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은행권 점포 폐쇄 흐름 속에 인공지능(AI) 지점 등 새로운 형태의 점포가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국내은행 점포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금융당국의 숱한 경고에도 5년 동안 1천여 곳이 사라졌다. 대안으로 꼽히는 우체국의 은행업무 대리수행이나 은행권 공동점포 추진 논의도 지지부진하다.
금융당국은 디지털 전환이 대세인 상황 속에서 인공지능 지점 등 은행권의 점포 다변화 전략에 힘을 실어주는 방식으로 금융접근성 축소에 대비하고 있다.
2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문을 닫는 국내은행 점포수는 지난해 감소폭(84곳)을 웃돌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말까지 57곳이 폐쇄됐는데 연말까지 여러 은행이 추가 점포 정리를 계획하고 있어서다.
최근 신한은행은 12월 영업점 9곳을 인근 점포로 통합한다고 발표했고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 가운데 가장 많은 점포를 둔 NH농협은행은 연말까지 추가로 38개 점포를 닫기로 했다. 우리은행도 최근 2025년 1월6일까지 지점 21곳을 근처 영업점으로 통합한다고 공시했다.
은행권이 코로나19 사태 뒤 속도가 붙은 디지털 전환에 힘을 싣고 점포 축소 흐름을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전날 은행권의 점포 폐쇄 문제를 지적하며 “은행이 금융서비스 접근 권리를 보장하는 책무를 충분히 고민했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원장과 같은 지적은 지난 정부에서도 여러 차례 내놨다.
금융당국이 은행권의 점포 폐쇄를 놓고 꾸준히 금융접근성이 낮아질 수 있다고 지적했지만 최근 몇 년 사이 달라진 점은 없었던 셈이다.
소비자가 직접 점포 폐쇄에 반발하는 사례도 종종 나오고 있다.
농협은행이 최근 충청북도 청주 육거리시장 점포 폐쇄를 두고 상인회의 반발에 부딪힌 것이 대표적이다. 상인회는 비대면 거래에 익숙치 않은 고령층 상인이 어려움을 겪고 생업에 지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은 인터넷은행 등장과 함께 비대면 거래가 대세로 자리 잡은 상황 에서 점포 최소화가 비용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판단하고 점포를 줄이고 있다.
금융당국은 비대면 거래 확대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점포 폐쇄를 최소화하기 위해 은행권을 압박하는 동시에 금융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대안을 고심하고 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10월 국정감사에서 올해 안에 우체국에서 은행 업무를 보는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을 내놨고 이복현 금감원장은 전날 은행권과 태스크포스(TF)를 꾸려 공동점포 관련 협의절차와 비용 분담원칙 지침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다만 우체국의 은행업무 수행이나 은행 공동점포가 오래 전부터 논의됐지만 진전이 없었다는 점에서 이와 관련한 업계의 기대감은 크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금융당국이 디지털 전환에 따라 은행권의 점포 다변화 전략에 힘을 실어주는 가운데 AI점포 등이 대안으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시중은행은 기술 발전에 발맞춰 고객 대응 업무에 AI기술 적용을 확대하고 있다.
실제로 신한은행이 은행권에서는 처음으로 최근 AI점포를 열었고 다른 은행에서도 화상상담과 AI기술 활용이 늘어나고 있다.
신한은행 AI점포는 실제 은행원 없이 화면 속 AI 은행원이 계좌계설과 제증명서와 카드발급, 외화 환전 등의 업무를 직접 처리해준다.
금감원도 전날 보도자료를 통해 “감독당국은 AI점포 등 은행권의 점포 운영전략 다변화를 위해 필요한 규제 샌드박스 등 제도적 지원 노력을 이어갈 것이다”고 말했다.
AI점포의 이전 단계로 고기능무인자동화기기(STM)의 활용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STM은 ATM에 영상통화와 신분증 스캔 등 본인인증을 거쳐 창구업무의 80%를 수행할 수 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4월 '은행점포 폐쇄 내실화 방안'을 통해 ATM이 점포 대체수단이 될 수 없다면서 STM은 활용될 수 있다며 길을 터줬다.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에 무조건 점포 문을 닫지 않도록 할 수는 없고 은행 전략에 따라 점포형태는 달라질 있는 것”이라며 “AI점포 등 규제가 완화하면 은행은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소비자는 편리하게 은행 업무를 볼 수 있는 만큼 규제 샌드박스 등을 통해 이를 돕겠다”고 말했다. 김환 기자
국내은행 점포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금융당국의 숱한 경고에도 5년 동안 1천여 곳이 사라졌다. 대안으로 꼽히는 우체국의 은행업무 대리수행이나 은행권 공동점포 추진 논의도 지지부진하다.
