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CES2024서 PBV 전략 공개, 2025년 첫 전용모델 출시하고 시장 선도

송호성 기아 대표이사 사장이 8일(현지시각)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4 미디어 데이'에서 기아 PBV 비전과 전략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기아>

[비즈니스포스트] 기아가 세계 최대 전자제품 박람회에 참가해 미래 핵심 사업으로 목적기반모빌리티(PBV)를 제시하고 기아만의 차별화한 PBV를 선보여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기아는 8일(현지시각)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 컨벤션 센터에서 준비된 기아가 보여줄, 모두를 위한 모빌리티(All Set for  Every Inspiration)'를 주제로 'CES 2024 미디어 데이'를 열고 '지속가능한 PBV 모빌리티 솔루션의 미래 전략'을 공개했다. 

기아의 CES 참가는 2019년 이후 5년 만이다. 

이날 공개된 기아의 PBV 전략은 △전통적 자동차의 개념을 탈피한 혁신적 PBV 라인업 출시 △소프트웨어(SW) 기반의 최첨단 기술 적용 △파트너십 다각화를 통한 새로운 모빌리티 생태계 조성 등을 뼈대로 한다.

송호성 기아 대표이사 사장은 "기아는 2021년 '브랜드 리런치' 이후 획기적 전기차 라인업 구축, 고객 중심의 모빌리티 미래 제시, 글로벌 지속 가능성 이니셔티브 전개 등 다양한 여정을 이어왔다"며 "이제 새로운 도약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 PBV를 설정하고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플랫폼으로의 본격 전환을 준비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기아는 PBV를 통해 스마트 모빌리티와 공유 경제, 이커머스(전자상거래) 등 급속한 디지털 전환이 이뤄지는 상황에서 새로운 미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기아는 CES 2024에서 PBV의 개념을 '차량 그 이상의 플랫폼(플랫폼 비욘드 비히클)'로 재정의했다. 자유로움과 유연성을 갖춘 맞춤형 설계로 새로운 비즈니스와 라이프스타일을 제공하고 혁신적 공간 활용을 통한 효율적 차량 내 경험을 제공한다는 뜻이다.

기아는 새롭게 정의한 PBV 사업을 통해 글로벌 시장과 비즈니스 환경에 최적화한 차량과 서비스로 다양한 고객과 지역사회의 수요를 충족시킴으로써 전통적 자동차의 개념을 뛰어 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기아는 이런 비전을 바탕으로 중형 →대형 → 소형으로 이어지는 PBV 라인업 구축, 완전한 맞춤화(비스포크) 제작 등을 내용으로 하는 단계별 PBV 로드맵을 공개했다. 

기아는 2025년 첫 중형 PBV인 PV5를 출시하고 PBV 사업을 본격 전개한다.

차량 호출, 배달, 유틸리티 등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라이프 모듈을 교체할 수 있는 컨버전 기능을 탑재하고 SDV(소프트웨어 중심자동차)와 경로, 정보 등 외부 데이터 사이 연결성을 강화해 여러 대의 차량을 동시에 운영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을 세웠다.

이어 대형 및 소형 PBV 라인업을 추가해 대형 물류 회사나 모빌리티 기업, 개인 사용자로 사업영역을 확대한다.

이 단계에서 디지털 제어 및 자율주행 기술이 기아 PBV에 본격적으로 적용되고 인공지능 기반차량 관제 및 관리 지원으로 데이터 연결 범위를 확대한다. 로보틱스 등 미래 기술과 연계한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도 추진한다. 

그 뒤에는 PBV를 완전하게 개인의 기호와 목적에 따라 맞춤 제작하는 '비스포크 모빌리티 솔루션' 형태로 발전시킨다는 방침을 정했다. 

