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다음 회장 후보 5명을 현직 사장단 중심으로 추려 ‘외풍’ 논란에서 벗어나려는 의지를 보였다.
하지만 사실상 권오준 회장체제를 승계하겠다는 것으로 포스코 변화를 요구하는 움직임과 거리가 멀어 앞으로 상당한 후폭풍에 휩싸일 수도 있다. 더불어민주당을 중심으로 정치권에서 권오준 회장체제를 적폐로 규정하는 목소리도 높기 때문이다.
포스코는 22일 열린 이사회를 열고 회장 후보로 김영상 포스코대우 대표이사 사장, 김진일 전 포스코 대표이사 사장, 오인환 포스코 대표이사 사장, 장인화 포스코 대표이사 사장, 최정우 포스코켐텍 대표이사 사장(가나다순) 등 5명을 결정했다.
그동안 후보로 거명됐던 구자영 전 SK이노베이션 부회장, 정철길 전 SK이노베이션 부회장, 이희범 전 산업자원부 장관, 조석 전 지식경제부 차관, 김준식 전 포스코 사장 등은 모두 제외됐다.
이번에 탈락된 후보들을 놓고 포스코 안팎에서는 이런 저런 말들이 계속 나왔다. 어떤 사외이사가 특정 후보를 밀기 위해 외국인도 후보에 포함해야 한다고 강력이 주장했다거나 어떤 후보는 청와대 실세와 줄을 대고 있다는 말도 나돌았다. 권오준 회장이 특정 후보를 밀고 있다는 얘기도 파다하게 나왔다.
이러다 보니 정치권에서 회장 선임절차를 중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거셌다.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일 정휘 바름정의경제연구소 대표, 안진걸 민생경제연구소장과 함께 성명을 내 “개혁의 대상이 돼야 할 이들이 혁신의 주체를 선출하려는 것은 어불성설이자 기만”이라며 “CEO승계 카운슬을 잠정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추혜선 정의당 의원도 ‘포스코 바로세우기 시민연대’와 함께 기자회견을 열어 “추가 추천이라는 이름으로 수시로 후보가 바뀌고 이 과정에서 전직 관료들의 이름이 오르내리는가 하고 권오준 회장과 일부 후보의 골프 회동이 알려지면서 권 회장의 개입 의혹이 짙어졌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CEO승계카운슬은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고 거듭 주장했지만 모든 과정을 철저히 비공개로 추진하고 후보자를 추려내는 과정에서 후보군의 숫자가 오락가락하는 등 의혹을 더욱 키우는 데 빌미를 제공했다.
이런 상황에서 포스코 CEO승계카운슬은 외풍과 관련해 말이 나온 후보들을 모두 배제하고 포스코 사장단을 중심으로 후보를 추리면서 논란이 더 이상 확대되지 않는 쪽으로 선택을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포스코 회장 선임을 논란이 끝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에 추려진 5명의 후보가 모두 권오준 회장체제에서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누가 되든 사실상 권오준 회장체제의 승계라는 말을 들을 수밖에 없게 됐다.
오인환 사장과 장인화 사장은 권 회장이 직접 대표이사로 발탁한 인사다. 최정우 사장 역시 권 회장의 역점 사업인 2차전지 음극재 제조와 판매를 주도하고 있고 김영상 사장도 권 회장이 포스코대우와 포스코가 융합해 시너지를 내겠다며 직접 포스코대우 대표이사로 선택한 인사다.
김진일 전 사장은 2014년 권 회장과 회장 자리를 놓고 경쟁하긴 했지만 2017년 초까지 철강생산본부 본부장이자 대표이사로서 권 회장과 호흡을 맞췄다.
문제는 권오준 회장체제를 바라보는 외부의 시각이 곱지만은 않다는 점이다. 권 회장이 처음 회장에 오를 때부터 박근혜 대통령과 인연이 있는 것 아니냐는 말이 나왔고 실제로 박근혜 게이트 과정에서 일부 사실로 드러나기도 했다.
이 때문에 더불어민주당 일부에서는 이번 포스코 회장 선임을 통해 포스코의 적폐가 청산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특히 포스코 경영이 이른바 포피아(포스코+마피아)에 의해 좌지우지된다는 부정적 시각도 존재하는 상황에서 권오준 회장체제를 승계하는 후임 회장이 과연 포스코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느냐 하는 점에서 의문이 커질 수밖에 없다.
포스코는 계획대로 다음 회장 후보 선임절차를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 관계자는 “CEO후보추천위원회가 사외이사 7명 전원으로 구성된다는 것은 이미 정관으로 정해진 것이며 위원 수가 더 늘어날 가능성은 없다”며 “CEO후보추천위원회가 정확히 언제부터 회장후보 면접을 진행할지는 알 수 없지만 면접을 지체할 이유는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포스코 회장 선임은 또다른 후폭풍의 출발이 될 수도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
하지만 사실상 권오준 회장체제를 승계하겠다는 것으로 포스코 변화를 요구하는 움직임과 거리가 멀어 앞으로 상당한 후폭풍에 휩싸일 수도 있다. 더불어민주당을 중심으로 정치권에서 권오준 회장체제를 적폐로 규정하는 목소리도 높기 때문이다.