▲ 은행권 점포 폐쇄가 이어지는 가운데 인공지능(AI) 지점 등 새로운 점포 전략이 힘을 받을 수 있다는 시각이 나온다.
금융당국은 디지털 전환이 대세인 상황 속에서 인공지능 지점 등 은행권의 점포 다변화 전략에 힘을 실어주는 방식으로 금융접근성 축소에 대비하고 있다.
2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문을 닫는 국내은행 점포수는 지난해 감소폭(84곳)을 웃돌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말까지 57곳이 폐쇄됐는데 연말까지 여러 은행이 추가 점포 정리를 계획하고 있어서다.
최근 신한은행은 12월 영업점 9곳을 인근 점포로 통합한다고 발표했고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 가운데 가장 많은 점포를 둔 NH농협은행은 연말까지 추가로 38개 점포를 닫기로 했다. 우리은행도 최근 2025년 1월6일까지 지점 21곳을 근처 영업점으로 통합한다고 공시했다.
은행권이 코로나19 사태 뒤 속도가 붙은 디지털 전환에 힘을 싣고 점포 축소 흐름을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전날 은행권의 점포 폐쇄 문제를 지적하며 “은행이 금융서비스 접근 권리를 보장하는 책무를 충분히 고민했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원장과 같은 지적은 지난 정부에서도 여러 차례 내놨다.
금융당국이 은행권의 점포 폐쇄를 놓고 꾸준히 금융접근성이 낮아질 수 있다고 지적했지만 최근 몇 년 사이 달라진 점은 없었던 셈이다.
소비자가 직접 점포 폐쇄에 반발하는 사례도 종종 나오고 있다.
농협은행이 최근 충청북도 청주 육거리시장 점포 폐쇄를 두고 상인회의 반발에 부딪힌 것이 대표적이다. 상인회는 비대면 거래에 익숙치 않은 고령층 상인이 어려움을 겪고 생업에 지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은 인터넷은행 등장과 함께 비대면 거래가 대세로 자리 잡은 상황 에서 점포 최소화가 비용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판단하고 점포를 줄이고 있다.
▲ 충북 청주 육거리시장 상인들이 농협은행 석교동지점 영업 종료를 반대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연합뉴스>
금융당국은 비대면 거래 확대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점포 폐쇄를 최소화하기 위해 은행권을 압박하는 동시에 금융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대안을 고심하고 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10월 국정감사에서 올해 안에 우체국에서 은행 업무를 보는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을 내놨고 이복현 금감원장은 전날 은행권과 태스크포스(TF)를 꾸려 공동점포 관련 협의절차와 비용 분담원칙 지침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다만 우체국의 은행업무 수행이나 은행 공동점포가 오래 전부터 논의됐지만 진전이 없었다는 점에서 이와 관련한 업계의 기대감은 크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 서울 중구에 위치한 신한은행 AI점포 모습. <비즈니스포스트>
금융당국이 디지털 전환에 따라 은행권의 점포 다변화 전략에 힘을 실어주는 가운데 AI점포 등이 대안으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시중은행은 기술 발전에 발맞춰 고객 대응 업무에 AI기술 적용을 확대하고 있다.
실제로 신한은행이 은행권에서는 처음으로 최근 AI점포를 열었고 다른 은행에서도 화상상담과 AI기술 활용이 늘어나고 있다.
신한은행 AI점포는 실제 은행원 없이 화면 속 AI 은행원이 계좌계설과 제증명서와 카드발급, 외화 환전 등의 업무를 직접 처리해준다.
금감원도 전날 보도자료를 통해 “감독당국은 AI점포 등 은행권의 점포 운영전략 다변화를 위해 필요한 규제 샌드박스 등 제도적 지원 노력을 이어갈 것이다”고 말했다.
AI점포의 이전 단계로 고기능무인자동화기기(STM)의 활용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STM은 ATM에 영상통화와 신분증 스캔 등 본인인증을 거쳐 창구업무의 80%를 수행할 수 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4월 '은행점포 폐쇄 내실화 방안'을 통해 ATM이 점포 대체수단이 될 수 없다면서 STM은 활용될 수 있다며 길을 터줬다.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에 무조건 점포 문을 닫지 않도록 할 수는 없고 은행 전략에 따라 점포형태는 달라질 있는 것”이라며 “AI점포 등 규제가 완화하면 은행은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소비자는 편리하게 은행 업무를 볼 수 있는 만큼 규제 샌드박스 등을 통해 이를 돕겠다”고 말했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