기아는 이와 같은 단계별 로드맵 추진을 통해 자율주행, 미래항공 모빌리티(AAM), 로보틱스, 에너지 그리드 등의 미래 기술 및 현대자동차그룹의 SDV 전략과 연계한 PBV 생태계를 조성함으로써 '차량 그 이상의 플랫폼' 비전을 달성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기아 최초의 전용 PBV 모델이자 PBV 라인업의 기반이 되는 PV5는 전용 전기차(EV) 플랫폼과 확장된 휠베이스가 만들어낸 넓고 평평한 실내 공간을 특징으로 한다.
 
기아 CES2024서 PBV 전략 공개, 2025년 첫 전용모델 출시하고 시장 선도

▲ 기아 PBV 라인업. (왼쪽부터)PV1, PV5 베이직, PV5 딜리버리 하이루프, PV7. <기아>

책상과 같은 평면을 제공하는 운전석 콕핏과 위로 꺾어서 책상 램프로 활용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은 운전자에게 사무실과 같은 경험을 제공한다.

PV5는 △베이직(Basic) △딜리버리(Van) △딜리버리 하이루프(High Roof) △샤시캡(Chassis Cab) 등 다양한 버전으로 출시된다.

앞으로는 모셔널과 함께 개발한 자율주행 기술 기반의 로보택시(Robotaxi) 모델도 선보인다. 
 
기아는 CES 2024에서 PV5 콘셉트 모델 외에 PV7과 PV1 콘셉트 실물도 공개했다. 

대형 PBV인 PV7은 라인업 가운데 가장 넓은 공간과 긴 주행 거리를 제공한다.

소형 PBV인 PV1는 단거리 물류 운송에 최적화한 모델로 드라이빙 모듈을 사용해 좁은 공간에서 회전 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직각 운행이나 사선 주행, 제자리 회전, 피봇 턴 등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해 좁은 공간에서도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기아는 장거리 물류에 특화된 PV7과 민첩한 이동이 가능한 PV1의 시너지를 통해 물류의 시작부터 라스트마일 딜리버리까지 포괄하는 운송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을 세웠다.

카림 하비브 기아 부사장은 "기아가 선사할 PBV 경험은 차량의 물리적 경계를 넘어 고객의 삶과 필요에 맞춰 확장될 것"이라며 "기아 PBV는 고객들의 일상을 보다 효율적이고 즐겁게 만들어주는 최고의 비즈니스 및 라이프스타일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아는 PBV 상품기획·개발 단계부터 고객의 의견을 반영하는 '고객참여형 차량 개발 프로세스'를 새로 도입하고 고객 중심 제조 혁신에 나선다. 

이를 위해 기아는 오토랜드 화성에 연간 15만 대 수준의 생산능력을 갖춘 PBV 전기차 전용공장 '이보 플랜트'(EVO Plant)를 건설하고 있다. 

이보 플랜트는 디지털 기술과 로봇이 적용되고 컨베이어 시스템과 셀 생산방식이 접목된 혁신적 생산체계를 갖추고 PBV 본격 양산을 위한 스마트 팩토리 역할을 하게 된다.

기아 '이지스왑' 기술을 통한 PBV 혁신에도 힘쓰고 있다.

이지스왑은 소비자의 스타일에 맞게 라이프 모듈을 교체해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전통적 볼트 체결 방식 대신 마그네틱 체결과 기계적 체결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유닛을 통해 별도의 차량을 신규로 구입하지 않아도 원하는 비즈니스 형태에 따라 차체에 변화를 줄 수 있다. 

기아 PBV의 다품종 소량생산 생산체계를 이끌 '다이나믹 하이브리드'(Dynamic Hybrid) 기술은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맞춰 차체 크기나 높이 등을 기호에 맞게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송 사장은 "PBV는 머지않아 모빌리티의 세계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며 많은 사람들은 PBV가 모빌리티의 표준이 되는 시대를 맞이하게 될 것"이라며 "기아는 일하고 이동하는 방식, 나아가 삶의 방식을 변화시키기 위해 존재하는 모든 영감을 받아들이고 실행시킬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허원석 기자