▲ 포스코 로고.
포스코는 22일 열린 이사회를 열고 회장 후보로 김영상 포스코대우 대표이사 사장, 김진일 전 포스코 대표이사 사장, 오인환 포스코 대표이사 사장, 장인화 포스코 대표이사 사장, 최정우 포스코켐텍 대표이사 사장(가나다순) 등 5명을 결정했다.
그동안 후보로 거명됐던 구자영 전 SK이노베이션 부회장, 정철길 전 SK이노베이션 부회장, 이희범 전 산업자원부 장관, 조석 전 지식경제부 차관, 김준식 전 포스코 사장 등은 모두 제외됐다.
이번에 탈락된 후보들을 놓고 포스코 안팎에서는 이런 저런 말들이 계속 나왔다. 어떤 사외이사가 특정 후보를 밀기 위해 외국인도 후보에 포함해야 한다고 강력이 주장했다거나 어떤 후보는 청와대 실세와 줄을 대고 있다는 말도 나돌았다. 권오준 회장이 특정 후보를 밀고 있다는 얘기도 파다하게 나왔다.
이러다 보니 정치권에서 회장 선임절차를 중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거셌다.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일 정휘 바름정의경제연구소 대표, 안진걸 민생경제연구소장과 함께 성명을 내 “개혁의 대상이 돼야 할 이들이 혁신의 주체를 선출하려는 것은 어불성설이자 기만”이라며 “CEO승계 카운슬을 잠정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추혜선 정의당 의원도 ‘포스코 바로세우기 시민연대’와 함께 기자회견을 열어 “추가 추천이라는 이름으로 수시로 후보가 바뀌고 이 과정에서 전직 관료들의 이름이 오르내리는가 하고 권오준 회장과 일부 후보의 골프 회동이 알려지면서 권 회장의 개입 의혹이 짙어졌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CEO승계카운슬은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고 거듭 주장했지만 모든 과정을 철저히 비공개로 추진하고 후보자를 추려내는 과정에서 후보군의 숫자가 오락가락하는 등 의혹을 더욱 키우는 데 빌미를 제공했다.
이런 상황에서 포스코 CEO승계카운슬은 외풍과 관련해 말이 나온 후보들을 모두 배제하고 포스코 사장단을 중심으로 후보를 추리면서 논란이 더 이상 확대되지 않는 쪽으로 선택을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포스코 회장 선임을 논란이 끝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에 추려진 5명의 후보가 모두 권오준 회장체제에서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누가 되든 사실상 권오준 회장체제의 승계라는 말을 들을 수밖에 없게 됐다.
오인환 사장과 장인화 사장은 권 회장이 직접 대표이사로 발탁한 인사다. 최정우 사장 역시 권 회장의 역점 사업인 2차전지 음극재 제조와 판매를 주도하고 있고 김영상 사장도 권 회장이 포스코대우와 포스코가 융합해 시너지를 내겠다며 직접 포스코대우 대표이사로 선택한 인사다.
김진일 전 사장은 2014년 권 회장과 회장 자리를 놓고 경쟁하긴 했지만 2017년 초까지 철강생산본부 본부장이자 대표이사로서 권 회장과 호흡을 맞췄다.
▲ 권오준 포스코 대표이사 회장.
문제는 권오준 회장체제를 바라보는 외부의 시각이 곱지만은 않다는 점이다. 권 회장이 처음 회장에 오를 때부터 박근혜 대통령과 인연이 있는 것 아니냐는 말이 나왔고 실제로 박근혜 게이트 과정에서 일부 사실로 드러나기도 했다.
이 때문에 더불어민주당 일부에서는 이번 포스코 회장 선임을 통해 포스코의 적폐가 청산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특히 포스코 경영이 이른바 포피아(포스코+마피아)에 의해 좌지우지된다는 부정적 시각도 존재하는 상황에서 권오준 회장체제를 승계하는 후임 회장이 과연 포스코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느냐 하는 점에서 의문이 커질 수밖에 없다.
포스코는 계획대로 다음 회장 후보 선임절차를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 관계자는 “CEO후보추천위원회가 사외이사 7명 전원으로 구성된다는 것은 이미 정관으로 정해진 것이며 위원 수가 더 늘어날 가능성은 없다”며 “CEO후보추천위원회가 정확히 언제부터 회장후보 면접을 진행할지는 알 수 없지만 면접을 지체할 이유는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포스코 회장 선임은 또다른 후폭풍의 출발이 될 수도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