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영상 콘텐츠 제작에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한국방송학회는 2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미디어교육원에서 ‘'국가전략산업' 영상 콘텐츠의 국가 경제적 효과와 육성전략‘ 세미나를 열었다.
 
방송학회 "영상콘텐츠 산업이 글로벌 OTT 하청기지화, 정부 지원 필요"

▲ 한국방송학회가 2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미디어교육원에서  영상 콘텐츠의 국가 경제적 효과와 육성전략 세미나를 열고 영상 콘텐츠 제작과 관련한 정부 지원을 촉구했다. <한국방송학회 유튜브 공식 계정>


이번 세미나는 영상콘텐츠업계에 필요한 지원책을 모색하기 위해 열렸다. 앞서 정부는 4대 신규 초격차 확보 분야인 콘텐츠산업을 선정한 바 있다.

변상규 호서대학교 문화영상학부 교수는 “우리나라 콘텐츠 경쟁력은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고 있지만 제작 재원 부족이라는 만성적인 문제로 인해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 사업자들의 제작 하청기지로 편입될 위험이 있다”고 진단했다.

변 교수는 “국내 콘텐츠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며 “특히 제작비 조달을 위한 미디어사업자의 투자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변 교수는 2022년부터 2027년까지 영상콘텐츠 산업의 직·간접적인 국민경제 파급효과로 △생산유발 1102조4889억 원 △부가가치유발 381조4983억 원 △고용유발 539만5306명을 예상했다. 

그는 “영상 콘텐츠 산업은 국민들에게 제공하는 효용과 방송영화산업을 통한 경제적 파급효과, 콘텐츠 수출로 한류 유발, 소비재 수출 유발 및 관광객 유입 효과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주력 성장 동력이 될 것이다”고 설명했다. 

지원 형태로는 세제 및 기금의 중층 지원안이 제시됐다.

김정현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는 “투자 활성화를 위한 일반지원은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등 기업규모별 공제율 차이가 없는 비차등적 세제지원이 효율적이다”며 “반면 중소제작자의 육성과 동반성장 다양성 보호를 위한 특별지원은 기금을 통한 지원이 효율적이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영상콘텐츠 분야는 흥행에 대한 사전 예측이 쉽지 않고 전형적으로 큰 위험이 수반되는 특성을 지녀 세제지원을 통한 재투자는 중소기업 보다 대기업에서 투자 유인 효과가 크다”고 덧붙였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