 높이기 어렵다.
한국노총 소속 노조는 10일 경북지방노동위원회(지노위)가 금속노조 포스코지회의 교섭대표노조 이의 신청을 기각하면서 교섭대표 지위에 올라섰다.
하지만 금속노조 포스코지회는 재심을 청구할 수 있다. 이상섭 포스코지회 사무국장은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아직 지노위의 판정문이 나오지 않았다“며 ”내용을 보고 재심 신청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진영 기자]
포스코는 50년 동안의 '무노조 경영'을 끝내고 노조가 생긴지 석 달이 채 안됐다. 최 회장이 노사문화를 처음 정착해야하는 책임을 안은 만큼 최근 행보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 최정우 포스코 대표이사 회장.
13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가 한대정 민주노총 금속노조 포스코지회장을 해고한 것을 두고 다소 뜻밖이라는 말이 나온다.
노동자 권익에 민감한 현재 사회 분위기를 감안하면 예상치 못한 강수라는 것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실제로 노조원들이 해고 사유에 해당하는지를 떠나 회사 측에서는 파장을 걱정해 망설일 만도 한데 이례적 결정"이라며 "노조에 끌려다닐 수 없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게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포스코는 12일 무단침입과 폭행 등을 이유로 한대정 지회장에게 직권면직, 간부 2명에게 권고사직 등 5명을 징계했다.
이들이 9월23일 포항시 포스코인재창조원에 들어가 직원들을 폭행하고 업무 수첩, 작업 중인 문건 등을 들고 달아났다는 게 이유다. 현재 경찰은 이들에게 공동상해죄, 건조물침입죄 등의 혐의를 적용해 검찰에 기소의견으로 송치해 놓았다.
이번 징계에 관해 회사 측은 사내 소통지인' 포스코 뉴스룸'을 통해 특정 노조에게 어떤 선입견도 없이 법과 원칙에 따라 처리한 것이며 폭력, 절도 등 불법적 행동은 어떠한 때에도 정당화될 수 없다고 못을 박았다.
인사위원회를 4차례 개최했으며 당사자들이 변호인을 대동하고 서면진술을 하겠다고 요청해 이를 받아들이는 등 소명기회도 충분히 제공했다고 덧붙였다.
그동안 업계에서는 최 회장이 노조와 관계를 어떻게 풀어갈지 관심이 높았는데 갈등을 무릅쓰고라도 원칙 세우기를 선택한 셈이다.
노조는 13일 오후 6시30분부터 포스코 본사 앞에서 '부당해고 부당징계 즉시 철회'를 요구하는 촛불집회를 열고 있다. 이번 징계는 주요 간부를 내쫓아 노조 활동을 위축시키려는 최 회장의 시도라는 것이다. 이들은 '법적 조치는 물론이고 집회 등 전면 투쟁을 이어갈 것'이라는 태도를 보이고 있어 반발이 쉽게 가라앉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에는 수십 년 만에 노동조합이 2개나 생겼다. 한국노총 소속 노조가 더 많은 조합원을 확보해 최근 교섭대표 지위를 획득하면서 금속노조 포스코지회 측은 회사 측이 '어용노조'를 키우기 위해 힘을 실어준 결과라고 주장하고 있다.
한국노총 소속 노조는 9월 불과 9명에서 현재 6500여 명으로 빠르게 세를 불렸다. 금속노조 포스코지회는 현재 조합원 수가 3317명으로 절반 수준이다.
회사와 포스코지회 노조의 힘겨루기가 어느 쪽으로 기울어질 지는 부당노동행위 의혹 등을 둘러싼 법적 싸움에 달렸다. 금속노조 포스코지회는 최정우 회장 등 경영진 27명을 부당노동행위로 검찰에 고소했다. '사무실 침입 사건' 당시 확보한 문건 등을 근거로 들었다.
포스코는 당시 문건에 부당내용행위라 할 만한 내용은 전혀 없다고 선을 긋고 있다. 오히려 부당노동행위를 경계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는 것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당시 노조가 이제 막 생기는 터라 노사문화를 준비하는 것이 담당부서로서는 아주 중요한 일이었고 이를 위해 당연한 업무를 한 것”이라고 말했다.
▲ 한대정 금속노조 포스코지회장(왼쪽 두 번째) 등 노조 관계자들과 심상정 정의당 의원(가운데) 등이 9월17일 국회 정론관에서 출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실제로 문건에는 '적법한 조합 활동을 채증하는 것은 문제' '배포된 유인물을 수거하는 것도 부당노동행위' 등 부당노동행위를 피하기 위한 주의사항 등이 적혔다. 문건 작성을 위한 내부 업무협의에 '교섭권을 지니지 못한 노조에도 일정 수준의 편의를 제공해야 한다' '노사 철학을 가져야 하고 퇴근 후에라도 소통을 강화해야 한다'는 내용도 있었다.
그러나 노조 관계자는 ”당시 사무실 칠판에 '비대위(한국노총 소속 노조) 가입 우수 부서 발굴' 등이 내용이 써있었는데 회사가 노조문화를 준비하는 것과 그게 무슨 상관이냐“며 ”부당노동행위 정황은 분명하고 회사 측에서 부정하는 것이야 당연한 일“이라고 반박했다.
문서를 빼앗는 과정에서 폭행이 있었는지를 두고도 회사 측과 노조의 의견이 엇갈린다.
노조 관계자는 “문건을 밀고 당기는 실랑이가 있었을뿐 신체적 접촉은 전혀 없었다”며 “오히려 그 과정에서 우리 측이 넘어져 엉덩방아를 찧었다”고 말했다.
반면 포스코 관계자는 “폭행이 없었다는 것은 노조 측 주장이고 법정에서 판가름 날 것”이라고 반박해 양 측의 주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금속노조 포스코지회가 교섭대표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 재심을 청구할 지도 변수가 될 수 있다. 교섭대표 지위를 얻지 못하면 앞으로 2년 동안 회사 측과 협상에 참여할 수 없어 발언권을 높이기 어렵다.
한국노총 소속 노조는 10일 경북지방노동위원회(지노위)가 금속노조 포스코지회의 교섭대표노조 이의 신청을 기각하면서 교섭대표 지위에 올라섰다.
하지만 금속노조 포스코지회는 재심을 청구할 수 있다. 이상섭 포스코지회 사무국장은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아직 지노위의 판정문이 나오지 않았다“며 ”내용을 보고 재심 신청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